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found that flotation efficiencies for removing algae and micro particles in raw water were optimized on mixing intensity and time of the mixing and flocculation conditions with a continuous DAF system. It is more efficient for mixing intensity at 23.1 s-1 and time at 660 s(Gt value : 15246) to float flocculated floc with the raw water in M water treatment plant. Flotation efficiency was more than about 0.9 when operated pressure and A/S ratio were sustained at 5 kgf․cm-2 and up to 0.056 mL․mg-1. The continuous DAF system made by the study could be continuously operated for 20 days and sustained not exceeding 4 NTU with raw water with low turbidity(13.4 ~ 9.8 NTU).
This paper proposes an optimal posture for the task-oriented movement of dual arm manipulator. A stability criterion function which consists of three kinds of feature-representative parameters has been utilized to define the optimal posture. The first parameter is the force which is applied to the object. The torque of each joint and position of arm are attained from the current sensor and encoder, respectively. From these two data, the applied force to an object is estimated using sum of vectors of the joint torques estimated from the measured curr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bustness of each posture, the variation of the end-effector from the encoder information has been utilized as the second parameter. And for the last parameter for the optimality,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has been used. The total consuming energy of each posture can be computed from the current information and the battery voltage. The proposed robot structure consists of a mobile inverted pendulum and dual manipulators. In order to define the optimal posture for the each object, external disturbances are applied to the mobile inverted pendulum robot and the first and second parameters are investigated to find the optimal posture among the pre-selected most representative postures. Finally, the proposed optimal posture has been verified by the proposed stability criterion function which consists of total force to the object, the fluctuation of the end-effector position, and total energy consump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s has been verified and demonstrated through the practical simulations and real experiments.
현재 부산항신항과 배후단지 물류업체를 연계하는 셔틀운송에는 배후단지 물류업체가 독자적으로 운송차량을 보유하고 운용함으로써 자원소모의 중복성이 있으며 불규칙한 운송화물의 발생으로 화물운송에 매번 다른 차량이 투입되어 업체들이 특정 지역에 밀집되어 있는 단지의 지리적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동적계획을 구성하고 휴리스틱 방법을 통해 작업 스케줄링과 실시간 작업규칙을 구성하며 물류기업의 수 배송 계획에 풀링과 듀얼사이클링을 적용하여 셔틀운송에 소요된 자원의 감축효과와 효율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한다.
본 연구는 고비의 성엽으로부터 항산화 물질 추출과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적정 추출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동결건조 한 다음 분쇄한 고비 성엽 1 g을 메탄올, 80% 에탄올, 물 등 3종류의 용매와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침지, 60℃의 항온 수조에서 가열, 200 rpm에서 교반하여 6시간동안 추출하거나 42 kHz의 초음파 수조에서 15, 30, 45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다음 최종 볼륨을 50 mL로 정량하여 가용성고형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의 함량을 구하였으며, 항산화활성은 0.15 mM의 DPPH와 7.4 mM의 ABTS radical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고비 성엽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메탄올과 8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을 용매로 초음파 수조에서 15분 동안 추출했을 때 총 폴리페놀의 함량(45.15 mg·g-1 db)과 DPPH radical 소거활성(RC50=0.35 mg·mL-1)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메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38.10~38.10 mg·g-1 db),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80% 에탄올을 용매로 상온침지 또는 가열추출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RC50=0.21~0.22 mg·mL-1). 연구의 결과, 초음파 수조를 이용한 추출은 노력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추출방법으로 생각되었으며, 고비의 성엽은 메탄올을 용매로 15~30분 동안 초음파 수조에서 추출하는 것이 추출물의 다양한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자육종의 발전에 따라 좀 더 유용한 형질전환 식물체를 더 많이 얻어내기 위한 많은 형질전환 기술들이 개발되어오고 있으나 새로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품종들이 실시간으로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며 개발된 품종에 적합한 새로운 형질전환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 또한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 L.)은 전 세계적인 주요 화훼작물 중 하나로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작물이다. 따라서 기술개발의 파급효과가 큰 카네이션을 대상으로 조직배양 및 형질전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장에서 주요하게 거래되고 있는 주요 품종 18종을 수집하고 이 중 조직배양을 통한 신초 분화 능력이 우수한 4개 품종 Yellow dotcom, Jakarta, Belmonte, Polar tessino 등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4개 품종에 공통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생장조절제는 MS+Sucrose 3%+NAA 1.0 mg/L+TDZ 1.0 mg/L.이었으며 MS+Sucrose 3%+NAA 3.0 mg/L+BA 1.0 mg/L 처리는 Belmonte.에 적용 가능한 생장조절제 조합이었다. 캘러스 형성과 신초 분화에 가장 효율적인 기본 배지는 MS이었으며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3%로, Phytagel 0.3%를 배지 경화제로 처리하는 것이 조직배양을 통한 재분화 식물체 획득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가장 효율적 조직배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직배양 부위는 줄기 부위 이었으며 이 부위를 배양재료로 사용할 경우 신초 생성율을 80.2%까지 올릴 수 있었고 배양소요 기간도 6일 정도 단축할 수 있었다.
기상청 내외의 기상·기후 및 기후변화의 R&D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변화와 새로운 요구들에 대하여 개개 기관들의 근원적 임무들에 대한 역할들이 조사되었다. 선진국 기관들과 국제기구들의 서비스 내에서 R&D 프로젝트들의 현황과 미래 경향들이 역시 조사되었다. 그러한 전망과 변화들에 근거하여 기상청 비전과 정책과 연관된 R&D 관리와 운영의 미래 개발에 대한 방향들이 유도되었다.
첫째, 소프트웨어나 시스템의 개발, 개선 및 창출하기 위한 현업용 R&D 자금을 가진 내부 기상청 기금과,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얘기하는 기상청 현업과 정부기관의 대형 프로젝트를 위한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지원을 위한 기금, 그리고 나머지는 기상과 기후/기후변화에 대해 기본과학기술을 연구하는 기상지진연구사업단(CATER), 기후과학연구관리단(RACS) 등과 같은 순수 R&D 기금에 대한 기상청 내부의 수행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와 달성에 대해 최대화하기 위한 R&D 프로젝트 추적 시스템적인 개선의 연구 개선들과 전략을 분해하는 것으로, 평가지수의 다른 가중가치와 방법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시스템적인 개정에 대한 두가지 방법이 있다.
나머지는 여러 분야들에서 도래된 미래 계획에 대한 핵심기술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R&D에 대한 기상청 투자 전략들을 이끌어갈 새로운 매트릭스들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은 첨단기술에 대해 한국의 국가 및 국제 경쟁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