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9

        201.
        201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Korean scholars have praised progressive initiatives in the current Korean National Curriculum (KNC) and Korean National English Curriculum (KNEC), although they also state that the actual teaching practices have changed little. With each new iteration of the KNC it is apparent that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MOE) is encouraging a pedagogical agenda that reflects the necessities of situated learning and ‘student-centered’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The MOE’s inclusion of ‘micro-teaching’ in tertiary teacher training program reviews also illustrates its increasingly active measures to affect educational change in Korea. Concomitant with the recent MOE initiative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practices of critical literacy/pedagogy in English education over the past 15 years in Korea. The purpose of critical literacy is to educate students to be knowledgeable, creative, and active participants in a democracy for the purposes of increasing social justice and agency. Thus, it becomes possible, and desirable, to undertake a theoretical analysis of the language and intent between the KNC/ KNEC and theories of critical literacy. This paper analyzes the language ant intent of the KNC and KNEC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y reflect the theories and pedagogies of critical literacy.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 that that critical literacy supports the goals of the curricula and suggest that it should be included in tertia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6,100원
        20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a semi-analytical method to calculate the global evolution of the ionized state of the inter- galactic medium, on the basis of physically motivated star formation histories in the early universe. This method incorporates not only the conventional scenarios in which the star formation rate is proportional to the growth rate of the halo collapse fraction, but also the more sophisticated scenarios in which the star formation is self-regulated. We show that this variance in the star-formation model strongly impacts the resulting reionization history, which bears a prospect for observational discrimination of these models. We discuss how observations of the anisotropic polarization of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and the global 21cm signal from the high-redshift universe, most notably by Planck and EDGES, may probe the history of reionization.
        4,500원
        204.
        2019.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recently, and it is reported that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 multiple struggles in English learning. With an awareness of mothers’ role in child’s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extent of those mothers’ involvement in their child’s English learning. Fo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115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with varying national background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English skills and knowledge with a belief in the practical value of English as a gatekeeper to materialistic, symbolic resources. However, the mothers were not that actively involved in child's English learning for several reasons, including their limited English proficiency and economic burden.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offers practical suggestions for assisting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English education and their social integration.
        6,300원
        207.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의 목적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이웃사랑의 계명이 오늘날 현대인에게 어떤 의미가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지젝의 이웃 사랑의 윤리의 관점에서 논구하는 것이다. 지젝은 올바른 이웃사랑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상징질서를 매개로 이웃의 근본적 타자성과 관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상징 질서의 규제를 받게 되어 기표의 힘에 압도당하는 이웃의 차원뿐만 아니라 법과 제도 등 사회체제에서 배제되거나 억압당하는 이웃의 차원을 동시에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마주하는 타자가 아니라 이웃의 이웃인 제3자를 사랑함으로써 제3자가 나의 이웃사랑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함 으로써, 동시에 마주하는 가까운 이웃까지도 사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웃사랑의 현대적 의미는, 현대인은 상징적 규범이 강제하는 획일성과 존재의 위계체계에 갇히지 않은 채 주체의 나르시시즘적 자아구조에서 벗어나 새로운 윤리적 주체와 사랑의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 이웃 사랑이 가능한 새로운 윤리의 현실 세계를 개척해 나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6,900원
        208.
        201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에서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인공지능의 윤리적⋅법적 측면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관련 법제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은 형사재판이나 신용평가 등 여러 분야에서 도입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차별 문제나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인공지능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책임 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 가 있다. 이 문제를 방지하고 인공지능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이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외에서는 인공지능을 별도의 법률 영역으로 규정하여 설계⋅개발 단계에서부터 준수할 사항을 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하고 있고, 연성법 중심의 논의에서 경성법 제정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의 차별과 불투명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 거버넌스를 수립과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 법제 도입 및 인공지능의 책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에 별도의 법인격을 부여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논의를 참고하여 인공지능을 일반 법률과 각 영역별 개별 법률 및 자율규제와 같은 여러 수단을 활용하여 다층적으로 규율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의 일반 법률에 인공지능 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하고, 필요한 경우 사람이 개입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인공지능 시스템의 운영자로 하여금 이용자에게 인공지능에 대한 중요 사항을 공개하고 설명할 의무를 규정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데이터 법제 전반을 정비하여 인공지능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고, 인공지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해에 대한 입증책임 전환의 법리를 규정하여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기반 의사 결정이 도입되는 각 영역별로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개별법을 통해 규율하되 일반법과의 통일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법률로 규율하기 어려운 세부 사항이나 기술 표준은 자율규제와 공동규제를 활용해야 한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과 산업이 발전을 시작하고 있는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인공지능 산업의 발전을 촉진함과 동시에 인공지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균형 잡힌 법제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