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is to propose new features and models for process innovation after classifying in three categories ; conventional six sigma, lean six sigma and 3rd generation six sigma. First considering two project types which are bottom-up and tod-down, DMAIC process is linked up with QC story 15 steps. Secondly, I present Koreanized lean six sigma model using Japanese production technology and principles. Lastly, this paper also depicts a new 3rd generation six sigma model utilizing MBNQA management quality system.
Single 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is originally developed quality program in Korea for supplier's quality level-up since 1995. The quality target is below the 10ppm(parts per million) in outgoing quality and delivered goods plus field claim. Recently
우리나라 상품의 대외경쟁력은 대체적으로 국내 물류비에서 결정된다. 이 좁은 국토(거리상으로)에서 왜 그리도 많은 내륙 물류비를 부담해야 하는 지 많은 이들이 의아해 한다.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못한 국가차원의 사회간접자본(SOC) 시설, 승용차 중심의 도로운송시스템도 문제지만 제품공장과 수출입관문인 항만.공항간의 연결점에 있는 물류거점시설들이 활성화돼 있지 않다는 것이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민간업자 차원에서는 국토 요소요소에 물류센타를 세워놓고 고객들의 화물에 대한 일괄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보관, 재고관리, 유통가공, 보세운송, 수배송, 물류대행, 물류컨설팅 등 종합(통합) 물류서비스들이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류센터의 실태를 조사하여 수요에 따른 물류센터의 공급능력을 평가하면서 물류의 일괄서비스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점검해 보고져 한다. 또한 향후 이 분야에 있는 연구나 조사 필요성이 있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검토하여 단계별 연구과제를 정의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믿걸음이 되고져 한다.
Since 1980's, many enterprises have constructed Strategy Information System and tried BPR, ISP. Also, they implemented ERP and practiced the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for Management Innovation in todays, Although most companies had provious good plans, but those are not satisfied. Because of failed to change management and continued next activity. Many Project for Process innovation are ended as disposal project in many case, if they want next project, they need a new plan which needs additional fund and re source. This paper studied Process Innovation and Six Sigma in many things and proposed new model for continued project on the master plan. Also it proposed next study subject about ERP Optimization and Harmonization after implemented ERP which is considered as next step of PI.
본 논문은 경기 서부 서해안 산업밸트의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적 연구이다. 먼저 서해안 산업밸트의 현황분석 및 SWOT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경쟁력분석을 통해 전략산업 및 발전모델을 도출하였다. 서해안 산업밸트의 혁신체제 기본방향과 이 체제에 의해 견인되는 정량적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지역혁신체제의 안을 구상하였다. 마지막으로 9대 핵심 전략 실천과제를 설정함으로써 서해안 산업밸트가 성공적인 혁신체제로 도약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반도체 제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상황과 관련한 연구는 많지 않다 게다가, 모든 상황에 항상 적합한 생산시스템 전략은 없다. 반도체 제조공정 시스템에 대한 스케줄은 생산공정의 재진입, 공정의 높은 불확실성, 급속하게 변하는 제품과 기술과 같은 특성 때문에 반도체 제조공정시스템에 대한 스케줄은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며, 사이클타임의 절감 및 단위시간당 생산량의 증대와 같은 시스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제조 시스템에 대한 좋은 방법을 발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반도체 산업의 생산 흐름은 가장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계획과 반도체 제조의 스케줄링과 계획을 어렵게 하고 있다. 각각 다른 단계에 있는 자재는 같은 장비의 사용을 위해 경쟁을 하는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 보다 단지 기다리는 시간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반도체 공정에 모듈 생산방식을 접목시켜 공정의 사이클 타임을 줄이고, WIP를 최소화하여, 생산량을 최대화는 방안을 제시하고 공정 모듈 시스템 (Process Modular System)을 구축하고자 한다.
Since 100PPM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y the Industrial Advancement Administration in 1995, 100PPM Quality Innovation Movement has contributed much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competitiveness of Korea''s parts industry. And in 2
본 논문은 한국, 독일, 일본의 화학기업의 혁신경영의 구성요소를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의 대상은 설문지 조사에 참여한 총 121개의 화학기업(한국 36개, 독일 50개, 일본 35개)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혁신경영의 구성요소를 (1) 혁신에 대한 계획, (2) 혁신에 대한 조직, (3) 혁신과정(아이디어 창출단계, 아이디어 수용단계, 아이디어 실험단계), (4) 혁신에 대한 통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혁신에 대한 계획은 독일의 화학기업에서는 $quot;시장지향적$quot;으로,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에서는 $quot;비용(원가)지향적$quot;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혁신에 대한 조직구조로서 독일의 화학기업은 기능적 조직구조를,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은 제품지향적 조직 구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혁신과정과 관련하여 조사대상국 사이에 많은 차이점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이 중에서도 아이디어 창출단계에서 볼 때, 한국의 화학기업은 $quot;기술수입$quot;에 주로 의존하고 있으며, 독일의 화학기업은 $quot;학문지향적 연구개발활동$quot;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일본의 화학기업은 $quot;기술적 독립을 위한 과도기$quot;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혁신에 대한 통제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은 독일의 화학기업에 배해 경제성 분석을, 독일의 화학기업은 한국과 일본의 화학기업에 비해 환경보호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