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2

        2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중국 불교 오신채 규정 성립의 혼란과 정립과정을, 마늘, 파, 부추, 염교 등 4가지 백합과 훈채와 중국에 존재하지 않았던 훈채인 흥거를 통해 고찰하려는 작업이다. 인도 오신채와 중국 오신채 항목은 마 늘과 파를 제외한 훈채명이 일치하지 않으며 불일치하는 훈채명의 정립 은 중국 농업사에서 4가지 백합과 훈채의 성립과 관계되어 있다. 중국에 서 번역되거나 중국에서 찬술된 훈채 관련 경전인 능가경과 범망경 은 5세기경에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되는데 이 시기에 중국 농업사에 서는 마늘, 파, 부추, 염교의 4가지 백합과 훈채가 농업상 정착되어 있었 다. 중국 훈채 관련 경전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마늘[大蒜]은 전한시기 장건의 서역 사행을 통해 중국에 전래되면서 중국 토종인 소산(小蒜)을 누르고 마늘을 대표하는 훈채로 정립된다. 또한 염교[薤]는 중국 자생종 식물로서 인도에는 없는 훈채이나 중국 불교문헌의 백합과 4가지 훈채로 자리잡는다. 오신채 중 주로 마지막에 언급되는 흥거(興渠)는 중국에 없었던 식물 인 관계로, 중국불교문헌에서 많은 혼란과정을 보여주는데 흥거는 유채를 의미하는 운대(芸薹, 蕓薹)나 고수풀을 의미하는 호유(胡荽)로 착락되거나 식질(蒠蒺, 무)로 오해되기도 하였다. 흥거가 유채나 고수풀로 착란된 이 유로는 형초세시기에 보이듯 중국 전통의 훈채로 존재했다는 이유와 도교의 오신채 중 두 가지 항목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혼란을 거쳐 중국불교는 당나라 시기에 인도와 서역사정에 밝은 범어 전문가인 현응이나 혜일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 흥 거의 정체가 파악되고 중국에서는 아위(阿魏)라는 명칭으로 오신채 항목 으로 정립되게 되었다. 그러나 교통, 통신의 미발달은 당나라 시기 그 실 체가 파악된 흥거는 그 이후 시기에 있어서도, 심지어 청나라 시기까지 이전의 혼란상이 문헌에서 교정되지 않는 채 여전히 잘못된 훈채명이 사 용되는 문헌이 존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6,400원
        2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수륙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되 었다. 수륙재의 성립과 전개에는 두 가지 관점이 작동되는데, 첫째 관점 은 수륙재의 의미론적 양상을 중심으로 성립을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현재에 전승된 수륙의문(儀文)의 성립과 변용 등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는 것이다. 수륙재의 과거 위상은 국가 의례의 성격이 대단히 농후하다는 것이다. 수륙재의 기원으로 알려진 양나라 무제가 설행한 것 등 국가나 왕후장상 이 주로 수륙재회를 열었으나 일반 민중도 공덕을 쌓기 위해 수륙재를 열었다. 왕실 의례라는 성격은 선영(仙靈)을 연에 모시는 시련(侍輦)에서 잘 확인이 된다. 수륙재의 현재 양상은 설판(設辦)의 축소 등으로 인해 의례의 일반화 가 일어나 수륙재의(水陸齋儀)의 모습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19세기 이 후에는 수륙의문의 발간이 일어난 사례가 보이지 않는다. 현재 국가중요 무형문화재를 제외하면 일반적인 재회를 수륙재라고 하는 등 다양한 형 태로 진행되며, 의례 주체의 이원화, 설단 등은 법당 안의 모습을 실외로 옮긴 듯한 양상으로 진행된다. 수륙재의 미래는 재회(齋會: 음식을 제공하는 의례)의 의미가 살아나야 하고, 설행을 내부와 외부의 승려와 재자가 같이 참여해야 하며, 동참자 가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본래 목적의 달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전통 문화적인 요소가 사라지지 않도록 유념해야 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7,000원
