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4

        201.
        200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fety in the laboratory has been a growing interest due to recent recurrences of the fatal accidents such as physical or chemical explosion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to what extents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law should apply the laboratory. Most laboratory workers are not sufficiently trained and recognized for the generic features of safety and health. The actual conditions of safety and health in the laboratory are not appropriate for laboratory workers. Safety and health in the laboratory is unfortunately in the dead ground. Therefore, it is most imperative to secure safety in the laboratory.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mprove safety in the laboratory.
        4,200원
        203.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량의 내진성능확보를 위한 유지보수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전체 생애주기비용의 최소화를 통하여 최적의 검사 및 수리회수의 결정방법을 제시한다. 생애주기 비용에는 초기비용, 파괴비용 뿐만 아니라, 검사 및 보수비용이 포함된다. 시간에 따른 내진성능저하모델을 손상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하였으며, 손상감지정도에 따른 Event Tree Analysis를 통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파괴확률을 랜덤진동이론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예제로서 10경간 연속교의 최적유지보수방법을 살펴본 결과, 가속도계수가 증가하고, 연약지반일수록 최적유지보수회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4.
        200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oodbank, and to implement the HACCP system as a solution in terms of increasing the safety of donated food within the Foodbank. In order to apply HACCP system, the entire Foodbank working process such as preparation, collection, transportation, division, and distribution was considered and analyzed to decide the application point for CCPs. Donated foods mainly consisted of processed foods, raw materials, lunch boxes, and cooked foods from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which dominated over the others in terms of quantity. Cooked foo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menu-types and processing methods. Temperature, pH, and aw were measured on cooked foods, and Total Plate Count, Coliforms, E. coli,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were conducted in order to apply a HACCP plan. From these experiments, temperature, pH, and aw of donated food were likely contributed to microbial growth. Donated foods before HACCP implementation showed high numbers in terms of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s, both well over the acceptable standard levels. By setting the CCPs on maintenance of donated food below 10℃ and using a 75℃ reheating method, microbiological hazard levels were able to be controlled and lowered.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in order to guarantee food safety, foods donated to the Foodbank must not only maintain a reasonable level of initial microbiological growth, but also must be handled properly through time and temperature controls within the Foodbank system. Furthermore, in terms of implementing the HACCP plan within the Foodbank management structure, basic food safety and sanitation measures, such as reheating facilities and various cold chain systems such as refrigerated vehicle for food transportation are importantly needed.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Foodbank personnel and management in areas such as awareness of hygiene and safe food handling and practice are also required and necessary.
        4,600원
        205.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지투자환경이 불확실한 경우 기업들은 어떠한 과정과 요인에 의해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는가? 미얀마와 베트남에 진출한 3개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확대과정을 분석한 결과 사례기업들은 초기투자를 통해 성장기반을 확보한 다음 현지사업역량을 구축하면서 투자의 불확실성이 줄거나 유리한 투자기회가 왔을 때 후속투자를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확실한 투자환경 하에서 투자의 철회불가능성에 대처하고 투자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소규모 합작을 바탕으로 해외직접투자를 확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100원
        207.
        200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onsider some alternative management models(IEC300, NASA AHB 5300.1, IEC1508) based on dependability, especially reliability and safety, including resources on world- wide leading standard- bodies and informations.
        4,000원
        208.
        200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Korea has been achieved highly effective economic growth but it has triggered the high demands of Energy and it makes running out of energy. In addition to the recent oil shock has driven the republic of Korea in hot water. The main reason is that the most electricity production system is based on the heating generation. Accordingly, for the demands of domestic electricity,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water power, heating power and atomic energy) should be constructed as a pending problem. Especially, the Korea which has very distinctive four seasons might have many problems to establish the generating systems. This study Provides the gate to be out of the energy Problem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our proper generating systems.
