卜辭에서 冓는 ①만나다[遇], ②祭名, ③人名, ④方國의 이름 등의 뜻으로 사용되었고, 再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무슨 뜻으로 썼는지 판명되지 않았으며, 爯은 ①祭名으로 祭物을 단에 올 라 헌상하는 뜻, ②爯冊(칭책, 왕명을 받아 그 영을 전달하는 것), 제사를 지냄에 있어 천거하 여 령을 전하는 의식, ③인명으로 사용되었다. 이런 갑골문 문장을 보면, 제사나 사람, 사람이 사는 곳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冓의 자형이 화톳불 형식으로 제사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제사 뜻을 갖는다. 再는 冓의 아랫부분과 상하에 횡으로 그은 한 획[一]을 더하 여 만들어진 글자다. 爯 행위를 하면서 사람이 다소곳이 앉아 봉례 하는 모양이 偁으 로 서로 통하기 때문에 제사를 봉행하는 행위를 나타낸다고 풀이된다. 冓와 爯, 再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모두 제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고 하 겠다.
『漢鮮文新玉篇』은 고종의 칙령으로 새로운 문자 생활이 시작되면서 시대 상황에 맞는 자 전 편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던 시기에 玄公廉이 편찬한 자전이다. 『漢鮮文新玉篇』의 한문 주석에 ‘【朝】’, ‘【日】’, ‘【華】’등의 표시가 있는 자형이 수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표시된 ‘【朝】’, ‘【日】’, ‘【華】’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朝】는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 및 한자어,【日】은 일본에서 통용되는 한자 및 한자어,【華】는 중국에서 통용되는 한 자 및 한자어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漢鮮文新玉篇』에 나타나는【朝】를 중심으로 한국 고유 한자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漢鮮文新玉篇』에는 55자, 극히 소수의 한국 고유한자 가 출현하였지만 『漢鮮文新玉篇』을 포함한 여타 다른 자료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우리 고유한 자에는 우리의 생활방식이나 국가의 제도문화, 사유방식 등 상당히 풍부한 문화적 의미가 내 포되어 있다. 이러한 우리의 고유한자가 현 국어생활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아서 홀시되고 점 차 사라져가는 경향이고 이미 소실된 것도 상당수다. 그러나 우리 고유한자의 연구는 한국에 서의 한자 사용의 역사적 과정을 밝혀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고유의 문화적 정서를 찾 는 하나의 실마리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고유한자의 발굴은 물론 그 하나하나에 대하여 학문적 구명은 반드시 필요한 일일 것이다.
Taboo character is typical phenomenon of Chinese characters system, it is considered as the effective key in decrypting the date of Han-Nom texts inscirption texts. Such key is maintained clearly on the ancient books add steles of Vietnam, specially Taboo characters system in the insription texts of Tran Dynasty (1225-1400). Based on research results, we have found a new form of Taboo character previously published in studies in Vietnam Taboo characters. Such new characters forms have helped us easily discover in cription texts at the date of Tran dynasty in Ninh Binh. This is the useful and reliable source for researching of Vietnam Taboo characters in particular and ancient books of Vietnam in general.
This paper studies the mountain place name characters of the "Shuo wen jie zi", including eleven ancient Chinese characters: "Nao(峱), Yi(嶧), Yu(嵎), Yi(嶷), Min( ), Ji( ), Jie(巀), Xue(嶭), Hua(華), Guo(崞), Yang(崵)". Those characters are all from the same radical of the "San"—mean about mountain on "Shuo wen jie zi", and neighbor in the "San" radical. Mountain place name characters in "Shuo wen jie zi", the character structure all added a radical "San", making it become a synthetic character. However, ancient Chinese geographical literature, the mountain place name not necessarily have the radical "San". Therefor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mountain place name characters of the "Shuo wen jie zi", research on structural principle related and the use cases on ancient literatures.
