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01

        1441.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tophagy is a homeostatic degradation process that is involved in tumor development and normal development. Autophagy is induced in cancer cells in response to chemotherapeutic agents, and inhibition of autophagy results in enhanced cancer cell death or survival. Chloroquine (CQ), an anti-malarial drug, is a lysosomotropic agent and is currently used as a potential anticancer agent as well as an autophagy inhibitor. Here, we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ual activities of CQ using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 HCT15. The results show that CQ inhibited cell viability in doseand time-dependent manner in the range between 20 to 80 uM, while CQ did not show any antiproliferative activity at 5 and 10 uM. Cotreatment of CQ with antitumor agent NVP-BEZ235, a dual inhibitor of PI3K/mTOR, rescued the cell viability at low concentrations meaning that CQ acted as an autophagy inhibitor, but CQ induced the lethal effect at high concentrations. Acridine orange staining revealed that CQ at high doses induced lysosomal membrane permeabilization (LMP). High doses of CQ produced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cotreatment of antioxidants, such as NAC and trolox, with high doses of CQ rescued the cell viabi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Q may exert its dual activities, as autophagy inhibitor or LMP inducer,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1442.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human abdominal adipose derived-stem cells (ADSCs) could aggregate during the high-density culture in the presence of human serum (HS).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human cord blood serum (CBS) and follicular fluid (HFF) also induced aggregation. Similarly, porcine serum could induce aggregation whereas bovine and sheep sera induced little aggregation. qRT-PCR analyses demonstrated that, compared to FBS-cultured ADSCs, HScultured cells exhibited higher level of mRNA expression of CLDN3, -6, -7, -15, and -16 genes among the tight junction proteins. ADSCs examined at the time of aggregation by culture with HS, BSA, HFF, CBS, or porcine seru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mRNA expression of JAM2 among JAM family members. In contrast, cells cultured in FBS, bovine serum or sheep serum, showed lower level of JAM2 expression. Immunocytochemical analyses demonstrated that the aggregates of HS-cultured cells (HS-Agg) showed intense staining against the anti-JAM2 antibody whereas neither nonaggregated cells (HS-Ex) nor FBS-cultured cells exhibited weak staining. Western blot results showed that HS-Agg expressed JAM2 protein more prominently than HS-Ex and FBS-cultured cells, both of latter reveled weaker intens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ggregation property of ADSCs during high-density culture would be dependent on the specific components of serum, and that JAM2 molecule could play a role in the animal sera-induced aggregation in vitro.
        144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staglandin (PG) E2 is an important mediator of skin wound healing without excessive scarring and gastric ulcer healing. However, PGE2 has a short lifetime in vivo because it is metabolized rapidly by 15-hydroxyprostaglandin dehydrogenase (15-PGDH). Ethanol extract of Eriobotryae folium (EFEE) elevated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GE2 levels in HaCaT cells and inhibited 15-PGDH (ED50 : 168.4μg/mL) with relatively low cytotoxicity (IC50 : 250.0μg/mL). Real-time PCR analysis showed that mRNA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COX)-1 and COX-2 enzymes were increased and prostaglandin transporter (PGT) was decreased in HaCaT cells by EFEE. Moreover, wound healing effect of EFEE (168.4μg/mL) was comparable to that of TGF-β1 (300 pg/mL) as a positive control.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FEE may be valuable therapeutic materials for the treatment of PGE2 level dependent diseases.
