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ruption of cell - matrix attachment results in a loss of prosurvival signals and culminates in programmed cell death, referred to as anoikis , Apoptosis signal- regulating kinase 1(ASKl)/MKK5 is a ubiquitously expressed enzyme that acti vates c-Jun N-terminal kinase/stress-activated protein kinase JNK/SAPK and p38 pathways by direct site specific Ser/Thr phosphoryl ation of their respective MKKs-MKK4/MKK7 for JNK and MKK3/MKK6 for p38 kinases, The kinase activity of ASKl is stimulated by a variety of death signals, including TNF, Fas ligati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neoplastic agent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SKl in anOlkls 1n the present study cells which lost their adhesion showed higher rate of cell death in compared to cells which maintained anchorage. 1nterestingly the res ult showed that suspended cells expressing ASK1 were more susceptible to anoikis than suspended cells having no ASK1 1n addition, cellu lar attachment seems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SKl activity and p38 MAPK protein rather than serum stimulation
경찰은 2005년 정지선 준수율 향상을 위하여 '정지선 지키기 생활화 운동'과 함께 정지선위반 단속을 수행하였다. 단속기간 동안 정지선 준수율이 향상되었으나, 단속기간 이후 정지선 준수율은 단속 이전 수준으로 회귀되어 캠페인 및 단속을 통한 정지선 준수율 향상 노력의 장기적인 실효성 문제가 지적되었다. 교통안전시설물(신호기) 설치위치 조정 등의 교통환경 개선을 통해 장기적이며 근본적인 정지선 준수율 향상 필요성이 공론화 되고 있으나 해당분야의 기초 연구가 부재하다. 본 연구는 신호기 설치위치에 따른 차량의 정지선 준수율 변화 여부를 분석 및 제시한다. 현장자료를 토대로 수행한 통계분석 결과 신호기 위치에 따라 정지선 준수율이 변화하며, 정지선으로부터 신호기까지의 거리가 10~20m일 경우 정지선 준수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신호기설치관리매뉴얼'에서 허용하는 신호기 설치위치 범위에 포함되는 정지선 하류 10~20m의 위치를 신호기 적정 설치위치로 제안한다.
Signal fire was a communication system which deliver urgent news by smoke and light. It informed the condition of the border 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military base rapidly.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border signal-fire which is the main facility of military protective duty for safety of sea side in chosun dynas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escribed separately as follows. 1. The border signal-fire has three types of facility layout, The majority was one-site, near two-site, separate type. The majority was near two-site type. 2. Plan configuration of signal-fire stand which is separated with circle, oval, round-rectangular and rectangular type roughly was constructed with circle type generally. Four types of signal-fire stand was observed in southern and western sea side impartially. However, in eastern side, circle type of signal-fire stand was mainly found. Therefore, regi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considered partially. 3. The height of signal-fire stand was about 8~10m. The diameter of combustion chamber on the signal-fire stand was 2~3m in circle type, and the dimension of rectangular type was about 1.9×1.9~3.2×3.0m. 4. Building base that protect ground moisture and infilteration of rainfall was found in 10 border singal-fire, the height of it was about 0.3m~2.5m.
영종대교에 설치된 교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특징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계측, 수집된 각 신호들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3차원 자정식 현수교인 영종대교에 설치, 운영되는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현장하드웨어-계측서버-관리자로 연결되는 자동화된 시스템으로써 개통 이후부터 교량의 거동 및 하중효과를 대변하는 물리량을 측정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구성 및 측정항목에 대한 소개와 온도변화에 의한 시그널에의 영향을 감시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개발과정을 언급한다. 또한, 행어 케이블의 장력측정 방법의 일환으로 길이가 짧고 장력이 큰 케이블에 대해 정적으로 장력산정이 가능한 장치 및 알고리즘의 개발에 대해 소개한다. 특히 이 교량의 공용중에 이루어진 철도통행을 위한 설비의 추가로 교량 구조계의 변화를 계측 신호를 바탕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이러한 각종 계측 및 모니터링 결과는 향후 교량의 상태판정의 기본자료로 활용되어 효율적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 (TRAIL) is a well-known inducer of apoptotic cell death in many tumor cells. 1RAIL is expressed in human placenta, and cytotrophoblast cells express 1RAIL receptors. However, the role of TRAIL in human placentas and cytotrophoblast cells is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a trophoblast cell line, JEG-3, was used as a model system to examine the effect of TRAIL. on key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the control of trophoblastic cell apoptosis and survival JEG-3 cells expressed receptors for 1RAIL, death receptor (DR) 4, DR5, decoy receptor (OcR) 1 and DeR2. Recombinant human TRAIL (rhTRAIL) did not have a cytotoxic effect determined by MIT assay and did not induce apoptotic cell death determined by poly-(ADP-ribose) polymerase cleavage assay. rhTRAIL induced a rapid and transient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B(NF-kB) determined by immunoblotting using nuclear protein extracts. rhTRAIL rapidly activ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ERK) 1/2 as determined by immnoblotting for phospho-ERK1/2. However, c-Jun N-terminal kinase (JNK),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38MAPK) and Akt (protein kinase B) were not activated by rhTRAIL. The ability of 1RAIL to induce NF-kB and ERK1/2 suggests that interaction between TRAIL and its receptor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rophoblast cell function during pregnancy.
