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mpirical mass discrepancy–acceleration (MDA) relation of disk galaxies provides a key test for models of galactic dynamics. In terms of modified laws of gravity and/or inertia, the MDA relation quantifies the transition from Newtonian to modified dynamics at low centripetal accelerations ac ≤ 10−10ms−2. As yet, neither dynamical models based on dark matter nor proposed modifications of the laws of gravity/inertia have predicted the functional form of the MDA relation. In this work, I revisit the MDA data and compare them to four different theoretical scaling laws. Three of these scaling laws are entirely empirical; the fourth one – the “simple μ” function of Modified Newtonian Dynamics – derives from a toy model of gravity based on massive gravitons (the “graviton picture”). All theoretical MDA relations comprise one free parameter of the dimension of an acceleration, Milgrom’s constant aM. I find that the “simple μ” function provides a good fit to the data free of notable systematic residuals and provides the best fit among the four scaling laws tested. The best-fit value of Milgrom’s constant is aM = (1.06 ± 0.05) × 10−10ms−2. Given the successful prediction of the functional form of the MDA relation, plus an overall agreement with the observed kinematics of stellar systems spanning eight orders of magnitude in size and 14 orders of magnitude in mass, I conclude that the “graviton picture” is sufficient (albeit probably not a necessary nor unique approach) to describe galactic dynamics on all scales well beyond the scale of the solar system. This suggests that, at least on galactic scales, gravity behaves as if it was mediated by massive particles.
Nuts are one of the most common sources of allergies in individuals of all ages. In order for a particular protein to render an allergic reaction, it must resist proteolytic digestion by intestinal enzymes. In this study, three well-known allergenic nuts, almonds, cashew nuts, and peanuts, were used as samples, and enzyme digestion with Bacillus protease and porcine pepsin was tested. A proteomic approach us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nd an MS/MS analysis was applied to visualize and identify the proteins that were resistant to enzyme digestion. Among the 150 protein spots tested, 42 proteins were assigned functions. Due to the lack of genomic databases, 41% of the identified proteins were grouped as hypothetical. However, 12% of them were well-known allergens, including AraH. The remainder were grouped as storage, enzymes, and binding proteins.
알로에의 최소공정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DIS(dewatering & impregnation soaking) 공정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삼투탈수는 분자량 4000의 PEG을 삼투제로 하여 이의 40%(w/v) 용액에 두께 0.5 cm의 알로에 잎 슬라이스를 넣고 간헐적으로 교반하면서 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침지온도(25-55oC)가 DIS의 성능(수분소실 및 고형분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현미경관찰에 의한 세포조직 구조의 경시변화를 모니터링하면서 조사, 비교되었고, 동역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고온(55oC) 처리에서는 저온(25 and 35oC)에서보다 더 높은 수분소실을 보였으나 세포조직의 파괴를 동반하였다. 또, 품질지표값으로서의 glucomannan 함량은 세포조직구조를 잘 유지하였던 침지온도 35oC에서 얻어졌다. 얻어진 시료의 실온건조제품을 재수화시켜 조사하고 동역학적으로 해석한 결과, 재수화 동역학은 Peleg 및 Weibull 모델로 잘 설명할 수 있었다. DIS 제품은 DIS 처리하지 않은 제품에 비해 세포구조 및 재수화성질의 향상을 주어 적정온도하에서 DIS 처리함으로써 최소공정의 알로에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로쇠나무, 붉은고로쇠나무, 우산고로쇠나무 실생묘(6년생)의 녹지삽목 대량증식 방법을 밝히기 위해 수종별로 삽목시기, 삽수부위 및 옥신처리를 하여 자동안개관수장치가 설치된 무가온 비닐하우스에 삽목을 실시하였다. 고로쇠나무류의 삽목 후 발근 개시일과 완료일은 고로쇠나무가 20일과 45일, 붉은 고로쇠나무와 우산고로쇠나무는 30일과 60일로 나타났다. 3수종의 삽목 발근율에 대한 삽목시기, 삽수부위, 옥신의 처리 효과는 모두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 <0.0001)가 나타났고, 뿌리수는 옥신처리간에만 고도의 유의성(P <0.0001)이 인정되었다. 삽목시기의 효과는 7월 1일 삽목의 평균 발근율이 73.0%로 6월 1일 삽목(51.6%)보다 21.4% 이상 높았고 뿌리수와 뿌리길이의 발달도 좋았다. 삽수부위의 효과는 하단부의 발근율(72.4%)이 상단부보다 20.2% 높고, 뿌리수와 뿌리길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수종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옥신처리는 IBA 100ppm과 무처리로 높은 발근율을 보였으나 뿌리발달은 좋지 않았다. 각 처리에 대한 상호작용의 발근 효과에서 발근율은 3수종 모두 고도의 유의성(P <0.0001)이 인정되었으며, 뿌리수에 대한 상호작용은 수종마다 달랐다. 발근율이 가장 좋은 각 처리간 조합은 고로쇠나무의 경우 7월 1일 삽목시기+하단부+무처리로 발근율이 100%로 나타났고, 붉은고로쇠나무는 7월 1일 삽목+하단부+IBA 100ppm(96.7%)이었으며, 우산고로쇠나무는 7월 1일삽목+하단부+무처리(88.7%)가 가장 좋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Baculum elongatum has a long, thin shape that resembles a twig, propagates by parthenogenesis, changes body color, and drops eggs, all of which suggests its potential in the commercial market, especially as an educational pet ins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est hatching environment and an alternative or artificial diet for rearing B. elongatum to be developed as a commercial and educational pet insect. Oviposition was performed by females without fertilization by the sperm of males. The oviposition period was 42.2 ± 22.7 days and the number of eggs per female was 109.5 ± 70.5 eggs. The hatch rate was 73.3% at 25°C and 66.7% after low temperature treatment (8°C for 60 days). In nature, B. elongatum overwinters as an egg, but it can be assumed from the results that cold temperatures were not required for hatching. The hatch rate was 98.2% in the treatment using floral foam, fermented sawdust, and leaves. Clover(Trifolium repens) was an excellent diet as it was similar to the host plant and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diet. The rate of reaching adulthood for the insects was 66.7% on an artificial diet containing 25% acacia leaves. For sustainable mass rearing of nymphs or adults of B. elongatum, a natural diet could be used such as acacia (Robinia pseudoacacia), white oak (Quercus aliena), chestnut (Castanea crenata var. dulcis), and bush clover (Lespedeza bicolor), or an alternative diet such as clover or artificial diet. To rear nymphs and adults of B. elongatum, natural diet such as acacia, white oak, chestnut, or bush clover leaves, or an alternative diet such as clover or an artificial diet can be used.
