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09

        1441.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하 조절층을 이용하여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효율의 향상을 나타냈다. 양극성의 4,4,N,N'-dicarbazolebiphenyl (CBP)를 호스트와 전하 조절층으로 사용하여 발광층 내에서 전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전하 조절층의 삽입으로 엑시톤을 효과적으로 발광층 내에 제한하여, 삼중항-삼중항 소멸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발광층의 전체 두께는 유지하고, 전하 조절층의 변화를 준 다섯 개의 소자를 제작하여 최적화된 전하 조절층의 두께를 이용한 Device D는 외부 양자 효율 16.22%와 휘도 효율 55.76 cd/A의 성능을 보였다.
        4,000원
        144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지개 빛을 내는 무기진주광택안료는, 내광성, 내용제성 및 내열성 등이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열합성방법을 사용하여 마이카 티타니아에 파란색 코팅 안료인 염화코발트를 기본으로 화장품 안료로 사용되는 진주광택안료를 합성하였다. 코발트에 의한 안료의 색상을 보완하고자 코발트와 금속 염의 비를 달리하여 안료를 코팅하고, 이를 통해 금속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차값을 구현하는 진주광택 안료를 합성하였다. 코발트와 첨가된 금속 염 전구체의 조성비와, 금속 염의 종류에 따라 코팅 특성과 색상을 조절할 수 있었고, 안료의 다양한 색상변화 특성을 색차계를 통해 확인 하였다. 합성된 안료는 SPM, SEM, XRD, EDS 기기를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4,200원
        1443.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mija component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red-purple color of some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natural Omija extract were obtained as follow.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the number of microbial population showed negative reaction from 3 days after it cultivated.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antimicrobial effect. The result of dyeing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fiber dyeing effect showed with some ivory color after dyed to cotton and silk. Also,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natural dyeing effect from observated dye state with biological microscope(BM). The result of instrumental analysis, inorganic components of K(109.60ppm), Na(3.500ppm), Ca(1.205ppm), Mg(0.900ppm), Li(0.350ppm), Si(0.380ppm), Cu(0.250ppm), Fe(0.125ppm), Zn(0.090ppm),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ICP/OES, and organic components of benzene(10.808), borny lacetate(11.289), phenol(14.183), β-terpinene(15.840), α-terpinolene(17.616)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GC/MSD.
        4,000원
        144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many cosmetic researchers have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high functional cosmetics including anti-wrinkle and whitening. In these studies, they couldn't afford to pay a deep attention to stable encapsulations for unstable materials and efficient drug deliveries for them. Particularly, in order to show a degree of instant effects as cosmetics, they can't also ignore moisturizing effect enough to satisfy customers just after applying and its maintenance by improving the function of skin barrier as well as above two effects. Therefore, skin analogue system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view of structural and compositional similarity to intercellular membrane in stratum corneum. And, some models for skin analogue composition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skin barrier, stably encapsulate unstable materials such as retinol, vitamin B, C, E, etc., and control their skin penetration in order to show good effects as cosmetic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new skin analogue model having the compositional similarity as well as conventional structural ones. Our skin analogue membrane(SAM) is mainly composed of ceramide/ cholesterol/phosphatidylcholin/fatty acids and its structural defects are compensated by including cholesterol amphiphile and controlling the ratio of ceramide/cholesterol.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formation of skin analogue membrane having highly-densed multilamella structure and compare them according to the change of each ratio with a polarized microscope, X-ray diffraction. More detaily, we observed their structures with a electron microscope(TEM). Finally, we dispersed them in excess of continuous water phase, observed the formation of maltese-cross liquid crystalline and measured the efficiency of drug deliveries and moisturizing effects.
        4,000원
        144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TNT 오염토양을 콤포스팅과 슬러리생물상으로 처리 후 형광미생물을 이용하여 독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운전기간은 각각 45일과 200일이었다. 콤포스팅 처리 후 C/N비 조절용으로 아세톤을 첨가한 경우의 GL값은 40으로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경우(GL 80)보다 낮아 독성이 더 많이 제거되었다. 혐기성, 혐기성/호기성, 그리고 호기성 조건의 슬러리생물상으로 처리 후 GL값은 각각 6, 8, 4로 나타나 독성이 거의 없는 수준까지 크게 감소하였다. GL값과 S. typhimurium 수의 상관도는 1차식으로 표현이 가능하였으며, 생물학적 처리에 따른 미생물독성과 돌연변이성 변화는 비교적 높은 상관도 (r > 0.8890)를 나타내었다.