        1444.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Corticotropin-releasing factor)는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최근 스트레스가 탈모와 같은 피부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들이 많아지고 있다. 보고에 따르면, 사람 모낭 배양에서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는 길이생장을 억제하며, 모낭의 조기퇴행을 유도하고 모기질각질형성세포(hair matrix keratinocyte)의 세포사멸을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가 모발성장과 모주기조절에 핵심적으로 역할하는 모유두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의 주요 스트레스호르몬들인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 부신피질자극호르몬, 그리고 코르티솔을 사람 모유두세포에 처리하였다. 흥미롭게도,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가 모발성장과 관련된 사이토카인(KGF, Wnt5a, TGFβ-2, Nexin)의 발현을 변화시키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세포 내 cAMP의 수준을 증가시켰고, 수용체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수용체의 길항제인 antalarmin과 astressin2B, 또는 PKA 억제제의 전처리로 인해 막을 수 있었다.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는 cAMP/PKA경로를 통해 POMC의 발현을 유도하는데, 사람 모유두세포에서도 이 호르몬의 처리가 POMC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변화는 western blot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가 그 수용체를 통해 사람 모유두세포 내 모발성장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조절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코르티코트로핀분비인자의 수용체 길항제가 스트레스성 탈모환자를 위한 치료제 혹은 화장품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445.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린인테리어 오피스에 대한 심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와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 지 않은 오피스 공간에서 본 분야에 전문가이거나 입문한 여성 76 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심리상태측정은 주의회복척도, 단축판 기분상태검사(POMS), semantic differential scale(SD법)로 비 교하였으며, 대응표본 t-test,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Pearson’s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3가지 심리적 지표를 비교한 결과, 주의회복척도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공간보다 그린인 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공간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분상태검사는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지 않은 오피스보다 그린 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긴장-불안, 우울, 분노, 피로, 그 리고 혼란은 낮게, 활력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그러 나 기분상태검사를 나이별로 분석한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 는 오피스 공간에서 긴장-불안, 분노, 피로와 같은 항목들에서 age group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로부터 20대 와 60대의 경우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의 조건에서 40-50대에 비해 부정적인 감정(긴장-불안, 분노, 피로, 혼란)을 많 이 보였고 긍정적인 감정(활력)은 적게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SD법을 이용한 쾌적감,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에 대한 인상을 평가한 결과, 그린인테리어가 되어있는 오피스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린인테리어가 주는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기정화효과, 근로자의 작업 능률 향상 효과, 심리적 안정 효과, 그 리고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효과는 전부 96% 이상으로 나타 났고, 아토피 치유효과는 88.6%로 나타나 그린인테리어에 대해 긍 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관분석 결과, ‘그린인테리어는 공기정화 효과를 높여준다’와 ‘그린인테리어는 심리적 안정 효과를 높여준다’는 0.659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 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린힐링오피스를 만들기 위해 그린인 테리어를 활용하는 것에 대한 유용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 각된다.
        1446.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the humanoid joint modules which provide a variety of service while living with people in the future home life.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 is ensuring the safety for humans of the robot system for collaboration with people and providing physical service in dynamic changing environment. Therefore we should construct the mechanism and control system that each joint of the robot should response sensitively and rapidly to fulfill that.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the joint which based on the target constituting the humanoid motion, developed the optimal actuator system which can be controlled based on each joint characteristic, and developed the control system which can control an multi-joint system at a high speed. In particular, in the design of the joint, we have defined back-drivability at the safety perspective and developed an actuator unit to maximize. Therefore we establish a foundation element technology for future commercialization of intelligent service robots.
        1450.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disasters caused by human factors, even disasters can consider integrated regional risk assessment aims at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acility of one of its elements a disaster risk factor deriving method are described.
        1451.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폐경 이후 여성에서 발생되는 에스트로겐의 감소는 피부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피부의 정상적 상태와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지난 10여 년간 보고된 많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에스트로겐은 폐경 이후 여성의 피부에서 콜라겐 감소를 막아주고, 탄력을 회복시키며, 건조한 피부를 개선시키는 등의 피부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로 인해 파이토에스트로겐이라 알려진 이소플라본은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 손상을 보호하는 기작이 널리 알려져 왔으나 피부세포에서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안티에이징 효능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콩류 등에 많이 함유된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활성 및 효능을 가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한 transcriptional activity에 미치는 효과를 luciferase assay를 통해 살펴본 결과, 다이드제인은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estrogen receptor-dependent transcriptional activity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다음으로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다이드제인이 세포외 기질단백질 성분들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이드제인은 콜라겐 타입 I, 콜라겐 타입 IV, 엘라스틴 및 피브릴린-1의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실험조건에서 에스트로겐 단독 효능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이드제인은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이드제인은 기존에 알려진 이소플라본의 광보호 효능과 더불어 파이토에스트로겐 효능을 가짐으로써 갱년기 여성의 피부 안티에이징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1452.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ltipotent perivascular stem cells (PVCs) have gained much attention as an alternative source for cell based regenerative medicine in recent years. Due to their rarity in human tissues, developing methods to efficiently isolate and expand PVCs from various fetal and adult tissues is necessary to obtain a clinically relevant number of cells that maintain progenitor potency. Here, we report on a non-enzymatic isolation (NE) method of PVCs from human umbilical cords (HUCs) and compare its efficiency with the conventional collagenase treatment method (CT) in terms of proliferation and immunophenotypes. The cells isolated by NE displyed acceptable surface marker profile of PVCs and showed multilineage (osteogenic, chondrogenic, and adipogenic) differentiation potential. While both methods provided similar levels or patterns of proliferation and immunophenotypes, PVCs by NE retained a higher level of CD146(+) frequency compared to that of CT over passage. Furthermore, we have investigated potentials of various exogenous factors to promote proliferation of HUCPVCs in vitro. Among these factors, supplementation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provided the optimal condition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proliferation rate of HUCPVC and increased a proportion of stage-specific antigen-4 (SSEA-4) positive subset. Collectively, our study suggests that NE method with bFGF supplementation offers an alternative way to obtain sufficient numbers of HUCPVCs with higher number of primitive SSEA-4(+) subpopulation that are applicable in therapeutic doses for regenerative medicine.