        23.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불교 수행법들이 국내에 알려지고, 명상 또한 대중화되고 있다. 불교 수행방법을 과학화하여 다양한 심리치유법이 개발되어 유용하게 활 용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연구자는 불교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사띠(sati)의 중요성에 주목했다. 사띠에 대응하는 한글 번역어는 ‘마음챙 김’, ‘알아차림’ 등으로 제시되지만, 명료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것은 사띠 개념의 복잡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띠에 관한 실제 사례를 연결하는 의미 있는 연구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띠의 실천 사례를 관찰하기 어려운 국 내의 연구 상황에서 계율 실천과 사띠 훈련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태국의 승려들이 빠알리어 계본에 명시된 항목을 어떻게 실천하는지 조 사하여, 논의함으로 국내의 사띠 연구에 좋은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 행 및 일상에서의 사띠 실천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6,700원
        2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입시에 내몰리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건전하고 올 바른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 다. 인간의 역사 속에서 위기는 늘 내포되어 왔고, 청소년기 시기는 위기 와 기회가 동시에 존재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청소년기에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청소 년들은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인간관계나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갈등조차 시간낭비라는 인식하에 입시경쟁에 매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붓다의 핵심사상인 “고정된 불변의 진리는 없다”라는 무아사상 과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 기법을 통해 청소년들이 처해 있는 어려움 을 극복할 수 있는 상담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청소년기에 형성되어야 할 자아정체성과 학업스트레스와의 관계, 불 교의 무아와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 기법을 기반으로 한 불교 상담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6,000원
        25.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불교설화를 독서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기존의 독서치료 자료의 선정기 준에 따라 불교설화를 선정한다면 어떤 불교설화가 적절한지를 묻고, 이 문제의 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는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불교설화 에 관한 책들을 구입하고 독서치료 자료의 선정기준에 따라 분석하였으 며, 이에 대한 평정자 3명의 자문을 구하였다. 둘째, 상담 장면에서 활용 될 수 있는 발문을 찾기 위해 안도현 시인이 들려주는 불교동화 1의 「 망고나무는 내 친구」라는 불교설화를 토대로 심리역동적 발문 찾기를 시 도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불교설화를 독서치료의 자료로 선정하기 위해서 다른 자료보다 우선으로 자료의 접근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았다. 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한 문학으로 어려운 문장이나 전문적인 불 교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는 텍스트는 독서치료 원리에 충실한 접촉을 방 해하고 독서치료의 과정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둘째, 불교설화는 독서치료 자료의 주제별 분류로 볼 때 일반적인 주제, 영향력 있는 주제, 긍정적 정서의 주제를 담고 있었다. 그리고 문체별 분류 기준으로 분석결과 리듬, 이미지, 은유, 길이에서 독 서치료 자료로서의 활용이 용이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장면 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독서치료 과정에서의 발문에 대한 제안으로 독서치 료에 불교설화가 활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독서치료에 불교설화의 활용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 에 큰 의의를 가진다. 다만, 선행 연구가 전무하고 불교설화 독서치료 목 록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치료목적별, 대상별, 연령 구분과 같은 다른 분 류 체계를 폭넓게 다루지 못하였던 점, 방대한 불교설화의 양에 비해 지 극히 한정된 자료로 연구된 점은 연구의 한계이다. 향후 다양한 불교 설 화가 독서치료 자료로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대에 일반적으로 이 해하기 쉬운 문학으로 폭넓게 응용 번안·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불 교설화 독서치료 목록을 작성하는 연구가 선행되고, 이를 활용한 독서치 료 프로그램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200원
