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04 in the metropolitan and surrounding areas of Seoul, Korea, was performed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indoor and outdoor level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14 residential houses. In addition, indoor/outdoor ratios of PM10, PM2.5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10, PM2.5 concentrations and respiratory symptoms by self recording questionnaire of 14 houses was investigated. In conclusion,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ail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PM2.5 concentrations and respiratory symptoms among residents, the levels of indoor PM2.5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utdoor levels. The indoor PM10, PM2.5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the amount of time spent of residents. Further research should be direct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M10, PM2.5 concentra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lve into the problems of originality of the artwork by examining issues of reproduction within the contemporary art market. In contemporary arts, especially in terms of art production and consumption, we can’t overlook society and its economic structure and its connection with of capitalism. As the purity of art creation has turned into an exchange value, art, especially an object as artwork, has fallen into the status of production in an economic marketing system. Walter Benjamin mainly referred to that point in his thesis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which originated the sociology of plastic arts. This thesis, published in 1936, traced how the artistic functions of photograph and movie had been changed through the social development. His main concerns were movie and photograph but what I am concentrating from his point of view, is that even in the field of plastic arts, the manufacture of reproduction has been practiced as a primary method with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and development. Though I am referring to this in the main body of this article, reproduction in contemporary art strongly needs a new definition since it has been spread all over like a newest virus, not only by collector’s personal taste or but also by commercial circulations of these reproductions to the public. This relates to Benjamin’s argument about the value of an exhibition at a museum(Ausstellungswert). Since the function of an artwork has been one of cultural industry, the manufacturing of reproduction raises unexpected problems, such as, the originality of the artwork, the value of an exhibition at a museum, its achievement as documentary and as a territory of art criticism. In this point of view, I want to inquire into the value and criteria of an exhibition in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review of the definitions and the intrinsic attributes of reproduction. Somehow in a broad sense, the reproduction is a product coming out of representation or copy (replica) of an original art work or an model. Therefore, the problems it presents differ from the Simulacre, which is an image without an original one. In terms of the Meanings of reproduction, we can distinguish it as reproductions, copies, and productions. These types of reproductions are not the original artworks reflected by the creative intention of the artists. For example, a publishing company reproduced some of lithographs of Salvador Dali in the 1960s. They are commercial copies in the form of representation or reproduction with no artistic and creative intention of the artist. However, In despite of this theoretical basis, reproductions of the famous artists are still displayed without any verification for of the public’s quest for the artworks. Moreover, many commercial companies that are planning to exhibit art works of the world-famous artists only for their profits keep trying to speak ill of and judging by the law the honest art critics’ articles which discuss the true values of exhibition. If freedom of expression is one of the ideals of democracy, even the judgment of the originality of the artworks should be freely expressed.
형질전환 동물의 유선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도록 고안된 pBIL-10 발현 벡터를 이용하여 인간 IL-10 유전자가 삽입되어 한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 생쥐에서 이 유전자가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고, 또한 발현 수준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제 8 세대의 수컷 hIL-10 형질전환 생쥐를 실험에 공시하였고, 제 15 세대까지의 전이율과 hIL-10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제 8 세대 생쥐의 계대 번식에 의한 자손 중 50.9±5.8%가 형질전환 생쥐로 판명되었다. 또한 제 9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66.0±20.1%이렀고, 제 10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61.5±16.7%이었고, 제 11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1.1±8.4%이었고, 제 12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0.7±20.3%이었고, 제 13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61.3±10.8%이었고, 제 14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9.2±18.8%이었고, 제 15 세대에서 외래 유전자의 전이율은 43.8±25.9%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hIL-10 형질전환 생쥐는 그 외래유전자의 유전적 손상이 없이 장기 세대까지 안정적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판다된다. 