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6

        161.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에서는 침로와 속력을 유지할 의무가 있는 피추월선인 유지선, 어로에 종사중인 유지선, 횡단상태의 유지선 등의 유지선이 피항선과 아주 가까이 접근하여 피항선의 피항동작만으로 충돌을 피할 수 없을 때는 급박한 위험을 피하기 위한 조치로서 유지선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최선의 협력동작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으나, 이 규칙에서는 두 선박이 어느 정도의 거리로 접근하였을 때 유지선이 협력동작을 취하여야 하는지 안전한계의 피항개시거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유지선의 최선의 협력동작을 취할 시점의 기준이 되는 최소피항개시거리를 선체운동학적인 관점에서 해석.연구하고, 실선시험에서 구한 11척의 소형, 중형, 대형 및 초대형 선박의 조종성능수를 이용하여 최소피항개시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검토.고찰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선, 중형선, 대형선 및 초대형선을 막론하고 어느 선박에서나 유지선이 취하여야 할 최소피항개시거리가 가장 큰 경우는 양 선박이 조우하는 침로교각이 90˚이며, 90˚와 90˚부근의 각도(70~90˚)에서 충돌의 위험이 가장 높다. 2. 침로교각이 90˚인 경우에 유지선이 취하여야 할 최소피항개시거리는 소형선(160~650톤급 선박)에서는 그 선박 길이의 약 6.8배 이상, 중형선(2,300~3,500톤급 선박)에서는 약 9.0배 이상, 대형선(22,000~62,000톤급 선박)에서는 약 5.4배 이상, 초대형선(91,000~139,000톤급 선박)에서는 약 6.8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소형선, 중형선, 대형선 및 조대형선을 막론하고 어느 선박에서나 침로교각이 90˚부근의 각도(70~90˚)에서 유지선이 취하여야 할 안전피항개시거리는 그 선박 길이의 9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소형선, 중형선, 대형선, 및 초대형선을 막론하고, 어느 선박에서나 침로교각이 크게 둔각인 경우에는 적은 예각인 경우보다 충돌의 위험이 더 크므로 더 큰 거리를 두고 피항동작에 들어가야 한다. 5. 유지선과 피항선간에 유지선이 급박한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침로만으로 최선의 협력동작을 취하는 경우 본 논문에서 계산한 각 침로교각에 대한 최소피항개시거리와 안전피항개시거리을 미리 염두해 두고 피항조선을 하게 되면, 감각에 의한 조선방법으로 야기되는 충돌해난사고를 지양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000원
        162.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of 4 positions produced the highest action potential in the rectus femoris muscle of normal adult subjects. Testing was performed in supine with the right leg performing a simple straight leg raise with the knee fully extended. The left leg, however, was placed in 4 different positions: 1. Full support with flexion. 2. Flexed on the plinth with knee flexion and foot flat. 3. Same as N0.2 but with knee flexion. 4. Left leg hanging over the end of the plinth with knee flexion, hip flexion and no foot suppor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evel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under 4 positions. Fourty-three healthy young adults performed three trials of each exercise condition in random order in the supine positi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was recorded from surface electrodes. Rectus femoris action potentials in all 4 pos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ighest action potential at the end of movement of the right leg occurred with the left leg hanging over the end of the plinth with knee flexion.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e straight leg raising be performed with the contralateral leg flexed at over the end of the supporting surface to obtain a maximum rectus femoris isometric contraction.