        2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능엄경』에 나타난 두 가지 전도망견(顚倒妄見)인 별업망견 (別業妄見)과 동분망견(同分妄見)의 양상을 통해 진심(眞心)과 망심(妄心) 을 명확히 구별하고, 마음의 정체인 상주진심(常住眞心) 청정명체(淸淨明 體)에 대한 요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붓다는 진견과 망견을 구분 하지 못하는 아난을 깨우치기 위해 두 가지 전도망견으로서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을 설법하였다. 아난은 칠처징심(七處徵心)과 십번현견(十番顯見) 에 제시된 마음의 소재와 진심에 대한 설법을 듣고도 망상으로 인해 깨 달음을 얻지 못했다. 중생이 망상으로 진심을 확인하려 아무리 노력해도 결국 망상의 범주에서 벗어나 진심에 이를 수 없게 된다. 전도망견의 설법은 망상의 범위를 아체(我體)에서 현상계(現象界) 전체 로 확대하여 법집(法執)의 경계까지도 타파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본 논 문에서는 별업망견을 설명하여 망견이 허상을 만들고 시비를 따지는 양 상을 논의하고 동분망견을 설명하여서 중생의 공통된 망견을 밝히고자 하였다. 두 가지 전도망견인 별업망견과 동분망견을 통해 한 중생이 세간 을 보는 방식이 모두 망견임을 밝히고, 모든 중생이 일체 세간을 보는 것이 망견임을 밝혔으며 나아가 일체만물과 일체중생의 모든 현상이 다 망견으로 인하여 허망하게 화합생멸함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 중생이 허망한 화합생멸상을 벗어나 진견을 통하여 만물이 일체 여래장묘진여성 임을 깨달아야 생사의 윤회를 끊고 상주진심의 자리로 들어갈 수 있음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5,800원
        27.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다종교시대 한국 현실에서 불교가 누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 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동아시아 대승불교권에서 한국불교의 거 울이 될 만한 대만불교와 일본불교를 언급하였다. 대만불교와 일본불교를 본격적으로 살피고자 한 것이라기보다 각각의 불교사회적 환경에서 장점으 로 부각되는 실천적 가치의 측면에 주목하였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불교의 실정에서 참고하여 쓸 수 있는 것으로 대만불교의 리더십과 일본불교의 혼 합주의(→혼합현상)를 거론하면서 우리의 현실대응에 대한 논의를 해 보았 다. 본격적으로 Ⅲ장에서 한국불교의 역사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에서 불교의 대응을 점검해 보았다. 한국불교의 내적 개선과 외적 결합이라는 항목으로 나누어 주로 한국의 주요 교단과 승려들을 중심으로 ‘바른불교’와 ‘생활불 교’를 위해 무엇을 해야는지를 짚어보았다. 바른불교를 위해 멀리는 「사찰 령」이나 「태고사법」을 통해 오늘날 종무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또한 생물학적 인간의 조건을 스님들의 ‘전통적’ 계율 우선주의식 한국불교가 과 연 현대에도 옳은지를 물어보았다. 이는 선(禪)과 선법(禪法) 중심의 불교 가 불자와 일반인들이 사는 도심으로 내려올 때, 비로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물음과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생활불교를 표방하면서 외적 결합으로 혼합주의를 넘어서 창조적 혼합현상에 주목할 것을 주장해 보았다. 혼합현상으로써의 생활불교는 큰 무엇이 아니라 우리 불자들의 마음을 구하는 일에서 시작된다고 보았다. 현대인들 모두에게 도사리고 있는 잠재적 위험인 불안은 외부로부터 온다. 이 불안을 부처님의 마당에서 극복할 수 있도록 공간과 장소를 내어주는 것이 생활불교의 첫걸음이라고 본 것이다. 그것은 혼자만의 마음치유가 아 니라 대중들과 함께 공공의 선을 실천하는 일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우 리가 그때에야 비로소 우리가 살아가는 지금의 문제를 해결하는 불교를 만 나게 되는 것이다.
