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원자력 시설의 해체 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 중에서 배관류를 재활용하거나 처분하기 위해서는 배관 내부의 정확한 방사선학적인 오염 특성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측정법인 survey-meter를 이용한 오염도의 직접 측정은 배관 내부와 같은 국소지역의 오염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간접법을 이용한 표면오염도 측정의 경우도 시료채취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시료채취 시 작업자의 오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용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모사기법을 이용해 직경이 작은 배관 내부의 베타선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섬광체를 모사하였으며, 모사 결과에서 베타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최적의 플라스틱 섬광체 두께 및 형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전사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섬광체의 가공 및 배관 내부에서의 검출기 이송 문제를 고려해 검출기를 제작하였으며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배관 내부의 오염도 측정에 적합한 검출기 성능을 확인하였고, 파이프 내부처럼 국소 지역의 방사선학적 오염 특성 평가를 위한 검출기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22.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 두부의 첨체의 손상과 생존율 및 운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당의 종류에 따른 정자의 첨체손상 정도는 정상 정자비 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ctose, Trehalose, Fru+Tre+Xyl, Fru+Xyl, Tre+Xyl, Xyl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83.05.6%, 82.3 3.1%, 81.72.1%,
        4,000원
        23.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 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자동결 시 straw size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희석액은 Tris-citric acid extender (Tris-buffer)의 기본용액에 20% Egg-yolk, 8% glycerol, 1% Equex STM paste등을 첨가하였으며, 당 성분으로는 monosaccharid
        4,000원
        24.
        199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택어획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성숙어의 남획과 혼획을 방지하여 일정크기의 체장이 되었을 때 계속적으로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일찍부터 Huxley의 Doctrin 같은 논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수산자원의 특성과 관련한 제문제와 어로기술의 급진적 발전으로 인한 어획량의 증가에 따라 어족자원의 감소는 심각한 수산현안의 문제로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자원관리를 위한 어업기술의 방향이 모색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이러한 점에서 균형적인 어업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하드에 적합한 소프트의 개발과 선택은 물론이고 소프트를 현실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하드의 개발이 필요한 것 같다. 어업기술면만 보더라도 생역화를 위한 어로기기의 개발, 자원관리형 어구, 어법의 개발 등의 소프트와 어업학이라는 하드의 조화가 최근 수산분야의 중요한 일면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
        4,000원
        2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本)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한국인의 식생활(食生活)에서 각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곰탕류의 섭취와 그 배경(背景)이 되는 요인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규명하여, 앞으로 차세대(次世代)에의 영양교육(營養敎育)을 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단서를 얻기 위함에 있다. 그 첫 단계로 곰탕 전문점을 찾는 손님을 대상으로 식생태학적(食生態學的)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조사(調査)하였다. 2. 대상자의 약 67%는 일주일에 1~2회이상(回以上), 15%는 3회이상(回以上) 곰탕류를 섭취하고 있었다. 섭취빈도에 있어서의 연령차(年齡差)는 보이지 않았다. 3.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맛이나 냄새에 대한 「기호도(嗜好度)」가 높고(p〈0.001), 칼슘섭취에 유의하고 있었으며(p〈0.05), 소양(肝)도 넣어 먹도록 배려(配慮)하고 있었다(p〈0.01). 4. 곰탕전문점에 온 이유로서는 전체적으로 봐서 식기호면(食嗜好面)이 가장 높은 비율이었다. 섭취빈도가 높은 쪽에서는 식기호면(食嗜好面)이 강하게 나타난 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은 쪽에서는 식기호면(食嗜好面)외에 그 음식점의 유명도(有名度)나 친구의 소개 등의 정보면(情報面)이 강하게 나타났다. 5. 다른 한국요리(韓國料理)보다 곰탕류를 선택하는 이유로서는 섭취빈도가 높은 쪽에서는 식기호면(食嗜好面)이나 생리적상태(生理的狀態)에 관한 요인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는 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은 쪽에서는 생리적상태(生理的狀態)에 관한 요인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6. 곰탕류 섭취 후 건강면(健康面)에서의 주관적(主觀的) 심리적평가(心理的評價)에 대해서는(복수회답(複數回答)) 80.5%가 긍정적(肯定的), 30.5%가 특별한 변화가 없고, 6.5%가 부정적(否定的)인 것으로 봐서, 대부분의 사람이 곰탕류는 건강(健康)에 좋다고 인식(認識)하고 있었으며, 그 인식(認識)에는 섭취빈도에 따른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다. 7. 연령이 높을수록 곰탕류의 맛이나 냄새에 대한 기호도(嗜好度)가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며, 건강(健康)과의 관련에서는 「식후 소화가 잘 된다」라는 이유로 곰탕류를 선택하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식욕(食慾)이 없을 때」, 「숙취(宿醉)일때」에 선택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봐서, 연령에 따른 섭취빈도의 차(差)는 없으나, 곰탕류를 선택할 때의 기호(嗜好) 의식(意識) 건강(健康)에의 관심 행동면(行動面)에는 약간의 차(差)가 나타났다. 8.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의 결과(結果), 고섭취빈도군(高攝取頻度群)은 주로 50대이상(代以上)이며 곰탕류에 대한 기호도(嗜好度)가 매우 높고 식의식면(食意識面)이나 식행동면(食行動面), 건강면(健康面)에서 긍정적(肯定的)이었다. 이에 반하여 중섭취빈도군(中攝取頻度群)은 주로 40대(代)였으며 곰탕류에 대한 기호도(嗜好度)가 높았으나 고섭취빈도군(高攝取頻度群)에 비해 식의식면(食意識面)이나 식행동면(食行動面)에서 덜 적극적(積極的)인 경향이었다. 저섭취빈도군(低攝取頻度群)은 주로 20대(代)와 30대(代)였으며 곰탕류에 대한 기호도(嗜好度)가 보통이었으며, 식기호면(食嗜好面)보다 「친구의 소개로」 등에 의해서 섭취하고 있었다.