        4,200원
        144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agnostic assay of calcium ion was sought using a modified sensor with square-wave stripping voltammetry (SWSV) and cyclic voltammetry (CV). In this study, simple graphite pencil was used as working, reference, and auxiliary electrodes. By coating the working electrodes with DNA, their sensitivity was very much improved, and good results were yielded. Moreover, clean seawater was used as an electrolyte solution instead of acid and base electrolytes to lessen the expenses involved in the experiment. The analytical optimum conditions were also examined. These conditions were attained at the low detection limit of 0.6ugL1. After that, the results were applied to drinking water of milk contain.
        4,000원
        144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여러 해조류 소재 중에서 국내 생산량이 많고 연소가 뛰어나 수율이 높은 해초액 화합물을 대량생산 실용화가 가능한 것을 목표로 하며, 해조류인 미역 다시마 톳 기타 김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주로 원료확보는 폐자원 해조류 등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Poly step trap식 건류 공정 적용인 탄화공정을 수반함으로서 생성된 해초 액을 개발하는 연구다. 이를 분리 정제하는 기술적 공정을 개발하고 나아가 시제품을 개발하여 농업, 식품, 비료, 의약품 대체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제일 문제시 되고 있는 식품 첨가제를 해결함으로서 고 부가치성 창출과 바이오 생물약제 원료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해초 액을 추출 분리 및 정제연구를 실시하여 화합물 분석실험을 추진하였다. 그리고 목초액과 성분비교 우위성 입증실험을 성분비교실험을 통해서 비교 검증실험을 추진하였다.
        4,600원
        144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 재발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피부장벽기능의 이상과 환경유발인자에 대한 피부과민성과 연관되어 있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아토피성피부염에 효과적인 약용식물 추출물을 발굴하기 위하여 노회, 자회지정, 석류, 석곡 추출물들의 세포독성, 항산화, 항염, 항알레르기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다당류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 RAW26.7 에 대한 약용식물 추출물들의 항염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검토하여 항염작용의 근본적인 분자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분석(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결과, 석류, 석곡, 노회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와 IL-1β 유전자발현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며 자화지정은 영향이 없었다. 형질주입과 발광효소분석(transfection and luciferase analysis) 결과, 약용식물 모두가 전사 핵인자 카파비(NF-kB)의 활성화를 억제시켰다. 웨스턴 블럿 분석(western blot analysis) 결과, 노회는 JNK MAP 인산화효소의 활성화를 차단하였지만 p38 MAP 인산화효소의 활성화는 차단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자화지정, 석류, 석곡은 JNK MAP 인산화효소뿐만 아니라 p38 MAP 인산화효소의 활성화도 차단하였다. 이들 실험결과들은 노회, 자화지정, 석류, 석곡은 항염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경감 또는 완화시키는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 준다.
        4,000원
        144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압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 중에 함유되어있는 난분해성 COD 물질을 80μm 두께의 극세사 형태로 제조된 Cu-Zn 금속합금의 산화 작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OH 라디칼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OH 라디칼은 유기화합물(RH) 속에 포함된 수소를 수소추출반응(H Abstraction) 또는 탄소와 탄소(C-C)의 불포화 결합에 첨가됨으로써 빠르고 비 선택적인 반응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처럼 난 분해성 유기화합물의 처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합금 반응 물질은 극세사 형태로 표면적이 넓어서 1회 처리만으로도 수용액의 pH를 평형에 도달하게 하여서 반응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D처리 효율은 중성 pH에 가까운 pH 7, pH 6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산성분위기인 pH 5이하 및 알칼리성 분위기인 pH 8이상에서는 낮은 효율을 보였다. 실제 압연 폐수의 응집 침전을 이용한 COD 처리에서도 redox 반응장치의 유무에 따라 2배 이상의 처리효율의 차이를 보였다.
        4,000원
        145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기전기발광 소자에서 천연색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색, 녹색, 청색 발광물질이 필요하다. 그러나 적색과 녹색의 발광 물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나 청색의 물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은 높은 발광 에너지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발광 효율이 높으며 열적 안정성이 좋은 화합물을 합성하려는 것으로 carbazole로 치환된 anthracene 화합물 합성에 관한 것이다. Tert-butyl 기로 치환된 carbazole에 전기 발광 성질과 열적 안정도가 좋은 anthracene을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정공전달 특성을 갖는 작용기와 전자전달 특성을 갖는 작용기 간의 거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고자 하였다.
        4,000원
        145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글리세롤에스터 유화제를 이용한 에멀젼의 입자상태 및 시간의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여러 가지 오일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오일의 종류에 따라 입자크기 및 안정성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폴리글리세롤 에스터로 유화된 가장 안정한 오일은 polar 오일인 실리콘계열과 지방산에스터 오일이고, 탄화수소계열의 nonpolar오일(Mineral oil, squalane, polydecene) 등이 유화에 있어서 가장 불안한 상태를 보였다. 식물성오일도 폴리글리세릴 에스터 유화제와는 안정한 형태의 입자형성을 보였다.