        8,000원
        28.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1세기 한국 사회는 기존 형태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저출 산’ ‘고령화’로 인구가 줄어들고, ‘탈종교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세계 적인 경향으로 개신교와 가톨릭의 교세도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교인구 감소는 거역할 수 없는 흐름이 되었고, 종교의 미래는 불투 명하다. 한국불교는 신자와 출가자들이 줄어들고, 한국가톨릭도 비슷한 상황이다. 이제 종교는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한국불교도 내부에 서 우려와 함께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불교 신자가 감소하는 원인 가운데 하나는 그동안 사회적 역할을 소홀 히 했기 때문이다. 외부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지만, 불교 내부의 문제 의식이 부족하고,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포교 방식을 채택하지 못했 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직면한 상황은 불교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때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 교단 차원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을 수립해야 한 다. 1회성 구호나 보여주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엄밀하게 진단 하고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눠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 젊은 세대 포교와 더불어 노인 및 수도권 포교도 강화해야 한다. 이와 함께 종단과 사찰의 운영 방안의 변화도 깊게 고민해야 한다. 신심 깊고 종단 차원의 교육 받은 신자를 양성해 스님들을 보좌하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6,400원
        2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태종은 진씨 수나라 시기에 발원 되었고 법화종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는 데 중국의 최초의 본토화 된 불교 종파로서 중국 불교사 최초로 창설된 종파 이기도 하다. 천태종의 창설은 이미 1400여년의 시간이 흘렀는데 그 유구한 발전역사와 세밀하고 완정하게 갖추어진 종파체계로 인해 중국 불교학의 중 시를 받고 있다. 이는 중국 불교의 발전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여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도 한 자리 할 수 있는데 더우기 한국, 일본 등 동남 아시아 여러 나라에 널리 영향 주고 있다. 천태종은 사십여 대를 전해 내려 오면서 그 사상은 이미 사회의 전통문화와 융합되어 있고 사회의 여러 방면 에 심원한 영향과 실용가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시각 으로 천대종의 사상과 현대사회와의 상관성 및 그 영향과 작용을 살펴 보며 선행연구에 대한 연구의 방식으로 천태종의 발전역사와 그 사상체계에 대해 연구 및 논술을 진행하며 정성분석법을 응용하여 천태종의 사상이 현대사회 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가치 작용을 요약 및 귀납하려 한다.
        5,800원
        3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주류 종교는 중국 전통사상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중국 전통 문화 중의 일부분이기도 한다. 그 중에서 중국 가장 영향력이 큰 주류 종교 불교, 특히 중국 불교 중의 남종선(南宗禪)은 중국 전통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남종선은 6조혜능(六祖惠能) 이후 중국 선문 종 파의 총칭이자 선문의 정종(正宗)이다. 선종이 중국에 전해진 후부터 유가사 상과 도가현학 등 중국 본토의 전통사상을 흡수하고 중국 전통 사상문화에 대한 포용성이 강하므로 선종의 생명력이 매우 질기다. 수행 방식과 교의에 서 말하자면 남종선은 '명심견성(明心見性,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여 자기 의 본성을 발견하다)'이라는 돈오(頓悟) 수행 방식을 고취하면서 본성으로 자 족하(本性自足)고 사람마다 불성이 있는 것을 강조한다. 남종선은 중국 사회 민중의 종교적 신앙 요구에 더욱 적합하여 중국 민중들의 마음속에 대신할 수 없는 불교 대표적인 종파가 됐다. 오랜 역사 발전과 변천 속에서 남종선은 중국 전통문화, 사상과 함께 중국 민중의 '이화위귀(以和為貴, 화목을 으뜸으 로 생각하다)'의 성격 특징을 형성시키고, 또한 중국인 마음속의 '수성초연 (隨性超然, 편한대로 하는 초연)'한 독립적인 자아를 불러일으키고 중국 전통 사상 중의 단점을 보완시키며 중국 민중의 사상과 심미에 영향을 주고 중국 사회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남종선은 어느 정도 대중적 기반 을 가지고 있었지만, 현재 중국 사회에서 남종선은 그다지 중시되지 않았고 그 사상적 특징도 잘 발휘되지 못한다는 것은 중국 전통사상과 문화에 매우 불리하다는 것을 뜻한다. 중국 사회의 급속한 발전은 강력한 정신 신앙의 뒷 받침을 떠나서 살아날 수 없고 남종선은 그중에서 불가결한 정신력 중 하나 이다. 본 논문은 창의적으로 남종선을 중국 전통사상에 놓고 고찰하고 중국 사회 전통사상에서 남종선의 전파와 영향에 입각하여 남종선이 중국 전통사 상에서 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행문 헌 연구 방식을 통해 남종선의 이념 특색에 힘입어 중국 전통사상의 함의를 높이고, 남종선이 중국 신시대에서 급속히 발전할 경로를 모색하여 중국인의 정신문화생활에 더 잘 봉사할 수 있도록 연구할 것이다.