        4,000원
        163.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VMO) had greater electrical activity than the vastus lateralis muscle(VL) when hip adduction and knee extension exercise were performed. Electrical activity of the VMO and VL was measured on 42 healthy subjects (28 men, 14 women) during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s of hip adduction and knee extension by an EMG-BIOFEEDBAC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MO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VL during the hip adduction exercise. Differences noted with knee extension by performing hip adduction exercises. Isometric hip adduction exercises, therefore, may be advisabl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4,000원
        165.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계통 점박이응애에 대한 amitraz와 bifenthrin, propargite, fenbutatin oxide, dicofol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연합독작용을 시험한 결과, 살비제 혼합에 의한 협력작용은 살비제 조합 또는 그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모든 약제조합에서 협력작용이 나타나, amitraz와 bifenthrin의 혼합에서 2:8, amitraz와 fenbutatin oxide의 조합에서 8:2, amitraz와 propagite의 혼합에서 4:6 그리고 amitraz와 dicofol의 조합에서는 6:4의 비율에서 최대의 협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4,000원
        168.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permethrin과 pirimicarb도태 저항성계통 복수아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대한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 혼합시의 연합독작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permethrin 도태 저항성계통에 Cypermethrin+acephate, cypermethrin+demeton-S-methyl, cypermethrin_pirimicarb를 처리하였을 때, 혼합비에 따른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독립작용 또는 길항작용을 보였다. Pirimicarb 도태 저항성계통에 pirimicarb+acephate, pirimicarb+cypermethrin을 각각 8:2, 2:8 혼합처리하였을 때 최대의 협동결과를 보였으나, pirimicarb+demeton-S-methyl의 경웨는 혼합비에 관계없이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4,000원
        169.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종류(種類)의 살충제(殺蟲劑)(monocrotophos, diazinon(유기인계(有機燐系)), carbofuran, BPMC(carbamates계(系)) 중 두 약제(藥劑)를 택하여 1대 1 비율로 섞은 6가지 혼합제(混合劑) 조합(組合)들에 대한 협력작용(協力作用)을 보이는 조합(組合)을 발견하기 위하여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끝동매미충(Nephotettix virescens)을 공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벼멸구에 대하여는 carbofuran과 diazinon 조합(組合) 및 BPMC와 carbofuran 조합(組合)이 협력작용계수(協力作用係數) 200정도로 효과적이었다. 2. 끝동매미충(N. virescens)에 대하여는 diazinon과 monocrotophos 조합(組合)이 협력작용(協力作用) 계수(係數) 234로 효과적이었다. 3. 여타의 조합(組合)들은 독립용작(獨立用作)내지 부가작용을 보였다.
        4,000원
        170.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acephate, demeton-S-methyl)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을 공시(供試),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혼합(相互混合)의 연합독작용(連合毒作用)을 검토(檢討)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demeton-S-meyl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2.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pirimicarb의 혼합(混合)에서는 유사작용(類似作用) 내지 독립작용(獨立作用)만 관찰되었을 뿐 협력작용(協力作用)은 관찰되지 못하였다. 3.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혼합비(混合比)에 관계(關系)없이 모두 길항작용(拮抗作用)을 나타내었다. 4.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acephate, demeton-S-methyl: pirimicarb 혼합(混合)에서는 각각(各各) 2:3, 3:2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5.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4,000원
        171.
        198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action of various antioxidants on the photooxidation of rice bran oil, it was irradiated with red and visible light in presence and absence antioxidants with or without sensitizer (methylene blue). 1. Rice bran oil with and without sensitizer in chloroform-ethanol (4:1, v/v) media was largely oxidized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on the other hand, rice bran oil without sensitizer was hardly oxidized under red light irradiation. 2. Rice bran oil with sensitizer was oxidized much faster than that without. And the absorbance of it irradiated with visible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with red light. 3. The effectiveness of antioxidants on the rice bran oil photooxidation was same order as follows: Irradiation with visible light, no addition of sensitizer β-carotene 〉 dl-α-tocopherol 〉 BHT 〉 BHA Irradiation with visible light, addition of sensitizer β-carotene 〉 BHT 〉 dl-αtocopherol 〉 BHA Irradiation with red light, addition of sensitizer β-carotene 〉 BHA 〉 BHT 〉 dl-α-tocopherol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rice bran oil was largely oxidized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therefore it must be protected from photooxidative deterioration by the addition of antioxidants.