        3,000원
        209.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역 변경을 통한 수자원 확보방안으로 추진되고 있는 소규모 저류댐 건설에 대한 평가를 사례로 들어 자연 환경의 개발 계획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에 에머 지(Emergy)라고 하는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였다. 에머지 개념은 환경 자원들이 우리 경제의 진정한 부에 기여하는 바를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에머지 평가를 위한 모델들은 시스템의 네트워크 특성들을 특별한 기호들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모델링 언어인 에너지 시스템 언어(Energy Systems Language)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제안된 댐 건설이 가져오는 대부분의 에머지 편익은 이 댐의 건설 목적인 용수 공급에 있었다. 댐의 건설로 형성될 호수의 생산성 증가로 인한 에머지 편익은 0.01%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주요 에머지 비용은 댐 건설비용 (28.2%), 유지관리비용 (27.2%), 사회적 혼란(22%), 수몰민의 이주비용(12.5%) 등으로 나타났다. 에머지 산출비율(Emergy yield ratio)은 퇴적물의 손실이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 1.06, 퇴적물의 손실 포함되었을 경우 1.02로 나타나, 제안된 댐 건설의 순산출(Net yield) 은 그리 크지 않았다. 전통적인 비용-편익 분석 방법에 의한 비용-편익비(1.62)와 비교하여 볼 때,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비용-편익 평가에서는 제안된 댐의 편익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에머지 산출비율은 생물종에 포함된 높은 에머지 때문에 시스템의 경계내에서 댐의 건설로 희귀 생물종의 손실이 일어난다면 1.0 미만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 경우 댐의 건설이 초래하는 에머지 비용은 에머지 편익보다 더 크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 자원이 감소하는 현 시점에 있어서 환경의 보다 나은 관리라는 측면에서 개발 계획들의 영향을 평가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소개하였다.
        4,000원
        210.
        199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청남도 내 초지 가운데 68%가 황무지화(중앙일보, 91년 6월 8일), 강원도 횡성군 내 초지의 64%가 부실초지(강원일보, 91년 12월 14일), 강원도 평창군 내 초지 대리관리 증가(도민일보, 93년 7월 27일), 강원도 홍천군 내 부실초지의 대부분은 외지인 소유(도민일보, 93년 7월 28일)라는 기사를 각 신문이 게재하고 있다. 아마 정부기관의 조사료관련 부서가 없어지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인 것 같다. 농후사료는 물론 조사료까지도 전화
        8,300원
        212.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지반 녹화에 적합한 수종의 선정과 식재기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실험식재와 사례조사이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식재를 토한 자연토양과 인공토양의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두 지역의 생육이 비슷하거나 인공토양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공토양 식새지에서 생육상태가 더 좋게 나타난 수종은 옥상실험구에서는 서약측백, 살구나무, 단풍나무, 불두화, 회양목, 지하주차장 상부 실험구에서는 수수꽃다리, 무궁화, 자산홍이었다. 인공토양의 토층별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관목은 토층에 따른 새육상의 차이가 거의 없어, 토층 30cm에 관목식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교목식재지는 45~60cm 토층의 인공토양으로 조성하여도 수목생육이 가능함을 알 수있었다. 인공지반 조경녹화지역 사례분석결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감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목련, 신나무, 희말채나무, 남부지역에서는 남천, 주목, 꽝꽝나무, 아왜나무, 식나무, 사철나무가 인공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에 적합수종으로 분석되었고 그 밖에 향나무, 느티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등은 지역에 관계없이 적정수종을 판단되었다. 인공지반 녹화공간의 관리는 건조가 장기화 될 경우 관수를 해야 하며 또한 연 1회 이상의 시비가 수목 생육에 유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지반 녹화와 관련한 토심규정 세분화와 조경면적으로의 인정기준 등 관련법규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4,800원
        220.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odor of the parts and the odor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classified and verifi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odor quantitative/qualitative analysis, the selection criteria for 5 sensory evaluators were established, and the n-Butanol control solution for each odor intensity was periodically trained to recognize the odor intensity before sensory evaluation. In addition, although various odor thresholds have been used through several studies, verification of whether the odor intensity value obtained through GC/MSD analysis is similar to the degree to which a person directly smells and feels it.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odor threshold that has the best correlation with the odor intensity calculated by the person smelling the odor. Finally, sampling and measuring flowing airflow and temporary odors such as odor component analysis was experimentally difficult due to limited collection space and differences in concentration of generated components. In this study, a quantitative analysis was made possible by using the low temperature concentration (cooling) trap metho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with the actual odor intensity was not caused by the product itself, but by the environmental factor discharged from the product after creating the odor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