        5,500원
        3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국 만두문화의 기원이 되는 고려시기 만두문화의 전체상을 조망 하기 위한 고찰이다. 선행연구들은 고려말 충렬왕 시기 『쌍화점』의 ‘쌍화’를 한국 만두의 기원으로 간주해오고 있다. 그러나 고려사회는 ‘불교사찰의 채 식만두문화’와 ‘왕실과 민간사회의 육식만두문화’가 『쌍화점』의 ‘쌍화’ 이전 시기부터 고려사회에 정착하여 지속되어 오고 있었음을 밝힌다. 고려 불교채식만두는 13세기 초 수선사 2세인 진각국사 혜심의 『조계진각 국사어록』에 등장하는 불교채식만두인 ‘산함(餕餡)’과 이규보의 『동국이상국 집』에 언급된, 이규보가 평소 교류가 있었던 기선사(其禪師)로부터 받은 만 두류 음식인 ‘혼돈(餛飩)’을 통해 확인된다. 이 시기에 고려불교사찰은 아침 메뉴로 전통적인 죽과 더불어 만두류 음식인 혼돈을 식용하였을 것으로 생각 된다. 고려시대 육식만두의 전통은 국가행사인 연등회와 팔관회의 의례 속에 등 장하는 ‘쌍하(雙下)만두’와 고려가요 속에 언급된 『쌍화점』의 ‘쌍화만두’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쌍하’는 당시 동아시아 왕실과 사신접대에 등장하는 만두류 음식으로 낙타의 육봉을 속재료로 한 왕실연향에서 사용되는 ‘쌍하타 봉각자(雙下駝峰角子)’와 사신접대 등에 사용되는 타봉을 사용하지 않은 ‘쌍 화관장만두(雙下灌漿饅頭)’나 ‘쌍하각자(雙下角子)’등으로 구분된다. 『쌍화점』의 ‘쌍화만두’는 고려사회에 정착한 외국인인 회회인(回回人) 상 인이 팔던 만두로 양고기와 밀착된 그들의 음식문화와 고려사회에서 도축업 에 종사한 사실 등을 토대로 ‘양고기만두’였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위의 고찰로 미루어 볼 때 고려시대 한국 만두의 기원은 『쌍화점』의 ‘쌍 화’에서 시작되었다기보다는 아마도 북송과 맞물리는 시기에 불교사찰의 채 식만두문화와 왕실과 민간의 육식만두문화가 이미 존재하였을 것으로 생각 된다.
        9,900원
        3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륙재의문과 청규에 나타난 만두와 국수에 대한 인식변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처음에는 만두와 국수가 수륙재를 통해서 식료에서 만들어 지는 중요한 음식이었다. 시간이 흐르며, 중국불교와 달리 한국불교에서 만 두는 세시의례음식으로 변화되었다. 반면, 국수는 불교의례음식으로 남았지 만, 세면(洗麵)에서 세면(細麪)으로 바뀌었다. 처음에는 습면의 형태를 취했 다고 생각되나 가는 국수로 바뀌었다. 육색장은 중국과 다른 한국불교 음식문화의 특징이다. 처음에는 6가지 음 식의 특징을 살려서 설치되었으나 점점 경계가 허물어진다. 결국 조선 말에 이르러서는 색장방이란 이름 만 남는다. 그리고 음식 전체를 아우르는 일반 적인 명사로 쓰이게 된다. 음식의 조리법과 종류에 따라 소임이 늘어나는 경 향을 보인다. 결국 만두는 민가의 세시의례음식으로 변화되고, 국수는 불교의례 속에 남아 있게 된다. 현재 시식(施食)에서 제일 먼저 국수를 올리는 의식(儀式)을 가리킨다. 이것이 한국 불교문헌에 보이는 만두(饅頭)와 국수[洗麵]에 대한 의식(意識)변화라고 생각한다.