The New Dictionary of Korea, which is a modern dictionary, was influenced by The Kangxi Dictionary. In this paper, we chose 42 Chinese characters from The New Dictionary which includes “wrong folk characters” and “non-folk characters” in their paraphrase.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in The Kangxi Dictionary, there are 21 characters which include “wrong folk characters” and “non-folk characters” in their paraphrase and 19 characters which are not marked in interpretation. And there are 3 characters did not appear in The Kangxi Dictionary. By arranging the “wrong folk characters” and “non-folk characters” in the New Dictionary, we explore the origin and analysis of its causes. It is beneficial for learning compiling modes of Korean Chinese dictionaries and the inheritance and variation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propagation process in other countries.
The variants of references in dictionary reflect many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 regions and era. These variants are also the key points to the research of characters’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This paper based on the Access of xinzidian, reorganized all the references to Liji, and then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s and Liji. As a result, we found 100 variants, and summarized them as five types. Then on this basis, we attempt to discuss the features and laws of Korea’s characters.
Yang Shen (1488-1559) was born in Si Chuan Xin Dou. 《Ming Shi》 said that Yang Shen is the most famous for the extensive memorization and abundant writings. Yang Shen also contributed to the philology researches. According to Wang Wen Cai’s 《Yang Shen Xue Pu》, Yang Shen had many kinds of writings, such as 《Shuo Wen Xian Xun》, 《Liu Shu Lian Zheng》, 《Liu Shu Bo Zheng》 etc., but most of them are disappeared. 《Liu Shu Suo Yin》was thought that it’s disappeared, it can be found in the library of RENMIN UNIVERSITY of CHINA. It was included in 《Si Ku Quan Shu Cun Mu Cong Shu》. From Yang Shen’s 《Liu Shu Suo Yin-Introduction》, we knows that Yang Shen was based on abundant philology researches to appear his research system. Yang Shen had different academic judgements for each text researchers’s theories to appear Yang Shen’s conceptions of “Zhuan Zhu Gu Yin”. 《Qin Ding Si Ku Quan Shu Zong Mu》 was based on the the text textual content to comment Yang Shen’s 《Liu Shu Suo Yin》 negative. We can discuss the comment is appropriate or not? 《Liu Shu Suo Yin》 is distinguished into rhyme, so it had its own system. These researches are related to Yang Shen’s other research works in Xiao Xue. In philology researches, we can investigate Yang Shen’s contribution to philology researches with 《Liu Shu Suo Yin》 to clarify and analyze.
Chinese characters is a cultural phenomenon, so the first thing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its cultural background. If you want to comprehensive investigation the Chinese characters, will study the following five topics: one is the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inese characters and culture, the three Chinese characters and nature, the four Chinese characters and economy, five Chinese characters and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an Chinese, cultural system, cultural ecology, research Chinese characters mainly has two aspects: One is to study the specific Chinese characters; Two is to study some theoretical issues of Chinese characters, such as the nature of Chinese character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so on.
The Assisted evidence of Shuo Wen Jie Zi(《說文解字翼徵》)was written by Piao Xuan Shou who is a famous scholar in Joseon Dynasty. This is South Korea's only remaining book that The author was first use of Chinese bronze inscriptions, Seal characters and drum-stone inscriptions to research Shuo Wen(《說文》). By this way, The author want to correct the mistake of Shuo Wen. So it is stand for that the philology researching reached new heights. However, there are still quite a few defects and shortcomings in the book, like follow blindly view of Xu Shen and wrong to knew Chinese bronze inscriptions. For the Chinese scholars, this book have some effects like “Stones from other hills may serve to polish the jade of this one”. As an example with 12 characters from Bronze inscriptions of Yu Tripod (《大盂鼎銘文》) that it had quoted in this book, and the current Academic research Can be checked with the view of correction Shuo Wen. So that this book can be evaluated and inherited.