제 9 세대의 암컷 형질전환 생쥐로부터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3.6± 1.2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다. 제 10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4.2±0.9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고, 제 11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5.7± 1.5 mg/ml의 수준에서 측정되었고, 제 12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6.3±3.5 mg/ml의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제 13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6.8±4.5 mg/ml의 수준으로 측정되었고, 제 14세대에서는 유즙내 인간 hIL-10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을 때, 그 농도는 평균 6.8±3.1 mg/ml의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수준은 제 1 세대의 것보다 높은 결과로 형질전환 생쥐에서 인간 IL-10 유전자의 발현은 최소한 15 세대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장기 세대까지도 발현수준이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계통으로 확립된 형질전환 동물에 부여된 새로운 유전형질은 지속적으로 후대로 유전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고는 10세기 중·후반에 한문학 진흥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경주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은 원인을 밝힌 것이다. 10세기 중·후반은 한문학을 진흥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이전 시기와 성격을 달리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통치자의 기대와는 달리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문학의 부진에 대한 원인은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일방적이고 몰주체적인 중국 문화 수용에 대한 반발 분위기가 집단적으로 존재하였다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중국 문화를 전범으로 해서 한문학을 향상시키려는 정책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최승로, 이지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지속적으로 향가가 향유되고 있는 현실에서 원인을 찾았다. 이 시기에 향가는 한시와 동등하게 가치를 부여받으며 특히 감흥의 영역을 담당하였다. 향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은 한시의 영역이 확장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정착되지 않은 과거제도이다. 과거제도를 통해 성취하는 사회적 영달은 곧 가문의 영달이라는 의식이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사실은 과거제도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10세기 중·후반의 한문학은 적극적인 진흥책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the CWC of Chosun university for the purpose of resistanc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laning hull, and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confirmed cooperatively with WJFEL. G/T 100 ton class planing hull form was selected, and the improvement of hull form including appendages were performed by using some model test techniques. The model test scope comprises resistance relative tests including wave profile observation, trim and sinkage measurement and flow visualization tests at full load and trial conditions for one bare hull and for two appended hulls. The final wedge and spray strip combined with improved hull form showed about 1.0 knot speed improvement at both of full and trial conditions, and outstanding improvement for fore wave phenomena.
WRC-03 was held between 9 June and 4 July 2003 in Geneva, Switzerland. Over 2,200 delegates from 138 ITU Member States attended the Conference. The delegates considered some 2,500 proposals, and over 900 numbered documents related to 50 agenda items. The final output of the Conference consists of 527 pages of new and revised text of the Radio Regulations. This paper provides some details about the outcome of the radio astronomy related issues at the WRC-03 Conference. It is divided into two part: a) Agenda item1.8.2 and b) Agenda item 1.32, related to radio astronomy. Relevant extracts from the Final Acts of WRC-03 are given in the Appendix.
Agenda item 1.8.2 w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Agenda Items at WRC-03. Studies were carried out within ITU-R TG 1/7 for the last three year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ummarized in Recommendation ITU-R SM.1633. The Conference adopted a new footnote (5.347A), that calls for the application of Resolution 739 (WRC-03) in the 1452-1492 MHz, 1525-1559 MHz, 1613.8-1626.5 MHz, 2655-2670 MHz, 2670-2690 MHz and 21.4-22.0 GHz bands.
Agenda item 1.32 is to consider technical and reglatory provisions concerning the band 37.5-43.5 GHz,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s 128 (Rev.WRC-2000) and 84 (WRC-2000). WRC-03 reviewed and adjusted the New footnotes 5.551H and 5.551I cover the protection of radio astronomy observations in the 42.5-43.5 GHz band from unwanted emissions by non-geostationary (5.551H) and geostationary (5.551I) FSS and BSS systems, respectively.
2002년 12월 10일 발생한 철원지진에 의해 기록된 지진파의 파상(phase)분석을 하고, 진원위치, 발생시간, 지진규모 등의 진원요소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진관측망에 의해 기록된 속도 및 가속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지진은 휴전선 이북에서 발생한 관계로 휴전선 이남에서 직접파인 Pg가 기록된 관측소는 5곳에 불과하다. 또 굴절파의 초동파인 Pn은 대부분의 관측소에서 구분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진원 결정에서 기존의 방법으로는 오차가 클 가능성이 있다. 기록된 각 파의 구분을 위하여 Kim et a1. 개발한 파상 분석법과 주시곡선을 사용하여 P 및 S파의 직접파, 반사파 및 굴절파를 구분하였다. 진원위치 및 발생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Pg, Pn, Sg, Sn 파 외에 PmP 및 SmS 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정확도를 증가시켰다. 진앙거리 200km 미만의 11개 자료로 결정한 철원지진의 진앙은 북위 38.81도, 동경 127.22도, 그리고 진원 깊이는 12.0km이며, 발생시간은 7시 42분 51.4초(한국시간)이다. Richter의 지진규모 정의에 따라 계산된 각 관측소의 평균적 지진규모는 M_{L} 3.6이다. 이 규모는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결정한 규모보다는 각각 0.2와 0.5만큼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