        4,000원
        1452.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연료극 또는 공기극에 함유된 불순물인 황화합물의 도입을 차단할 수 있는 GDL을 제조하여, 이를 평가용 단위전지에 체결하여 H2S와 SO2를 연료극과 공기극에 각각 동시에 공급하여 PEMFC의 성능 저하 및 회복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H2S와 SO2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지의 성능이 감소하며 특히 10 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10분 이내에 약 10-15% 정도 성능이 감소하였다. 특히 GDL 표면의 기공이 없는 CN-2 GDL을 체결한 단위전지의 경우 피독에 의한 성능 감소 속도가 더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단위전지 피독 후 황화합물이 혼합되지 않은 순수 가스를 1시간 이상 공급하였을 때 전지의 성능이 GDL의 종류에 따라 90%에서 95% 이상 회복되며 CN-1 GDL의 경우가 가장 회복이 우수하였다.
        4,000원
        145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lectrochemical analysis of silver ion was performed using cyclic voltammetry (CV) and square-wave (SW) stripping voltammetry, and electrode cell systems were fabricated with graphite pencil electrode (GE) of working, reference and counter electrodes. Also electrolyte was the use of sea water as electrolyte solutions instead of ionic controlled solutions. The optimum analytical conditions for the cyclic and stripping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GE. The results approached the microgram working ranges of SW(ug/L) and CV(ug/L) Ag, and the optimum conditions were applied to frog's tissue and the food samples.
        4,000원
        1454.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 33±2℃)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대두유, 당밀, 아미노산, 비타민 C를 적절하게 함유하는 폭염사료 (extreme heat stress diet, EHSD)급여가 짧은 사슬지방산 및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처리구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각 처리구는 4반복을 가졌으며 각 반복은 25마리씩 배치하였다. 처리구는 역전점등과 함께 T1 (일반환경+기초사료 basal diet, BD), T2 (EHS+BD), T3 (EHS+B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2%를 함유하는 EHSD), T4 (EHS+B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2%,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일반사료의 1.5배씩 함유하는 EHSD), T5 (EHS+B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2%,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일반사료의 1.5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200 ppm을 함유하는 EHSD)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의 증체량은 T1, T2와 비교할 때 T4, T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면역기관, F낭, 흉선, 비장의 무게는 서로 비슷하였다. 또한 혈청 IgG, IgA, IgM 농도는 T4, T5가 T1, T2에 비교할 때 높았으나 코르티코스테론 농도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특히 맹장의 Lactobacillus는 T4, T5가 T1, T2에 비해서 증가하였으나 Escherichia, Coliform, Total aerobic bacteria는 오히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초산, 프로피온산 및 총 짧은 사슬지방산 함량은 T4, T5가 T1, T2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다.
        4,300원
        145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lycol ethers는 페인트에 흔히 사용되는 ethylene glycol의 alkyl ethers에 기반을 둔 용제들이다. 이 용제들은 일반적으로 저분자량 에테르와 알코올의 용제 친화적 성질과 더불어 더 높은 비등점을 가지고 있다. Union Carbide Corp.는 "Glycol ethers"를 하나의 미국 상표로 등록했으며, 이는 제약, 자외선차단제, 화장품, 잉크, 염료 및 수성페인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반면 glycol ethers는 그리스 제거제, 세제, 에어로졸 페인트와 접착제에서도 발견된다. 대부분의 glycol ethers는 수용성, 생분해성이며, 아주 적은 수의 glycol ethers만이 유독성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glycol ethers는 환경에 부작용을 낳을 것 같지는 않다. 최근 연구는 glycol ethers에 작업상 노출되는 것이 남성 정자의 저 운동성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제시했지만, 이는 다른 이들에 의해 반박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종류의 glycol ethers의 피부침투성에 관해 용제와 세제의 조합을 사용하여 시험관을 통해 연구한다. Methyl glycol ethers, ethyl glycol ethers and butyl glycol ethers의 흡수는 쥐의 피부를 통해 시험관에서 측정되었다. Epidermal membranes는 Franz diffusion cells에 세워졌으며, 그들의 PBS 침투율은 glycol ethers가 epidermal surface에 적용되기 전, 피부의 보전을 위해 처리하였다. 개별 glycol ethers의 흡수율은 최대 흡수 파장(λmax)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결정하였으며, 침투율의 측정은 esters와의 접촉을 이유로 장벽 기능 내 불가역 변화를 정량화하였다. 시험관 실험 결과 glycol ethers의 종류는 methyl glycol ethers 〉 ethyl glycol ethers 〉 butyl glycol ethers의 순에 따라 빠르게 나타났다. 피부침투는 저분자량 피부침투, 친수성과 같은 화학적구조의 차이에서 유익했다. 이는 분배계수와 용해 방법 및 수동확산이 전달이 고려되는 곳에서 속도를 올렸기 때문이다.