‘중·일 1972년 체제’는 1970년대에 가동되었으며 1980년대 장족 한 발전을 이루었으나 1990 년대 ‘중국위협론’의 영향으로 ‘1972년 체제’의 전략적 토대가 동요되었다. 중국과 일본 관계 는 ‘배회기’, ‘냉각지’, ‘조정기’를 겪어 현재 ‘대항기’적 태세를 나타내고 있다. 양국은 1990년 대 중반부터 불편한 국면에 직면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교합집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기 우렸다. 21세기 초 반 중국의 불가역적인 성장과 일본의 장기침체 등 요인의 영향으로 역시 인식문제, 영유권 문제, 타이완 문제 등 이른바 양국관계 발전에서의 갈등 요소가 불거지게 되었다. 따라서 양국관계는 ‘협력 중의 경쟁 관계’에서 ‘경쟁 중의 협력 관계’로 전환하였다. 지구적인 측면에서 중·미관계가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라면 지역적인 측면에서 중·일 관계가 그렇다. 중·일 관계의 선순환적 발전을 위하여 원칙적으로는 양국 간의 정치적 신뢰의 회복 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중국과 일본 관계는 국제적 .국내적 환경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변 화할 것이다. 따라서 양국 정부는 인적교류를 촉진시켜 중국과 일본 국민간의 감정이 ‘밀이불 친(密而不親): 교류가 빈번하지만 호감도가 낮다’의 상태에서 ‘기밀유친(旣密又親): 긴밀한 교 류 속에서 이루어진 진정한 친화감)’의 태세로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연구는 ‘상무위원은 처벌하지 않는다(刑不上常委)’는 중국정치의 잠재된 관례를 파기하 고 사법과 공안 분야의 막강한 대항력을 갖춘 저우융캉을 어떻게 처벌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됐다. 그간 중국 지도부가 상징적으로 중앙위원급 고위관료 처벌을 감행했지만, 중국정치의 핵심 행위자(actor) 역할을 하는 상무위원(常務委員)을 처벌 대상에 포함하지 않 았다. 이들의 조사 과정에서 강력한 대항력과 정치적 비용(political cost), 그리고 공산당의 통치력 약화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진핑은 출범 후 제창했던 의법치국(依法 治國)의 국정기조 상충을 무릅쓰고 사법기관보다 당 차원의 중앙기율위를 이용해 저우융캉 처벌에 매진했다. 그 결과 중앙기율위는 저우융캉 계파의 부패망을 역이용해 주변에서 중심 으로 그의 부패 대리인을 조사하며 옥좼으며, 종국에는 원로들의 동의를 얻어 저우융캉을 처 벌할 수 있었다.
2015년 12월20일 한중 FTA가 발효되면서 10조원의 중국시장 선점과 약 10년간 0.96%의 경제성장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정부 발표가 있었다. 또한 한중 FTA의 2015년 연 내 발효에 따라 2016년부터 바로 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발표되어 한국경제의 새로운 국면 을 기대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경제의 성장둔화, 초저유가와 맞물려 2016년 1월 대 중국 한 국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21.5% 감소하여 2008년 세계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지 중국의 성장둔화와 저유가만의 문제는 아니며 한중 무역구조 변화 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중양국의 무역구조를 판단할 수 있는 무역결합도를 측정한 결과 한중무역은 결합도가 점차 감소하여 상호경쟁적인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변화가 양국무역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무역결합도를 활용한 한중 FTA 양허안 분석은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현상 전반에 등장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의사교류를 방해하는 노이즈를 주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채널(미디어)을 매개로 하여 나타나는 노이즈는 발신자의 원래 메시지를 변형시켜 수신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한중 양국의 국민들이 정보를 주로 접하는 인터넷 기사에 나타난 노이즈 현상을 살펴보았다. ‘북핵 6자회담’ 문제에 관련된 중국 인터넷 기사를 찾아내어 이 중 한국의 신문보도를 출처(정보원)로 하고 있는 중국기사를 선별하고, 실제 어떠한 유형의 노이즈가 발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 미디어의 개입에 이어 또 다시 중국 미디어의 개입으로 인해 원래의 메시지는 더욱 왜곡, 변형 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한국기사를 출처로 한 중국기사 안에 적지 않은 노이즈가 발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국기사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사제목’은 물론 ‘기사내용’, ‘기사형식’을 달리하여 기존 한국기사의 내용을 변형시키고 있었다. 한국기사의 단어 및 문장을 수정, 삭제 그리고 새 로운 내용 추가 등을 통해 기사내용을 변형시키고 있었고, 기사작성 방식 및 기사배치 등을 수정하여 관련 기사형식을 변형시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제목변형에서 기사내용을 근거로 원본 기사제목에 일부 내용을 추가하는 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이 밖에도 기사제목의 어감 바꾸기, 몇 단어 추가/삭제 등을 통해 그 의미를 달리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다. 