국내 유통 주류 95점에 대하여 에틸카바메이트 잔류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탁주, 약주, 청주, 과실주를 비롯하여 소주, 브랜디 그리고 에틸카바메이트 잔류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 리큐르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액액분배를 통하여 정제하였으며, GC/MS/MS 분석법을 정립하였다. 카트리지(cartridge)나 농축 과정이 없기 때문에 식품공전에등재되어 있는 GC/MS 분석법보다 분석시간이나 소요비용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었다. 정성한계는 1.3 ug/L이었으며, 정량한계는 4.0 ug/L이었다. 탁주, 약주, 청주에 대하여각각 0.63, 7.01, 14.11 ug/L의 평균 잔류량을 나타내 캐나다의 청주 허용기준 200 ug/L나 약주, 청주에서 논의되고있는 허용기준치 200 ug/L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안전한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분자주, 포도주에서는 각각 평균 1.66, 2.64 ug/L 검출되어 현재 캐나다, 체코에서 포도주허용기준치로 설정되어 있는 30 ug/L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역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실주 중 매실주의 경우 평균 79.18 ug/L로 본 연구를 통하여 평가된 모든 주종 중 가장 높은 잔류량을 나타내었으나, 외국의 다른 유사 주종에대한 허용기준치 (예로서 캐나다의 경우 400 ug/L 과실 브랜디)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할 수있었다. 증류식 소주, 일반증류주, 리큐르도 논의되고 있는기준치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우리술의 에틸카바메이트 잔류실태가위험한 수준이 아니라는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이러한 유해물질의 지속적인 잔류조사 및 위해평가를 통하여 우리 술 및 전통발효식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풍진동 제어를 위해 39층 테크노마트 건물에 능동형 질량 감쇠기를 적용하기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태풍 풍응답 계측 및 풍동실험을 통해 테크노마트 단변방향 진동에 대한 사용성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MD에 요구되는 스트로크 확보를 위한 건물의 여유 공간, 설치 위치, 허용 무게 등을 알아보고 제진장치 배치 및 사양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테크노마트의 최상거주층인 39층 단변방향을 대상으로 한 1자유도 해석모델에 대해 선형제어방법인 속도피드백, LQR, LQG 알고리즘과 비선형제어방법인 Bnag-bang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해석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제어 전·후의 최대가속도는 11.83cm/s2에서 4.19cm/s2으로, 진동감지확률은 90%에서 50%이하로 감소하여 Bang-bang 제어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제어성능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알고리즘으로 구현된 AMD의 최대 스트로크가 모두 허용범위 수준을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실제 AMD의 안정적은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원점보정 신호 방안을 제안하여, 제한된 스트로크 내에서 제진장치를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As a preceding study for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ound wave stimulus on Arabidopsis thaliana metabolomics, the polar secondary metabolomes of the plant were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tandem mass spectrometry. A total of 10 polar secondary metabolomes were characterized and quantified. Among them, 4 metabolomes, p-coumaroylagmatine isomer (7 and 8), p-coumaroylagmatine isomer (9 and 10) were identified in the plant for the first time. The validation was conducted in terms of linearity, recovery, precis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The validated method was applied to the simultaneous quantification of the 10 polar secondary metabolomes.
Objective: Dancers need to maintain desirable percent fat for reducing unnecessary weight loss and
decrease in the use of a potentially dangerous weight-contro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nd validate a prediction equation for est
본 연구는 매스 미디어가 문화변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문헌 검토를 통해 현대 문화변천과 매스 미디어와의 상관성을 세 가 지의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문화적 인식 변화와 문화변천에 도 움을 주는 매스 미디어와 정치, 사회변천, 세계화, 경제 발전과 미래 문화에 매스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매스 미디어는 우리 에게 이미 어느 정도의 통제가 가능하고 더 편리해져서 문화변천에 다양한 방향을 제시한다. 따라서 매스 미디어는 문화진화와 실천 과정의 직접적인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문화변천에 대한 매스 미디어의 영향은 사회, 경제, 정치 그리고 모 든 국제화 사업과의 조화로운 융합에 성공함으로써 매스미디어가 문화적 가치 및 경제적 가치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summarize the progress on the rest-frame optical spectroscopy of quasars at 3 2.5−5μm . This spectral window has been utilized for detecting redshifted Hα emission lines of our high redshift subsample of quasars. From the calculated emission line widths and luminosities we measured supermassive black hole masses using well calibrated optical mass estimators. Science topics regarding optical based black hole masses at high-z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