        3,000원
        175.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 제14조의 마주치는 상태의 항법에서 피항선들이 피항동작을 취할 시기의 기준이 되는 피항개시거리를 선체운동학적으로 해석산출하기 위하여, 수척의 대소형 선작의 실선시험에서 구한 조종성지수를 이용하여 피항개시거리를 산출하고 이를 검토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척의 동력선이 충돌의 위험이 내포되도록 정면 또는 거의 정면으로 마주치는 경우 변계만으로 피항동작을 취할 때 최소피항개시거리는 자선 길이의 약 5배이다. 2. 2척의 동력선이 충돌의 위험이 내포되도록 정면 또는 거의 정면으로 마주치는 경우 피항동작을 취할 안전피항개시거리는 자선 길이의 약 10배이다. 3. 특정한 선형에 대하여는 본 연구에서의 계산법에 의한 최소피항개시거리와 안전피항개시거리를 산출하여 두면 감각에 의한 조선방법으로 야기되는 충돌해난사고를 지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000원
        177.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furan (2,3-Dihydro-2,2-Dimethyl-benzofuranyl methyl carbamate)와 Diazinon (0,0-Diethyl-0-(2-isopropyl-4-methyl-6-pyrimidinyl) phosphorothioate)을 10:0, 9:1, 8:2, 7:3, 6:4, 5, 5, 4:6, 3:7, 2:8, 1:9, 0:10의 비율로 혼합하여 거세미나방 3냉기유충의 가운데 가슴등판에 1.0μl씩 국소처리 하였을 때, 이들의 연합독작용을 평가하였다. Carbofuran Diazinon을 혼합하였을 경우 거세미 나방 3령기유충에 대해서 협력작용(Synergism)을 나타내었으며 Carbofuran과 Diazinon을 4.8 : 5.2의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최대의 협력효과(Synergistic effect)를 얻을 수가 있었다.
        4,000원
        178.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International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 at Sea) 제 15조, 제 16조 및 제 17조는 횡단상태에 있는 선박들의 피항방법에 대해서 지시하고 있으나, 피항선이 피항동작을 취할 안전한계접근거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 거리를 선체운동학적으로 해석하여 이에 대한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실선시험에서 소형 및 대형선의 조종성지수를 구하고, 이를 산출식에 적용하여 안전한계접근거리를 계산하였다. 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형선 및 대형선을 막론하고 가장 큰 거리를 두고 피항동작에 들어가야 하는 경우는 양선박이 조우하는 침로교각이 90˚부근의 각도이며, 안전한계 접근거리는 소형선(200~300 ton급 선박)에서는 자선길이의 약 5배 이상, 대형선(100,000 ton급 선박)에서는 자선 길이의 약 11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양선박이 조우하는 침로교각이 크게 둔각인 경우에는 적은 예각인 경우보다 충돌의 위험이 더 크므로, 더 큰 거리를 두고 피항동작에 들어가야 하며, 특히 대형선인 경우에는 주의를 요한다. 3. 국제해상충돌예방규칙 제 16조의 피항선의 동작은 물론, 동 제 17조 a항(ii)호의 유지선의 피항동작도 위의 안전한계접근거리 밖에서 이루어져야하며, 부득이 안전한계접근거리이내에서 피항동작을 취할 때는 주기관의 동작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4. 횡단상태에 있는 양선박간에 피항선이 변침만으로 피항동작을 취하는 경우 본 논문에서 계산한 각침로교각에 대한 안전한계거리를 미리 염두에 두고 피항조선을 하게되면 감각에 의한 조선방법으로 야기되는 충동해난사고를 지양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4,900원
        179.
