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4

        1023.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리우산버섯균의 기초적인 자료를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있을 인공재배 및 균사체 대량증식법 등의 연구에 있어서 발판이 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에 사용된 무리우산버섯균은 액체배지의 경우 Glucose pepton에서 202mg/18일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고체배지는 YMG배지에서 81mm/8일로 가장 좋았다. 2. 균사생장 최적 온도는 20∼25℃이며, 최적 산도는 pH 5.5∼6.0 이였으나 pH 6.0∼7.0에서는 생장이 급속히 감소하였다. 3. 무리우산버섯균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영양원으로 탄소원에는 다당류인 Inulin이였으며, Dextrose를 제외하고는 균사생육에 있어서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질소원으로는 무기태질소원인 NaNO3였으며 다른 질소원들은 생장이 저조하였다. 4. 최적 톱밥배지 선정에 있어서 졸참나무가 가장 좋았으며 미송, 아카시나무, 상수리나무, 포플러 순으로 생장이 좋았고, Corn cob의 경우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5.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목섬유의 세포벽의 일부분이 침식되고 세포 내강에서 중간층으로 점차 얇아지는 박벽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6. 균사의 밀도는 도관과 방사유세포에 높게 나타났고, 일부 목섬유에서도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도관 내에 균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목섬유와 유세포에 비해 분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7. PDA배지에 tannic acid를 첨가한 Bavendam 반응에서 배지의 재색이 암갈색으로 변하는 양성 반응을 보여 리그닌 분해 효소중의 하나인 laccase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8. Dry weight에서 5.9%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이에 따른 pH의 변화는 6.07에서 4.31로 배지가 산성화 되였다. 또한 온수추출물에 있어서 톱밥과 미강(4:1 w/w)의 경우 12.98%의 추출량을 보여주었으며 무리우산버섯균이 배양된 배지의 경우 8.56%를 보여주었다.
        4,000원
        1024.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rticle aims to analyze the mission없y activities of Korean churches for Korean diaspora in China and to suggest some missiological tasks for them. The articl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따t deals with the Korean diasporas in China for whom Korean churches have done missionary activities since 1980s. Such as a historical formation of the diaspora community and a reflection of the missionary enterprises of the Korean churches and their missiological tasks for them are included. The second p따t discusses the Korean diasporas in China who have immigrated into Korea as foreign migrant workers. Also the article criticizes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the Korean churches for them and proposes some missiological tasks. The last part emphasizes on realization of the Konvivenz mission which results from the missiological reflections on the missionary activities of the churches. The Konvivenz mission is accomplished through mutual efforts of both the Korean churches and the KoreanChinese.
        8,100원
        1025.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how tableware china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s, during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First, general sociological background of Chosun Dynasty has been reviewed. To examine the kinds of tableware china and their use during this period, this thesis is based on Asakawa Dakumis 'A ceramic ware of Chosun Dynasty' one of the most thorough references available in the field. Various antiques and remains of different periods were compared to study the changes in tableware china types and use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in food culture brought the changes in tableware china. Tableware china and food has developed together complementarily throughout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4,000원
        1029.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se of the Internet and Web-based instruction (WBI), that is, individual instruction delivered wholly or in part via the Internet or an organization's intranet, is growing at an amazing pace in China. This article describes the status of using the Internet and WBI for learning in China, and examines the many cultur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challenges presented by WBI in Chin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the third largest and the most populous country in the world. Because of a weak economic foundation and the difficulty of feeding an immensely large population, Chin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However, recently, China has been experiencing a rapid growth in the use of the Internet and its Web technologies, and many researchers are looking into the implications and impact of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cultur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se of WBI in China. To this end, it synthesizes pertinent literature published both in the Western world and in China to reveal the status of using WBI in China and address the many challenges and issues presented by WBI there.
        4,000원
        1030.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hools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re faced with many challenges when it comes to K- 12 technology integration into classrooms and curricula. The Global Education Model School (GEMS) project aims to help schools overcome these challenges.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 the outcomes of the GEMS program in China, on the basis of which we propose a model for facilitating computer technology integration in K-12 schools China. It is the contribution of this new model to move the emphasis from support of teachers from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s to teacher collaboration at the school and regional levels. Through the use of technology, communities of teachers can be established, providing an enhanced and more sustainable change management process. The ultimate goal of such an improved change management strategy is to help expand technology integration in China's K-12 classrooms.