        6,900원
        3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사회에서 출가한 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목탁을 들고 소리 내어 염불 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출가한 스님들에게 있어 염불은 자의든 타의든 당연 히 거쳐야 하는 수행의 과정으로 받아들여져 누구나 배우고 익히는 추세다. 현재의 염불 교육은 스승의 소리를 듣고 따라하기를 반복하며 익히는 것에 중심을 두고 성별을 떠나 같은 음높이에 같은 음색을 내도록 유도하는 게 핵심이다. 하지만 스승의 소리를 무작정 따라하기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스승의 소리와 음높이가 차이 나거나 성별이 다를 경우, 이를 극복하는 과정 이 쉽지 않다. 어느덧 염불을 배우고자 했던 초심은 사라지고 중도에 포기하 려는 마음이 일어나기 마련이다. 100명이 입문해 1~2명이 성취한다는 염불 은 그 자체가 어렵게만 느껴진다. 그러나 염불을 배우고자 했던 신심 어린 입문자는 불교 염불을 전승하는 소중한 인재가 분명하다. 그들이 중도에 포 기하는 건 본인의 의지에 따른 게 맞지만, 전승 과정의 교육체계에도 보완할 점이 분명히 있다고 여긴다. 스스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이루지 못해 포기하 는 경우가 대다수임을 고려할 때 초심을 유지하며 더 쉽게 염불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방편을 제시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선 염불에 입문 한 자에게 있어 꼭 기억해야 할 호흡과 발성을 30여 년 경험치를 담아 전하고 자 한다.
        6,100원
        34.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초의가 집필한 『동다송』을 사상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한 논문이 다. 우리나라에는 차에 관한 서적이 차문화 역사에 비해 그 분량이 적다. 그 중에서도 중요한 서적이 조선시대 초의가 저술한 다서(茶書) 『동다송』은 아 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 차문화는 승려들이 주도 세력이었으며, 차문화의 형성과 발달에도 이들의 역할이 큰 영향을 미쳤다. 승려들은 마음 을 고요히 지니게 하여 正見을 갖게 되는 데 도움이 되는 차의 효능을 잘 알고 있었다. 특히 이러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차는 선승들의 좌선 시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음료가 되었다. 차와 수행, 다도를 한차원 높게 끌어 올리고 정립한 인물이 초의다. 초 의는 시, 서, 화에 능할 뿐만 아니라 차에 대해서는 ‘전다박사’, 그리고 선사 로서 선교융합(禪敎融合)을 중시하고 선의 생활화라는 새롭고 적극적인 선 풍을 드러냈다. 초의의 선교관은 휴정의 선교일치를 따르는 한편, 조사선과 여래선으로 연결 지으면서 거기에는 우열이 없다는 견해를 보였다. 『동다 송』은 우리나라 다서로서 중요한 저술이다. 초의 나이 52세에 차에 대해 물 어 온 해거 홍현주(1793~1865)의 부탁을 받고 저술하였다. 『동다송』을 이해 하는데 있어서는 선과 교의 융화적 시각, 내전과 외전의 융화 그리고 수많은 관계 속에서도 기울지 않는 초의의 입장을 알아야 한다. 제자 소치 허유가 기록하고 있는 내용을 통해 초의의 다선관을 알 수 있다. 초의는 차를 마시다가 흥얼흥얼 시를 읊조리기도 하고 때로는 깊은 선 정(禪定)에 들기도 했다. 선사의 청고하고 담적한 차 생활은 참으로 쉽고 편 안하다고 표현 할 수 있다. 초의는 차를 통해 자연과 하나되는 물아일체(物我 一體)가 되었으며, ‘차를 반쯤 마시다 문득 일어나 뜰을 거닐면서’에서는 다 선삼매(茶禪三昧)의 선열(禪悅)을 느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7,700원
        35.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삼마제 수행의 근간이 되는 이결정의(二決定義)와 수행 의 방편으로써 제시되는 육근수행을 통해 번뇌의 원인이자 원통의 통로로서 의 육근의 공덕과 작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번뇌의 해결과정인 육해 일망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초발심의 두 가지 결정의는 삼마제 수행의 필수 근간이 되는 지침의 역할을 한다. 세존이 설하신 두 가지 결정의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인지(因地)의 발심이 과지(果地)의 깨달음[覺]과 같아야 한다. 인지가 과지와 일치하려면 환망한 생멸심을 버려야 하므로 오탁이 설명되어 야 한다. 둘째, 번뇌의 근본과 그 발업윤생(發業輪生)의 원인을 깨달아야 한 다. 번뇌의 근본과 그 발업윤생함이 육식과 육근에 기인함을 깨닫고 바로 그 육근을 통해 번뇌를 풀어야 함을 말한다. 능엄경에서 이러한 삼마제의 방 편으로서 원통근을 통한 수행을 제시한 이유는 육근이 바로 번뇌의 원인이자 깨달음의 통로[解結同體]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세존의 삼마제 법문 가운데 가장 먼저 설법한 초발심의 두 가지 결정의의 내용으로 본다면 오탁에 의한 생멸심이 중생의 번뇌를 필연적으로 야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중생의 번뇌는 육근과 육진의 전도로 인하여 발생함을 깨닫고 번뇌의 원인인 육근을 통해 번뇌를 벗어나야만 불성으로서의 여래장 묘진여성에 이를 수 있게 된 다.