        197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볍씨를 Dimethoate 액에 침지처리하였을 경우 약제의 침투량 및 볍씨의 발아생리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수도품종 12개를 공시하여 침지시간, 농도 및 온도에 따르는 약제침투량 그리고 처리에 의한 볍씨의 발아생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imethoate 침투량은 공시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볍씨 100입당 약제침투량은 수성>관옥>농광>진흥>팔달>승판 5호>수원 82호>농림 6 호>시로가네>신 2호>풍광>재원의 순서 이었고 종자당 약제 침투량은 대립종에서 많았고 소립종에서 적었으며 1g당 약제침투량은 그와 반대로 소립종에서 많았다. 약제침투량과 볍씨의 흡수율과의 상관은 로 낮았다. 2) 약제침투량은 침지시간,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처리온도의 영향이 컸다. Dimethoate에 48시간 침지처리하였을때 볍씨 1g당 약제 침투량은 에서는 0.174mg, 술에서는 0.208mg 및 에서는 0.397mg이었다. 3) Dimethoate처리가 볍씨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발아저해도의 순위는 Dimethoate액에서 24시간 처리의 경우 팔달>수원 82 호>진흥>풍광>재건>시로가네>농광> 농림 6 호>신 2호>수성>승판 5호>관옥이었고 48시간 처리의 경우 진흥>승판 5호>수원 82호>팔달>농광>재건>신 2호>관옥>시로가네>풍광>수성>농림 6호이었으며 발아저해도와 약제침투량간의 상관은 로 유의하였다. 4) Dimethoate처리액에서 24시간)에 의하여 볍씨의 발아가 억제되었으며 평균발아속도는 약 2일 지연되었고 그 정도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5) 공시품종의 발아속도와 발아저해율과는 정의 정관을 나타내었으며 발아속도가 빠른 품종에서 발아저해율이 낮았고 딴대로 발아속도가 늦은 품종에서 발아저해가 심하였다. 6) 공시품종의 화학적조성중 단백질이 발아저해도와 가장 관계가 깊었는데 단백질의 함량이 낮은 품종은 Dimethoate에 의한 발아저해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7) 공시품종의 KOH 붕괴도는 품종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KOH 붕괴도가 큰 품종이 발아저해가 심하고 작은 품종은 덜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KOH 붕괴도와 단백질 함량과는 의 높은 상관을보였다. 8) 공시품종의 산소호흡량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Dimethoate처리액에서 24시간)에 의하여 볍씨의 호흡량이 감소되었다. 9) 산소호흡량과 평균발아소요일수와는 로 부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산소호흡량이 많은 품종은 평균발아소요일수가 짧은 경향을 보였다. 10) 볍씨의 산소호흡량과 Dimethoate 처리에 의한 볍씨의 발아저해도와는 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산색호흡량이 많은 품종이 발아저해도가 낮고 적은 품종에서는 높았다.
        5,200원
        180.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experiment to evaluate the various aspects of symptom of witches' broom of jujube tree with two different kinds of scions, taken from diseased plant and stem- grafted upon sound stocks-one cut before wintering(stored in cellar), the other after wintering, it was observed that the disease rate of those cut before wintering(Nov.) was whereas those cut after wintering(March) showed much lower rate, initially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 In another experiment of diseased bud grafted into healthy seedling, the finding made in the following year was that 14 stocks(only one of which salt union by callusing) were infected out of the given 23- in the initial stage only 4, yet gradually increased to the number of 14. The shoots from the ground portion of the diseased stock were in general more quickly subjected to the disease than the others. Under natural condition, the diseased trees develop at first seemingly the same leaves as healthy ones, it is not until the branches and loaves grow to a considerable degree that the symptom appears. Once appearing, tile disease grows and the symptom continues to appear as late as in Sept. and early Oct., causing tile plant to develop the extraordinary branches and leaves of extremely reduced size, the typical symptom of witches' broom. Such phenomenon can be observed in the experiments of the foregoing paragraphs. And the suckers and roots of diseased plant are bound to be infected, it was found out with no exception. Viewing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experiments and observ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low temperature during winter causes the virus in the above-ground portion of diseased plant to diminish or inactivated, and subsequently the virus in the roots moves up or multiply in the sprouting seaso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