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은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 느타리 버섯속에 속하며 성숙한 갓의 모양은 폐모양이며 자실체는 여름에서 초가 을 사이에 침엽수의 죽은 부위에서 발생하며 항염증, 항콜 레스테롤, 항고지혈증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새로운 유망 야생버섯을 개발하 기위하여 강원도 내·외에서 수집한 산느타리버섯 10계 통에 대하여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성을 검 정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GWM-20107 등 4계통을 1차로 선발한 후 선발된 4계통의 단포자 분리 및 4계통간 교배를 하여 교배계통 6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된 교배 계통에 대한 2차 선발을 하여 강원도 자생종 수집계통인 GWM20107와 GWM20148 과의 교배계통으로서 Ppm- 430 계통을 우량계통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Ppm- 430계통의 주요 특성으로는 자실체 발생온도는 16∼ 18℃, 생육온도는 15∼17℃이며 850㎖ 병재배가 적합하 며 병재배시 군사배양기간은 32일이며 균긁기 후 초발이 소요일수는 3.4일이었다. 자실체의 발생형은 다발형, 갓 의 단면 형태는 얕은깔떼기형, 갓의 색깔은 흑갈색, 대의 색깔은 흰색, 갓에 대한 대의 부착형은 편심형, 수량은 850㎖병당 102.2g이었으며 맛과 색깔이 양호하였으며 적합한 배지조성은 미송톱밥25+면실박20+콘코브25+ 비트펄프30%이었다.
Our goal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denudation on the enucleation efficiency and developmental competence of embryos following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and parthenogenetic activation (PA). Oocytes were denuded following 30 h of in vitro maturation (IVM) and then cultured with (D+) or without (D-) their detached cumulus cells for additional h. Control oocytes were denuded after h of IVM. The size of the perivitelline space was larger at 40 h of IVM () than at 30 h ( p<0.01). The distances between the metaphase II (M II) plates and the polar bodies (PBs) were shorter in D+ () and D- oocytes () than in control oocytes ( p<0.01). Enucleation rates following blind aspiration at 40 h of IVM were higher (p<0.01) in D+ (92%) and D- oocytes (93%) compared to controls (82%). Early denudation did not affect oocyte maturation or the in vitro development of SCNT and PA embryos. When SCNT embryos from D+ oocytes were transferred to four gilts, pregnancy was established in two pigs, and one of them farrowed three live piglets. In conclusion, early denudation of oocytes at 30 h of IVM could improve the enucleation efficiency by maintaining the M II plate and the PB within close proximity and support the in vivo development of SCNT embryos to term.
본 연구는 도로설계 시 차로수 결정에 사용되는 적정 설계시간계수값의 특성분석과 적정 설계시간계수값을 적용하는데 있어 세부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 일반국도 93개 상시교통량 조사지점에서 8년 동안 수집한 시간교통량 및 AADT 자료를 이용하여 AADT 증가와 시간적 변화에 따른 설계시간계수값의 변화를 회귀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회귀식 모형은 30번째 시간교통량을 독립변수로 AADT를 종속변수로 하는 상수항이 없는 단순회귀식으로 구성하였으며, 회귀식은 차로수 구분(2차로, 4차로)과 AADT 수준(3개 그룹)에 따라 별도로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안한 회귀식 모형은 추정오차가 작고 모형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설계시간계수의 시계열적인 변동특성 분석결과, 설계시간계수는 연도별 변화가 크지 않고 차로수 또는 교통량이 클수록 작아지는 특성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연구의 한계로는 기존방법에서 채택하고 있는 30번째 혹은 100번째 순위의 설계시간계수는 맞다는 가정하에 분석을 진행한 것으로, 주 5일제 확대에 따른 여가통행 증가, 도로의 지역적 교통특성 등에 따른 설계시간계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에 국내 실정에 맞는 최적순위의 설계시간계수 제시를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Recently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is actively being developed and studied, and this trend is explained with the following effects. Technological effects expected from the application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include the reduction of section, the decrease of structure mass and the improvement of workability. As for the reduction of section, the use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is effective for plane and height, and the effect is even higher when it is applied to high-rise buildings. The decrease of concrete mass resulting from high strength is advantageous for earthquake resistance, reduces the use of earthquake-resistant members, and brings resource substitution effects. In addition, forms can be removed early thanks to self-fillability and early expression of strength resulting from the high fluidity, and this increases construction efficiency and shortens construction period.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and investment in high-rise buildings throughout the world, and countries are competing for higher buildings in order to display national status and technological power through high-rise buildings. In addition, the use of concrete materials in steel-frame building is increasing as residential buildings are growing higher. Currently the application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is limited to high-rise buildings and protective buildings for special purposes. However, its application is expected to expand to attain the effect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For this purpose, we tested the field applicability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simulated members. Mixture ratios derived from basic experiment were tested using reduced simulated members. Using the obtained results, the decrease of hydration heat and the increase of compression strength were compared and the optimal mixture ratio was selected. Concrete of the selected mixture ratio was produced at a ready-mixed concrete factory and placed at a construction site using a pump car. Through the experiment on field applicability, we presented basic materials on the construction-related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미국 서부 지역을 근간으로 도출된 30m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Vs30)는 부지 증폭 정도에 따른 설계 지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현행 지반 분류 기준이다. 부지의 Vs30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현장탄성파 시험으로부터 적어도 30m 심도까지의 전단파 속도(Vs) 분포를 획득해야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현장의 불리한 여건 및 적용 시험 기법의 제한으로 인해 Vs분포 결정 심도가 30m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총 72개소 부지들에서 다양한 탄성파 시험 수행을 통해 30m 이상 심도까지 Vs 분포를 획득하여 Vs30과 30m보다 얕은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VsDs)들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Vs30과 VsDs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모든 Vs 분포 자료의 평균에 근거한 형상 곡선을 작성하여 Vs 분포를 얕은 심도부터 30m까지 외삽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얕은 심도 Vs 분포로부터의 Vs30 산정을 위하여 VsDs와 형상 곡선을 이용하는 두 기법은 최하단 Vs를 30m 심도까지 동일하게 연장하는 단순 기법에 비해 편향 정도가 적었으며, 특히 최소 10m 이상 심도까지 확보된 Vs분포의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ven though 30inch optical telescope at Kyung Hee Astronomy Observatory has been used to produce a series of scientific achievements since its first light in 1992, numerous difficulties in operating of the telescope have hindered the precise observations needed for further researches. Since the currently used PC-TCS(Personal Computer based Telescope Control System) software based on ISA-bus type is outdated, it doesn't have a user friendly interface and make it impossible to scale. Also accumulated errors which are generated by discordance from input and output signals into a motion controller required new control system. Thus we have improved the telescope control system by updating software and modifying mechanical parts. We applied a new BLDC(brushless DC) servo motor system to the mechanical parts of the telescope and developed a control software using Visual Basic6.0. As a result, we could achieve a high accuracy in controlling of the telescope and use the user friendly GUI(Graphic User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