        5,700원
        36.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불교의 전통전인 二諦와 천태종의 三諦가 논리상 서로 相違하는 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것은 동시에 인도불교와 중국불교가 설로 상위하는가 하는 매우 오래되고 모호하고 흥미롭고 또 새로운 문제의식 에 대한 답변 중 일부가 될 것이다. 천태종의 중국 최초의 중국 불교 종파라 할 수 있으며, 三諦는 천태종의 핵심교리일 뿐 아니라 二諦와 三諦는 언뜻 보기에 서로 양립하기 어려울 듯이 보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二諦說과 三諦說을 간략하게 살펴보았 고, 다시 三諦說이 『中論』의 二諦說과 상위하는지 그리고 阿含의 사상과 위 배되는지 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二諦와 三諦는 모두 방편교설로서의 표현은 다르지만 對境은 동일하다. 즉 三諦는 二諦와 相違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6,400원
        37.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오대산 상원사의 문수전에는 문수동자상과 문수보살상이 모셔 져 있다. 문수동자상은 1466년에 조성된 불상이며 1984년에 복장유물이 발 견되었는데 그 가운데 조선 초기의 저고리인 명주 적삼과 무문사 적삼이 포 함되어 있다. 복장유물들은 일괄 보물 제793호로 지정되었는데 저고리의 문 화재명칭은 ‘명주 적삼’과 ‘생명주 적삼’이었다. 그러나 생명주 적삼의 소재 는 무문사이므로 명칭 변경이 필요하다. 1973년 문수보살상을 개금하는 과정에서 회장저고리 한 점이 발견되었 으며, 이 저고리는 1987년에 ‘세조대의 회장저고리’라는 문화재 명칭으로 중 요민속자료 제219호로 지정되었다. 문수보살상은 1661년에 조성되었는데 불상안에서 발견된 회장저고리는 조선 초기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저고리 의 원복장 불상은 문수보살상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문수동자상의 의숙공 주 발원문에 의하면 1466년에 8구의 불보살상(佛菩薩像)과 나한상 등을 조 성하여 문수사에 봉안했다는 내용이 있어 당시 조성되었던 다른 불상의 복장 물이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리고 회장저고리가 조선 초기의 저고 리이기는 하나 세조와의 관계가 확실한 것은 아니므로 ‘세조대의 회장저고 리’보다는 ‘회장저고리’로 변경하는 것이 합당하며 출처에 대한 보충 설명 또한 필요하다고 본다.