        1453.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 companies in China often encounter a series of problems such as Chinese employees frequent job quitting,antipathic to authoritarianism management in Korean companies, mistrust and labor disputes caused by increasing labor disputes and etc. through a deep analysis I found the root to these questions is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Korea. Traditional korean culture emphasizes community consciousness, the features of which are authoritarianism, collectivism, and exclusivecronyism. in addition, hierarchical army culture has great impact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Korean companies are featured as collective communities with clear hierarchical employment system. different from korea, as enforcing Communist Party and collapse of feudal Confucianism, hierarchy culture emphasizing differences between gender, age and social level is diminishing, instead, equal consciousness is growing,"everyone is equal" is greatly emphasized in human relations. Korean companies in China needs to get rid of Korean-centered thinking mode and rethink more about Korean way of management, which means to improve parental authoritarian management and use "democratic" management fitting Chinese present situation. creating equal working environment and enhancing democratic communication is important in decreasing cultural differences and increasing humane trust. therefore effective human resources management can be realized.
        1455.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포스트담론이 주요 담론으로 떠오르면서 인간의 앎의 방식과 다차원적인 삶의 측면들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다양한 표상방식들에 대한 관심이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험을 조직하고 이해하며 지식을 구성하는 주요 사고양식으로서의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 탐구는 우리 인간이 삶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사건이나 체험에서 구성적으로 형성되는 의미와, 그 의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파악되는 관계망에 대한 탐구이다. 그리고 그것은 역설적으로, 인간의 경험을 시간과 공간의 맥락 속에서 계속적으로 해석하고 재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인간의 유의미한 삶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간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의 주요 대상이 되는 인간 경험에 대해 그 철학적 근원을 Dewey의 경험 개념에서 찾고, 그 경험의 존재론적 특징에 기초하여 내러티브 탐구가 인간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재구성하고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내러티브 탐구의 가장 명확한 특징이 인간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라는 것이며, 이는 철저하게 Dewey 학파의 관점을 따른 것임을 보여 준다. 그리고 경험에 대한 Dewey학파의 관점이 세상에서 살아가고 있는 개인의 구체화를 인정하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를 가능하게 함을 보여 준다.
        1456.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사회 진입에 따라 지역 현장에서 외국인을 포함한 국민의 인권문제에 직면하는 복지인력 특성, 인권태도와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관에서 다문화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273명을 대상으로 인권태도와 인권교육 및 문화적 역량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의 인권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성별과 학력, 직위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평균이 인권교육 경험이 없는 대상자 보다 높고, 문화적 역량의 경우 학력과 직위가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과 인권교육 경험과 인권태도가 높은 사회복지사일수록 문화적 역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에 다문화 인구 집단에 대한 인권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복지인력들의 인권관점에 대한 이해 및 인권태도와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인권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1457.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림의 시각적 자극 유형에 따른 인체의 생리적ㆍ심리적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산림의 시각적 자극을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 긍정적 자극으로 아름다운 산림풍경 5개 유형, 부정적 자극으로 산림풍경 훼손지 5개 유형을 실험자극으로 사용하였다.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소속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적 효과는 PANAS, 주의회복 척도를 활용 측정하였고, 생리적 효과는 뇌파의 α파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수행된 경관의 인체 치유효과 연구의 대부분이 자연경관 대비 도시경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려 한데 반해 본 연구는 산림풍경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구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ANAS와 주의회복 척도를 활용하여 산림의 시각적 자극 유형별 심리적 효과 분석 결과, PANAS, 주의회복 평균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p<0.01), 긍정적 산림풍경에서 PANAS의 PA(정적 정동), 주의회복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의회복 평균 점수가 긍정적 자극에서 능선파노라마, 능선파노라마와 운해, 기암봉우리의 암릉, 계절감, 폭포 순으로 높게 나타나 주능선에서의 풍경이 주의력을 더 많이 회복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자극에서는 산사태피해지, 산복도로에서 주의력 회복에 대한 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뇌파의 α파의 활성도를 통한 산림의 시각적 자극 유형별 생리적 효과 분석 결과, 자극별로 개개의 유형에 대한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긍정적 풍경에 노출되었을 때 α파의 활성도가 증가하고, 부정적 풍경에 노출되었을 때 α파의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각 자극별로 좌뇌와 우뇌에 따라 뇌파의 α파 활성도 증감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p<0.01). 좌ㆍ우뇌 모두 부정적 산림풍경에서는 기준치보다 α파의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고, 긍정적 산림풍경의 경우 우뇌에서는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좌뇌에서는 개별 자극에 대한 반응의 차이로 인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사진을 통한 현장의 재현에서 나타나는 오차를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비록 긍정과 부정이라는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자극을 실험에 사용했지만 산림이라는 공통적인 대상을 기반으로 했으며 이러한 개개의 자극에 대한 생리 및 심리적 반응이 차이를 보임에 따라 산림풍경이 인체 치유효과에 중요한 자극요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시각적 측면에서 산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풍경의 평가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인식에서 기인되는 주관적인 반응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풍경에 대한 반응 차이의 고찰도 필요할 것이다. 향후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림풍경의 시각적 자극유형과 그것과 주관적 경험과의 관계 구명에 대한 깊은 천착이 요구되는 바이다.
