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8

        701.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적채시기별 녹차의 침출조건에 따른 유리당, 총질소 및 탄닌함량은 침출온도(55~95℃)가 높을수록 침출시간(30초~10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침출조건에 따른 녹차의 관능검사 결과 유리당 및 총 질소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탄닌함량과는 15~30mg/g의 농도에서 변곡점을 형성하는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r=-0.9061)을 나타내었다. 탄닌함량과 관능검사에 의한 녹차의 최적 침출조건은 상급차의 경우 낮은 온도(55~75℃)에서 단시간 (0.5~1분)이었고 중급차는 85℃ 이하에서 2분 이내가 최적 조건이었다.
        4,000원
        704.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상관 및 종조성에 의한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식생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녹지자연도를 사정하였다. 가야산의 식생은 크게 소나무림과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었으며 구분된 식생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 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4) 소나무-대사초 하위군집 2. 신갈나무 군집 1) 신갈나무-철쭉군집 a) 전형하위군집 b) 산앵두나무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릿대군집 3) 신갈나무-조록싸리군집 3. 졸참나무 군집 4.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5. 흰참꽃군집 6. 참싸리-억새군집
        4,800원
        705.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ypermethrin과 pirimicarb도태 저항성계통 복수아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대한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 혼합시의 연합독작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permethrin 도태 저항성계통에 Cypermethrin+acephate, cypermethrin+demeton-S-methyl, cypermethrin_pirimicarb를 처리하였을 때, 혼합비에 따른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독립작용 또는 길항작용을 보였다. Pirimicarb 도태 저항성계통에 pirimicarb+acephate, pirimicarb+cypermethrin을 각각 8:2, 2:8 혼합처리하였을 때 최대의 협동결과를 보였으나, pirimicarb+demeton-S-methyl의 경웨는 혼합비에 관계없이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4,000원
        706.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yrethroid계 살충제인 cypermethrin과 carbamate계 살충제인 pirimicarb를 공시하여 실내 감수성계통 복숭아혹진닷물(Myzus persicae)을 인위적으로 루대도태한 후, 저항성 발달속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저항성 계통의 타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유무와 그 정도를 검토하였다. 저항성 발달속도는 cypermethrin 20세대 도태계통에서 도태전에 비하여 20.5차 증가하였으나, pirimicarb 20세대 도태계통에서는 3.2배 증가에 그쳐 살충제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Cypermethrin 도태계통은 acephate와 pirimicarb에 대해서 , pirimicarb 도태계통은 acephate와 cypermethrin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ypermethrin, pirimicarb 도태계통은 demeton-S-methyl에 대해서 비교우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000원
        707.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녹지자연도 조사에 관한 사정기준에 따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악산의 현존식생은 농경지와 인공 조림지를 포함하여 모두 11개의 식생군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소나무 군집이 36.83%로 가장 넓었으며, 신갈나무 군집이 22.35%. 소나무-신갈나무 군집이 7.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신갈난무의 순림 또는 이 수종에 의한 혼효림은 총 면적의 74.50%로 거의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치악산의 녹지 자연도 등급은 자연성이 높은 녹지 자연도 9가 전체의 35.9%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녹지 자연도 8은 28.5%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볼 때에 현재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자연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708.
        198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acephate, demeton-S-methyl)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을 공시(供試), acephate, cypermethrin, demeton-S-methyl, pirimicarb 상호혼합(相互混合)의 연합독작용(連合毒作用)을 검토(檢討)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demeton-S-meyl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2.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pirimicarb의 혼합(混合)에서는 유사작용(類似作用) 내지 독립작용(獨立作用)만 관찰되었을 뿐 협력작용(協力作用)은 관찰되지 못하였다. 3. acephate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acephate: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혼합비(混合比)에 관계(關系)없이 모두 길항작용(拮抗作用)을 나타내었다. 4.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acephate, demeton-S-methyl: pirimicarb 혼합(混合)에서는 각각(各各) 2:3, 3:2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5. demeton-S-methyl 도태저항성계통(淘汰抵抗性系統)에 대(對)한 demeton-S-methyl: cypermethrin의 혼합(混合)에서는 1:1 혼합비(混合比)에서 최대(最大)의 협력효과(協力效果)를 나타내었다.