일상생활의 대화중에 포함되는 잡음, 특히 모든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백색잡음에 의해 오염된 음성신호는 청각적으로 심한 불쾌감과 거부감을 주며 대화의 명료성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잡음환경 하에서 음성인식을 위하여 음성에 부가된 잡음을 제거하는 방범으로 프레임 단위로 웨이브렛 변환을 하여 웨이브렛 계수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시간 적응 임계값을 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음성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고주파 성분을 많이 가지는 무성음의 경우는 cD1 신호에서, 저주파 성분을 많이 가지는 유성음의 경우는 cA3 신호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시간 적응 임계값을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일반적인 웨이브렛 변환과 웨이브렛 패킷 변환을 이용한 방법보다 SNR과 MSE 측면에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웨이브렛 변환과 웨이브렛 패킷 변환에서는 파열음, 마찰음 및 파찰음 성분이 많이 제거되는 반면 제안한 방법은 본래 신호와 유사하게 복원됨을 실험 결과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portable bioelectric signal measurement system for the safety of industrial workers. The developed system consists of two parts: the one is boielectric signal measurement unit and the other is signal analyzer system with PDA. The former includes signal processing part, A/D convertor, and 8051 based microprocessor, the latter includes software for signal analysis and display. The developed system detects industrial worker's ECG and displays and stores it to PDA. The ECG data in PDA can be transmitted to PC located in a distance, allowing a doctor to review the ECG and make a treatment decision. A doctor analyzes the ECG data and gives medical treatment to industrial worker.
우리나라에 설치되어 있는 DGPS 위치 보정국의 위치보정신호에 대한 이용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주에서 중국의 텐진간의 항로, 제주에서 인천간의 항로 및 제주에서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간의 항로에서 우리나라 부근해역에서 각 DGPS 위치보정국의 전파를 자동선국과 수동선국 방식으로 수신하여 설계상의 이용범위와 실측결과를 비교 · 검토하였으며, 전파송신국과 수신지점사이의 전달경로상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의 이용범위의 제한에 대하여 고 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효범위가 100해리, 전계강도는 40.0dB (overμV/m)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DGPS보정국은 그 이용범위가 DGPS보정국 및 전파경로에 따라 최소 0.3 배에서 최대 3.6 배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2. 전파경로가 같은 해상일 경우에 DGPS보정국을 중심으로 남쪽해역보다는 북쪽해역의 이용범위가 넓었다. 3. 우리나라 서해안에서는 어청도국이 이용범위가 가장 넓어서 366해리나 되었고, 동해안에서는 울릉도국이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항에서도 자동선국으로 수신이 되어 342.3해리의 이용범위를 보였다. 4. 우리나라 서해안 및 남서해안에서의 제주도 마라도국의 이용범위는, 전파경로상 한라산이 존재하여 대단히 불규칙하고 불안정하며, 측정된 최대수신범위는 2002년 6월 22일부터 7월 1일까지의 제주와 중국 텐진간의 항로상에서 자동수신거리 145해리이었으며, 최소 수신 불가능한 거리는 2003년 6월 26일부터 6월 28일까지의 제주와 인천간의 항로상에서 수동수선거리 28.7해리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interactive method, which is designed to select the optimal preferred alternative for the MLDM(Multiple-the Larger-the better type Decision-Making) problems with the-larger-the-bette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interactive method, which is designed to select the optimal preferred alternative for the MLDM(Multiple-the Larger-the better type Decision-Making) proble- ms with the-larger-the-bette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basic idea of the paper is essentially to eliminate inefficient alternative based on the concept of Taguchi Signal-to-Noise Ratio and the cutting range instead of using UVF(Utility/Value Function) on the group of attributes that can be considered importantly by the decision makers. As a result, the method proposed in the paper for MLDM problems can be significant in that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is transformed into the size of Signal-to-Noise Ratio, which can be relatively easy to understand by decision makers.
본 연구는 최신 텔레메틱스 제품의 사용성 평가 및 운전자 생체신호 변이의 분석을 통하여 제품 사용 및 정보서비스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함으로서 차세대 자동차의 운전자 정보 체계(DIS: Driver Information System)에 대한 HMI 설계의 G/L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평가방법과 실험을 통하여 운전자가 텔레메틱스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주관적, 객관적 작업부하 및 불편요인을 도출하였다.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hat ionizing radiation (IR) mediates checkpoint control, repair and cell death. In this study, we have used a high density microarray hybridization approach to characterize the transcriptional response of human breast carci
This paper described the effect of subjective approach in case of the human sensibility experiments. The procedure is proceeded subjectively. Human faces are selected as the image presentation media. Pleasant and unpleasant images are selected directly by examiner, And also the image presentation system, which is executed with a computer and has the square-type black box monitor equipment, is manufactured. Images are presented with the step-variation time interval technique. questionnaire test and EEG signal detection data are analyzed. The analysis parameters are a “frequency band integral value” and a “band differential variation ratio”. he results show the high sensibility and fast response. The fact that image presenting repetition alleviates is verified.
문명의 발달과 함께 수면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질환이 증가하게 되어 최근 수면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온열환경 조건에서의 쾌적한 수면을 위한 온열환경을 제시하기 위해, 5명의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22℃, 26℃, 30℃의 일정온도 조건과 25℃에서 1시간 후와 2시간 후에 각각 1, 2℃를 상승시켜주는 변동온도 조건하에서 수면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면단계 평가를 이용하여 총 수면시간, 깊은 수면의 비율, 그리고 최초 수면시작 시간에서 최초의 서파 수면이 나타나기까지의 지연시간 등의 수면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일정온도 조건에서는 26℃에서 총 수면시간(466.7±10.25분)과 깊은 수면의 비율(33.1±4.95%)은 타 조건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최초 서파수면까지의 지연시간(9.8±3.33분)은 타 조건에 비해 낮게 나타나 쾌적한 수면을 위한 가장 적절한 온열조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변동온도 조건에서는 4가지 온열조건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조건에서 일정온도 조건보다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면 중 신체 움직임과 설문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면생리신호를 이용한 수면 쾌적성 분석은 수면의 질적인 상태를 관찰하는데 매우 적합한 파라메터를 도출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수면환경 조건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