        4,300원
        26.
        199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N) application time (March 30, April 9 and April 19) and N fertilizer kind (urea and ammonium sulfate) in early spring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crude protein (CP
        4,000원
        27.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나라꽃으로 사랑받아온 무궁화에 대한 이용방안이 활기를 띠면서 실내공간으로 도입이 가능한 무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무궁화 품종 중 꽃과 잎이 아름다운 ‘아랑’에 대한 광적응성 실험을 하였다. 도입광원은 현재 실내등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형 광등, 삼파장, LED등을 비롯하여 태양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하는 광섬유 등 4종류를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광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은 관상가치를 파악하는 엽장, 엽 폭, 초장, 엽수, 낙엽수, 절간장, 개화율, 꽃색상 등의 형태적 측정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생리적 활성요소를 알아보고자 LI-6400을 사용하 여 광합성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광원별 실험 결과, 형광등은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이었고, 삼파장등 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생육 및 생장을 보였다. LED등의 경우, 1,500lux, 2,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으며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광도가 높을수록 원 활한 생장을 하였다. 무궁화 ‘아랑’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경우, 최적광원은 광섬유 였으며, LED등, 형광등, 삼파장 순으로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광도는 대체적으로 1,500lux∼ 2,500lux 범위 내에서 무난하게 잘 자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8.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궁화는 나라꽃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커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많이 받아왔다. 본 연구는 선호하는 무궁화 품종 중 ‘새아침’ 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광환경을 설정해 주고 광적응성을 실험하였다. 실험구내 설정한 광원은 실내 공간에서 주광원으로 도입되고 있는 LED등,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등 4종류를 사용하였다. 광도범위는 500lux, 750lux, 1,500lux, 2,500lux로 설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2016년 10월 7일까지이며 광적응성에 대한 측정요소는 형태적 특성에 따른 관상 가치와 LI-6400을 사용하여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기공사진을 촬영하였다. 실험 결과, 새아침 품종 도입시 가장 적합한 광원은 LED등 이었으며 형광등, 삼파장, 광섬유 순으로 나타났다. 광원별 적합한 광도는 LED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우월 한 생육과 생장을 보였으며 형광등의 경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생장량 및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삼파장등의 경 우, 1,500lux, 750lux, 2,500lux, 500lux 순으로 양호하였다. 광섬유의 경우, 2,500lux, 1,500lux, 750lux, 500lux 순으로 나타나 광도가 높을 수록 원활한 생장을 하였으며 생육상태도 양호하였다. 무궁화 ‘새아침’을 실내공간으로 도입함에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고려해 볼 때, 750lux∼2,500lux 광도범위 내에서 무난히 적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발된 13종의 천연색소 추출물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천연색소 종류별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면 적양배추(red cabbage), 양파껍질(onion peel), 레드비트(redbeet), 흑미(black rice), 오디(mulberry) 색소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청치자(blue gardenia) 및 황치자(yellow gardenia), 완숙여주(mature bitter melon) 색소 등에서는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아질산염에 대한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반응용액 pH 1.2의 경우 양파껍질, 레드비트, 치자황, 지황(chinese foxglove), 치자청 색소에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적양배추와 오디 색소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반응용액 pH 6.0에서는 대부분의 색소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항산화효소활성 결과를 보면, SOD 활성의 경우 여주, 흑미, 포도과피 등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자색고구마, 지황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APX 활성은 뽕잎, 오디, 지황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CAT 활성도 APX 결과와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연색소에 있어 항산화 효소의 종류에 따라 그 활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천연식물색소에 대해 높은 항산화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고부가가치의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33.
        199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various kind and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s on the plant grorth. physiological , yield and extracts. ligustilide, butylidene phthalide contents of curdsdrug "Tou-ki" (AnTelica acutiloba Kitagawa) were investigated in 1989. Five plots variouskind of nitrogen fertilizers. Namely, no nitrogen, urea. ammonium nitrate, ammoniumchloride and control plot of ammonium sulfate. The other, by providing five plotsdifferent composed ratio of nitrogenous fertilizers. containing no nitrogen (No. o) .0.5-fold nitrogen (No s), control plot of 1.0-fold nitrogen(Nl.o). 1.5-fold nitrogen(Nl s)and 2.0-fold nitrogen Na. o), but nitogen was used the ammonium sulfate. The results showedthat the crude drug "Tou-ki" can ammonium chloride be produced in good yield, displayingboth good plant growth and remarkable physiologically-active conditions, and it can beproduced such that the extracts is maximized. Additionally, using methods of gaschromatography (GC) , it was established that ligustilide and butylidene phthalide, majorcomponents in the crude drug was recovered in a good yield from the fully grown plants.The other, the plant growth, the physiologically-active, the weight of whole plant, theyield of extracts and ligustilide, butylidene phthalide were seen to be best at the plotof 2.0-fold nitrogen and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of nitrogen decreasedgradually. Therefore. about 2 fold of standard quantity seems to be the most suitablequantity of nitrogen for "Tou-ki" cultivation .uot;Tou-ki" cultivation .ion .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