        4,000원
        709.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韓國)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경우 녹색기간(綠色期間)이 짧기 때문에 잔디로 피복(被覆)된 각종(各種) 운동경기장(運動競技場)과 공원(公園)등에서 녹색기간(綠色期間)을 연장하도록 보완(補完)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5년(年)3월(月)10일(日)부터 11월(月)30일(日)까지 서울대학교(大學校) 구내(構內)의 잔디초지(草地)에서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던바 주요(主要) 결과(結果)는
        4,000원
        710.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市販) 녹차(綠茶)를 에서 상대습도(相對濕度)를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흡습특성(吸濕特性)을 조사하였다. 녹차(綠茶)의 흡습속도(吸濕速度)는 저장상대습도(貯藏相對濕度)가 높을수록 컸으며 저장시간(貯藏時間)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녹차(綠茶)의 등온흡습곡록(等溫吸濕曲綠)은 전형적인 Sigmoid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일정할 때 저장시간과 흡습속도와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식(式)을 구할 수 있었다. B.E.T. 식(式)에 의해 구한 녹차(綠茶)의 단분자층수분함량(單分子層水分含量)은 7.01~7.87%로 나타났다. 저장시간(貯藏時間)과 흡습속도관계식(吸濕速度關係式)에서 구한 계산치 수분함량과 실측치수분함량을 비교한 결과 거의 유사한 경향이었다.
        4,000원
        712.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OP계(系) 살충제 oxydemeton-methyl (Metasystox-R 25 Ec)을 공시(供試)하여 실내(室內) 감수성(感受性) 계통(系統)의 복숭아혹진딧물(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을 인위적으로 누대(累代) 도태(淘汰)하여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을 유발(誘發)하고, 그들의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타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및 그들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계통(系統)들의 esterase isozyme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는데 본(本)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아래와 같다. 1. Oxydemeton-methyl 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은 도태세대(淘汰世代)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대(增大)되었다. 2. Oxydemeton-methyl 20 세대(世代) 도태계통(淘汰系統)의 가(價)는 이었고 감수성계통(感受性系統)의 가(價)는 이었다. 3. Oxydemeton-methyl 20세대(世代) 도태계통(淘汰系統)의 복숭아혹진딧물은 oxydemeton-methyl 에 대하여 배(倍)의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으며 도태(淘汰)에 전혀 관여되지 않은 타살충제들 중 cypermethrin 에 대해서는 고도(高度)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배(倍)을 나타내었으나, acephate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배(倍)을, pirimicarb 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非交叉抵抗性)배(倍)을 나타내었다. 4. 검출(檢出)된 esterase isozyme 중 는 감수성(感受性) 계통(系統)에 비하여 oxydemeton-methyl 20세대(世代) 도태(淘汰) 저항성계통(抵抗性系統)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4,000원
        713.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실내(室內)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OP계(系) 살충제 acephate로 누대도태(累代淘汰)시켜 저항성(抵抗性)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다른 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나아가 그들 계통(系統)에서 esterase isozyme을 검출(檢出)하여 살충제)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를 검토(檢討)코자 하였다. 1. 복숭아혹진딧물의 acephate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속도(速度)는 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1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1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2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로 증대(增大)되었다. 2. Acephate 20세대(世代) 도태저항성(淘汰抵抗性) 계통(系統)은 24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자체(自體)에 대하여 31.7배(倍), cypermethrin에 대해서는 507.3배(倍), oxydometon-methyl에 대해서는 49.7배(倍), pirimicarb에 대해서는 7.5배(倍)이었고 48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 자체(自體)에 대하여 32.0배(倍), cypermetherin에 대하여 475.6배(倍),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21.5배(倍), pirimicarb에 대(對)하여 8.9배(倍)이었다. 3.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은 cypermethrin과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높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고 pirimicarb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泳動帶)에 있어서 는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두 계통(系統)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었으나 는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에서만 검출(檢出)되었다.