        6,600원
        38.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五臺山)은 신라시대 자장스님에 의해 중국 오대산으로터 문수신앙 이 도입되어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수신앙의 성지가 되어 왔다. 그 중심에 상원사가 있다. 상원사에는 1466년 조선왕실이 발원한 동자 문수 보살상과 1661년에 의천스님이 발원, 조성한 문수보살상이 나란히 안치되어 있다. 1661년 조성된 문수보살상은 진여원의 세 번째 중창된 만들어진 상원 사의 본존불이다. 이 불상이 조성되기 전 이미 상원사에는 동자 문수보살상 과 노(老) 문수보살이 전하고 있었다. 동자 문수보살은 왕실에서 조성한 것이 기 때문에 지금과 달리 특별히 마련된 원당에 봉안되어 있었을 것이고 노 문수보살상은 상원사의 원래 본존으로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 문수보살상이 1599년에서 1661년 사이 인근 보현사로 이안되면서, 새로운 문수보살상이 의천스님에 의해 계획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의 문수보살상이 바로 그 문수보살로 추정된다. 보살상의 제작에는 임진왜란 이후 팔도도총섭 체제로 개편되는 불교의 시스템과 관련이 깊다. 팔도도총섭은 전란으로 피해 를 입은 사찰을 복구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승려장인들을 육성하였고, 이 보 살상을 제작한 승려 역시 도총섭 체제하에서 육성된 승려장인들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1661년에 제작된 문수보살상은 如意를 지물로 취하고 있다. 조선시대 이 전 如意는 주로 보현보살의 지물로 등장하지만, 차츰 문수보살상의 지물로도 사용되다 17세기 이후에는 완전히 문수보살의 지물로 채택되고 있다. 따라 서 상원사 문수보살상의 여의는 조선 후기 조각승들이 인식했던 문수보살의 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보살상을 제작한 사람은 신겸과 회감인데, 신겸은 이 시기 대표적인 불화승이고 회감은 조각승이다. 불화승과 조각승의 공조로 불사가 진행되고 있어 당시 불사의 특징을 이해하 는 데 유익한 정보를 담고 있다.
        9,800원
        39.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 상원사 영산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가삼존과 16나한상은 재질이 소조와 목조로 나뉜다. 소조상은 1711년 이전에 제작된 상으로, 조선전기로 올라가 는 양식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소조상들은 조성시에는 흙으로 성형한 후에 그 위에 채색하여 제작하였으 며, 보존처리를 통해 본래의 모습이 회복되면 조성연대를 확실하게 알 수 있 을 것이다. 소조상은 상체가 길고 무릎이 낮은 신체비례로 영주 흑석사 아미타불상 (1452년)이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천주사 아미타불상(1482년) 등 조선전기 불상과 유사하며, 갸름한 얼굴과 긴 코, 작은 입의 표현에서 조선전기 불상 양식을 공유하고 있다. 소조상의 착의법은 여래상과 비슷한 착의법을 하였다. 가슴이 크게 벌어 지게 표현된 점, 오른쪽 어깨에 반달형으로 걸치면서 왼쪽 어깨로 넘긴 자락 이 유려하게 흐르는 듯한 옷주름을 만든 것과, 무릎 아래에서 발목으로 모아 지는 옷주름, 특히 제석천상에서 보이는 영락 장식 등이 조선전기 불상 양식 과 상통하므로, 착의법을 통해서도 이 소조상이 조선전기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6,600원
        40.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 도상의 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제석천이 나한전에 봉안된 기원을 간다라 ‘제석 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석천이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석굴암 주실(主 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태안사 적인선사 승탑 등에 범천과 쌍으로 표현되 었다. 고려시대에는 제석천 단독으로 등장하며 왕의 모습과 보살 도상이 융합 된 형태로 조각 및 회화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천 도상은 조선 시대에도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제석천은 상원사 문수전 제석천상처럼 왕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단독으로 제석전(帝釋殿)에 봉안되었거나 석가삼존 및 16나한과 함께 영산전 [나한전]에 모셔졌다. 이 공간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 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독존으로 안치되다가 후기에는 좌우 2위로 봉안되었다. ‘제석굴 설법’의 장소인 제석굴은 석가여래께서 법화경을 설 한 영축산 근처에 있고, 간다라의 모하메드 나리(Mohamed Nari)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대승설법 장면에도 제석굴 설법으로 해석되는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영산전[나한전]에 제석천이 봉안된 것은, 제석천이 석가여래께 법을 청한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의 영향으로 추론 하였다.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에 조성되었고, 영산전 소조제 석천상은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16나한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 다.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상원사 창건과 관련된 보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보천이 신성굴에서 수행한 에피소드 또한 석가여래가 제석천에게 설법한 장소 인 제석굴과 상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 된 제석천상은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10,1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