        145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재 안전 설계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화재 발생시 안전하게 대피하는데 있다. 화재 안전 요건에서는 대피 경로 및 탈출구에 관한 양적인 조건을 요구하고 있으나, 실제 대피 시스템의 활용에 있어서는 평가가 어렵다. 쇼핑센터, 경기장, 혹은 학교와 같이 인구가 밀집되는 대형 건물에서는, 요건을 준수하는 것만으로는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 인구가 과잉 밀집된 곳에서는 수없이 많은 사고가 발생한다. 컴퓨터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런 재난을 야기하는 가능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기존 대부분의 대피 시뮬레이션 방법은 화재 진행 및, 화재-사람간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피자의 대피 경로 선택에 있어서 화재 상태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화재의 확산 또한 대피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대피자가 화재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대피자가 방화 문을 닫는지 여부는 화재 확산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이다. 또한 수동 소화기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위험 상황을 제거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대피자간 및 화재-대피자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FDS+Evac 라는 NIST (미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가 개발한 화재 역학 시뮬레이터를 기반으로 FDS의 화재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화재-대피자간 상호작용을 모형화하였다
        145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8년간(‘03-’10년)의 인적재난사고현황에 의하면 화재사고, 폭발사고, 가스사고, 공단내시설사고, 전기감전사고, 보일러사고, 붕괴사고에 의한 연평균 발생건수가 40,022건, 사망자수가 554명, 부상자수가 2,511명에 달한다. 사고 유형별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의 비율을 보면 화재사고가 각각 98.4% 및 85.4%, 기타 폭발, 가스, 공단내시설, 전기감전, 보일러, 붕괴사고에 의한 비율이 1.6% 및 14.6%를 차지한다. 이상과 같이 사고 유형별 발생빈도 및 피해규모는 상이하지만 크고 작은 인적재난사고에 의해 해마다 인적ㆍ물적 자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적재난에 의한 피해율 최소화를 위하여 재난유형에 대한 발생빈도 및 해당 지역의 재난유형별 위험도지수를 도출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위험도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1460.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rganic foods is the terminology calling the organic products, the organic livestock and the organic processing food. The value of organic food may be evaluated as the index of the nutrient content, the safety and the health promotion. The reason why consumers prefer the organic food in the market is because the value of health promotion to be obtained through its consumption is expected to be bigger than the expense according to the purchase of organic food.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in developing the direct evaluation model like the human biomonitoring method. The hypothesis for this study is summarized, “If the metabolome of metabolic syndrome of decreases, the exposure of substance of health harm decreases, the number of hospital care decreases and the quality of life shall be improved if the organic food is incepted in the long term and the health care is managed well”. The consumer’s cooperative and the health consumer's cooperative select the experimental group of 100 persons and the comparative group of 100 persons in 5 areas in the whole country at the same time to verify this hypothesis. Its rate of change is compared and analyzed by measuring the blood and urine of each biomarkers such as the exposed agriculture pesticides, the nitrate in the body at intervals of 2 months for 1 year. Also, by letting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record the major activity such as the dietary intake and the exercise, etc., in the questionnaire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m,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correlation of this with the metabolome, etc., is conducted. The time that is called minimum 1 year and a lot of expense are required to implement this model. Accordingly, the cooperative study by composing the consortium of the interdisciplinary and the interagency is desi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