        4,000원
        715.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對)한 살충제(殺蟲劑)의 감수성(感受性)의 지역적(地域的) 차이(差異) 및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정도(程度)를 검토(檢討)키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살충제(殺蟲劑)에 대(對)한 복숭아혹진딧물의 감수성(感受性)은 채집지역(採集地域)파 살충제(殺蟲劑)의 종류(種類)에 따라 현저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pyrethroid계(系) 살충제(殺蟲劑)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는 지역(地域)에 따라 약간의 차이(差異)는 있었으나 거의 모든 지역(地域)에서 비교적(比較的) 높은 저항성비(抵抗性比)를 나타내었고 formothion, monocrotophos, phosphamidon 등은 지역(地域)에 따라 저항성비(抵抗性比)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그 밖의 살충제(殺蟲劑)들의 저항비(抵抗比)는 낮았다. 3. 저항성비(抵抗性比) 범위(範圍)는 cypermethrin에서 배(倍), decamethrin에서 배(倍), fenvalerate에서 배(倍), formothion에서 배(倍) phosphamidon에서 배(倍), monocrotophos에서 배(倍) phenthoate+dimethoate에서 배(倍)이었고 그밖에 살충제(殺蟲劑)들에서는 저항성비(抵抗性比)가 훨씬 낮았다. 4. 지역(地域)에 관계없이 저항성비(抵抗性比)가 낮아 별(別) 문제(問題)가 없다고 본 살충제(殺蟲劑)는 acephate, permathion, oxydemeton-methyl, phenthoate+dimethoate, pirimicarb, thiometon, heptanophos 등이었다. 5.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 분류(分類)에 따라 저항성발달(抵抗性發達)로 지역별(地域別)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살충제(殺蟲劑)는 서울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ormothion, phosphamidon, 수원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ormothion, phosphamidon, 포천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phosphamidon, 가평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phosphamidon, 평택계통에서는 cypermethrin, monocrotophos, 이천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formothion, heptanophos, 청주계통에서는 decamethrin, formothion, 미원계통에서는 cypermethrin, fenvalerate, 대전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전주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1ie, formothion, phenthoate+dimethoate, phosphamidon, 무안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heptanophos, phosphamidon, 경산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formothion, heptanophos, phosphamidon, 진주계통에서는 cypermethrin, decamethrin, fenvalerate, phenthoate+dimethoate 등이 있다.
        4,000원
        716.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끝동매미충의 월동후부터 본답말기 까지의 밀도를 조사(調査)하여 발육경과(發育經過), 우화시기(羽化時期), 암성충의 성숙율등(成熟率等)을 조사(調査)하였다. 1. 끝동매미충은 주로 4령충으로 휴반잡초(雜草)에서 월동(越冬)하며 발육(發育)이 시작되면서 휴한답(독새풀)으로 이동(移動)하였다. 2. 월동성충(越冬成蟲)의 50%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4월(月) 8일(日) '78년(年)이 3월(月) 30일(日)이었다. 3. 월동성충(越冬成蟲)의 산란(産卵)은 4월(月) 하순(下旬)부터 5(月) 상순(上旬) 사이에 가장 많이 되었다. 4. 제1세대(第1世代) 성충(成蟲) 50% 우화일(羽化日)은 '77년(年)이 6월(月) 11일(日) '78년(年)이 6월(月) 10일(日)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본답(本畓)에서는 2세대(世代)를 경과(經過)하였으며 연도간(年度間) 큰차(差)없이 안정(安定)되어 있었다. 6. 머리파리류(類)에 의한 기생율(寄生率)은 7월중순(月中旬)부터 8월중순(月中旬)사이에 가장 높았다.