        4,200원
        145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항균성 코팅제의 개념과 동향파악으로 항균성 코팅제의 연구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항균제는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성장을 저지하는데 사용되는 화합물이며 항균 코팅제에 함유되는 항균제용 재료는 무기물, 금속, 저분자 유기물, 천연유기물, 고분자가 있다. 항균코팅제는 생활용품, 병원용품, 산업용품, 전자제품, 의류, 건축 내장재 등의 표면의 항균성 부여에 쓰인다. 기존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을 손상하지 않고 미생물을 침투하나 항균성 고분자는 세포막을 파괴하므로 항생제의 내성을 방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고분자 항균제는 양이온 고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항균제의 분자설계와 코팅제 배합의 합리화로 항균제의 선택성, 내구성, 독성 문제가 개선될 것이다.
        5,500원
        1457.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차 아민(MEA, monoethanolamine)으로 개질한 입자상 활성탄(WSC-470)을 이용하여 실내 저농도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MEA 함침농도(6.1~42.7 wt.%)와 용매제(distillate water, ethanol, methanol) 종류에 따라 제조된 흡착제의 특성분석(BET, pore property, XPS)과 각 흡착제의 CO2가스에 대한 최대 흡착능, 3000 ppm의 저농도 CO2분위기에서의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MEA 농도가 증가할수록 물리적 특성인 비표면적, 공극률, 미세기공률 등은 감소한 반면, 표면 염기도 향상에 기여하는 질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물성변화로 인해 최대 흡착능은 초기 활성탄(RAC: 3.27 mmol/g) 대비 최대 71%(AC-MM(42.7, 40): 0.937 mmol/g)가 감소한 반면, 저농도 이산화탄소에 대한 선택적 흡착량은 45%(AC-MM(15.3, 40): 0.73 mmol/g)의 향상을 보였다.
        4,000원
        145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연속조명과 함께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폭염사료 급여가 혈액지질, 성장능력, 면역기관, 혈청 면역물질, 맹장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환경온도 (25℃) 또는 폭염스트레스 (33±2℃)하에서 사육한 병아리는 일반사료(chow diet, CD)와 폭염사료(extreme heat diet, EHD)를 섭취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 처리구 4 반복(반복 펜 당 25 마리)으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T1 (일반환경+CD), T2 (EHS+CD), T3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5%를 함유하는 EHD), T4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함유하는 EHD), T5 (폭염+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300 ppm 을 함유하는 EHD)로 구분하였다. EHS 는 체중 및 사료섭취량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지질, 혈액 면역물질, F 낭, 흉선 그리고 비장의 무게는 브로일러를 EHS 에 노출하였을 때 유의하게 낮아졌다. 일반 환경온도 처리군과 비교할 때 EHS 처리군에서 맹장 Lactobacillus sp.는 낮았으나 Escherichia sp., Salmonella sp. 및 총호기성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처리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4,000원
        1459.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루미늄 테르밋 반응의 환원제로서 알루미늄 분말은 200 메쉬 이하의 미분이 필요하나, 알루미늄의 높은 인성과 분말 제조비 때문에 경제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Mn3O4 분진 환원용 알루미늄 미분의 제조 코스트를 낮추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분말의 제특성이 검토되었다. 망간을 다량 함유한 알루미늄 합금괴는 취성이 큰 금속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파쇄할 수 있다. 또 망간은 망간 합금철의 주성분이다. Al-15%Mn 합금분말을 기계적 파쇄법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Al 분말 대신에 Al-15%Mn 합금분말을 사용한 테르밋 반응 결과는 환원제로 순 알루미늄 분말을 사용한 경우와 같이 고순도 망간 합금철을 얻을 수 있었다. Al-15%Mn 합금분말를 이용한 Mn3O4 분진의 망간 회수율은 알루미늄 분말을 이용한 경우의 약 65% 보다 높은 약 70%의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는 비산이 적은 것에 기인한다.
        4,000원
        146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는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한 인지질(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단분자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K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 100, 150, 200 및 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의 LB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터 환원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Sphingomyelin과 polyamic acid 혼합물 LB막에서 전해질농도가 0.1N과 0.2N에서 확산계수(D)는 각각 2.67cm2s-1×105과 5.23cm2s-1×106을 얻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