        4,000원
        103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일본, 한국인의 3개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버섯의 소비형태를 조사하였다. 버섯의 주된 구입장소는 중국인은 시장, 일본인과 한국인은 마트였으며 버섯의 이용정도는 한국인보다는 중국인과 일본인이 더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을 구입할때 모양과 가격을 가장 먼저 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버섯가공품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인(45.1%)에 비하여 중국인(68.3%)과 일본인 (62.4%)이 높았으며 주로 구입해본 가공품으로는 중국인과 일본인 조사 대상자들은 버섯절임류(특히, 일본-병조림)가 가장 많았으며 한국인 조사 대상자들은 버섯차를 가장 많이 구입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버섯(느타리, 큰느타리, 표고버섯)의 구입 형태를 조사한 결과 느타리버섯과 큰느타리버섯의 경우는 생것을 선호하였으며, 표고버섯은 건조품을 많이 이용하였고 주된 요리방법은 볶음이었다. 느타리버섯의 경우 갓의 크기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각각 47.9%와 71.2% 갓의 크기가 2-5cm인 버섯을 선택하는 반면 일본인들은 50.6%가 갓이 2cm이하인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3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과 인접해 있는 중국동북지역에 분포하는 무늬잎말이나방족의 분류학적 연구결과로, 현재까지 보고된 종들과 새롭게 추가되는 중국미기록 2종(Aclerishastina(Linnaeus), A. lacordairana (Duponchel)) 및 중국동북지 역 미기록 1종(Croesia crataegi (Kuznetsov))을 포함하여 총 4속 36종으로 정리되었다. 정리된 종별 정보는 동물이명, 기록문헌, 기주식물, 분포정보 등 필수정보들도 종합 작성되었다.
        4,200원
        103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2년 가을에 제주도를 중심으로한 동중국해 18개 정점에서 그랩으로 채니한 표층 퇴적물 속의 와편모조류시스트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현미경 잔찰시 해상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퇴적물을 HCl과 HF로 처리하여 그 속의 시스트를 관찰하였다 총 13속 21종의 와편모조류시스트가 출현하였는데, Spiniferites bulloideus가 우점종을 차지하고 있었다. 임의로 나눈 제주도 북부 해역인 Part 1정점들에서의 평균 시스트 농도(1,144 cysts
        4,000원
        1038.
        200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lay minerals of thirty-four bottom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nor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China Sea have been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clay mineral distribution is mainly controlled by the sediment source and the dominant circulation pattern. The predominant clay mineral in our study area is illite comprising more-than 70% of whole clay fractio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illite (〉72%) is found in the southeastern offshore parts beyond the reach of terrigenous input from the Cheju Island. It means that these illites are largely transported by the Kuroshio Current from the South China Sea. Smectite is highly concentrated in the northwest middle part and in the outer-shelf mud patch. It seems to be due to the high supply of smectite transported from China where the fine-grained sediments are discharged from the modern and ancient Huanghe River. The relatively high abundance of kaolinite is likely derived from the Changjiang River via Taiwan ·Warm Current. In contrast, the large amounts of chlorite and high chlorite/kaolinite ratios occur in the northwestern are, reflecting the transportation by the Huanghai Sea Coastal Current from the southern Yellow Sea.
        4,000원
        103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과 북한의 국경을 이루는 두만강 접경지역을 따라 중국 측에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2과 287속 470종 57변종 4품종, 총 531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나타났다. 식물상 조사는 고층습지, 해안사구, 하천, 고산초원,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혼효림, 노방식물군 등 다양한 생태환경의 대상지에서 수행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식물로 솔나리, 산작약. 깽깽이풀, 가시오갈피, 대청부채, 큰연령초 등 6종이 조사되었으며 산림청 지정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돌쩌귀, 창포, 끈끈이주걱, 부채붓꽃. 깽깽이풀, 날개하늘나리. 솔나리. 말나리, 산작약, 낙지다리, 모새달, 층층둥굴레, 붉은인가목, 흑삼릉, 백리향, 큰연령초, 통발, 덩굴용담, 들쭉나무, 월귤, 가시오갈피 등 21종이 나타났다. 조사된 관속식물 가운데 종비나무, 잎갈나무, 만주자작나무, 비술나무, 물황철나무, 백산차, 황산차, 닥장버들, 부전자작나무, 회령사초, 양뿔사초, 산부채, 하늘매발톱, 황기, 달구지풀, 방풍, 꽃고비, 황금, 린네풀, 왕과, 목향. 금혼초, 누른진범, 키다리바꽃. 끈끈이딱지꽃 등은 남한에 자생하지 않는 중국의 동북지역 특산식물로 조사되었다.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