        4,000원
        717.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에용 분말(粉末)을 첨가(添加)하여 만든 인공사료(人工飼料)가 갑오풀잠자리 성충(成蟲)의 산란(産卵)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야외(野外)에서 채집(採集)한 성충(成蟲)에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을 급여(給與)한 것은 진딧물을 급여(給與)한 것에 비하여 사육초기(飼育初期)에는 산란력(産卵力)이 다소 높았으나 사육후기(飼育後期)에는 현저히 낮았다. 2. 실내(室內)에서 우화(羽化)한 성충(成蟲)에 탈지(脫脂)하지 않은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을 급여한 것은 산란(産卵)이 없었으나 탈지(脫脂)한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을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산란(産卵)이 가능(可能)하였다. 3. 성충(成蟲)의 우화후(羽化後) 산란개시일(産卵開始日) 및 암컷 1마리당(當)의 산란수(産卵數)는 무우테두리진딧물, 누에용 분말(粉末)(탈지(脫脂)한 것)과 사료첨가(飼料添加) 성분의 혼합물, 누에용 분말(粉末)(탈지(脫脂)한 것과 하지 않은것)과 사료첨가(飼料添加) 성분의 혼합물, 탈지(脫脂)한 누에용 분말(粉末)과 꿀의 혼합물(混合物) 등(等) 4종(種)의 식이물(食餌物)에 있어서 각각(各各) 5, 9, 9, 11일(日) 및 166.8, 110.2, 96.1, 66.1개(個)이었다.
        4,000원
        718.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기생율이 높은 Paracentrobia andoi의 포장생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동후 활동은 3월상순부터 활발하였으며 4월상순 이후 부터는 휴한답로 옮겨가는 경향이였다. 2 .휴한답의 둑새풀에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대한 기생율은 끝동매미충의 산란최성기인 4월하순에서 5월상순 사이에 높은 경향이였다. 3. 휴한답에서 지역별 평균 기생율은 거창과 남지는 , 남해, 김해 및 진주는 였다. 4. 본답에 있어서 이 알기생봉은 3회 발생을 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중순과 10월초순경이였다. 5.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기충(6월하순경 발생)과 3세대충(8월하순경 발생)에 대한 이 알기생봉의 평균 기생율은 각각 와 였다.
        4,000원
        720.
        198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82연과 1983년 끝동매미충의 난기생봉중에 우종인 Gonatocerus sp. y의 생태를 실내와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Gonatocerus sp. y의 난에서 성충으로 우화되기까지 평균발육기간은 및 에서 각각 53일, 25일, 15일 및 12일이였다. 2.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및 에서 각각 28개, 48개, 42개 및 32개였고 산란기간은 대부분 일 이내였으며 최고 산란수는 98개였다. 3. 성충의 우화는 전체의 가 아침에 이루어 졌으며 오후에는 거의 우화하지 않았다. 4. 성충의 우화성비는 암수의 비율이 4 : 1인 것이 가장 많았다. 5. 성충의 수명은 물보다 꿀물을 먹이로 주었을 때가 현저히 길어졌으며 수컷보다 암컷이 다소 길어졌다. 그리고 꿀물을 주었을 때 암컷의 평균 수명은 에서 30일, 에서 15일이였다. 6. 휴한답의 둑새풀에 산란된 끝동매미충 난에 대한 시기별 Gonatocerus sp. y의 기생율은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가장 높았다. 7. 휴한답에 있어서 4월 하순부터 5월 상순 사이에 지역별로 조사한 본 난기생봉의 기생율은 거창, 남지, 진주지방에서 , 남해, 김해지역에서 였다. 8.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대충(6월 하순경발생)과 3세대충(8월 하순경 발생)에 대한 본 난기생봉의 기생율은 각각 와 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