둘째 내용변형에서는 관련내용 삭제, 특정단어 강조, 글 형태 바꿈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기사의 기사내용 중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에 대한 삭제가 가장 많았으며, 특정 단어만을 강조하거나 평서체를 대화체로 바꾸는 형태변화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형식변형은 제목변형 만큼이나 많이 등장하는 변 형형태였는데, 사진 추가/삭제/변경 혹은 문단 추가/나눔 등을 통해 기사구조를 달리하고 있었다. 사진과 문단의 경우 기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전체의 기사구조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는 100여 년 전에 일본으로 유입되어 정착하고 있는 화교·화인의 민족정체성을 분 석하기 위해 요코하마와 고베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연 구결과 화교·화인은 능통하게 중국어를 구사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도 중국어를 빈도 높 게 사용하고 있다. 그들은 춘절, 중추절 등 전통명절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으며, 민족공동체 에 강한 소속감을 표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일본 화교·화인은 현지사회에 완전히 동화된 것 이 아니라, 그들만의 민족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화교·화인의 이러한 민족정체성은 민족공 동체 내부의 노력과 의지에 의해 조성되었다. 그들은 화교학교를 설립해 민족교육을 강화하 였으며, 차이나타운에서 축제문화를 형성함으로써 민족정체성을 고양시켰다. 또한 화교협회를 비롯한 단체를 운영함으로써 정보를 공유하고 유대를 강화하고 있다. 이렇듯 화교·화인은 민 족교육, 문화축제, 화교단체를 중심으로 그들만의 민족공동체를 형성하고, 정체성을 확립시키 고 있다.
Recently, China's economy has entered a state of rapid growth from high growth to the growth of the so-called “The New Normal". In such a situatio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as become the key of project The Chinese Dream. The cultural construction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s really the key areas.
According to this judgment that we say: "The Belt and Road"Initiative contains several important cultural significance. Its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On the one hand, "The Belt and Road"Initiativeis not only the main spirit inheritance policies of socialist culture in contemporary Chinese, and The Chinese Dream future cultural policy to realize the plan. Secon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is an important measure to spread China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create a good national image. Third, "The Belt and Road"Initiativein the construction of "people connected" is to expand cultural exchanges and strengthen people-to-people exchangesas the key target practice. Four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of advocacy and practice means to seek spiritual world through trade exchange settlement. This is to achieve the unity of the world "the Chinese Confucian philosophy, advocated "multicultural coexistence", "harmonious but different" pattern of world civilization.
In a wor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is not only an economic strategy, but more important is to promote along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people all over the country. Chinese government is convinced that only relying on the profound Chinese culture,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finally realize the harmonious and win-win old world.
This study aims to arouse the people clearly to the differences of Danoje Festival in Korea from Danoje Festival in China for which it was designated as a world heritag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verview of the contents of Danoje Festival in Korea and China, and the differences of Danoje Festival in Korea from that in Chin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rigin/purpose of Danoje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Danoje Festival in Korea is a kind of harvest ceremony celebrating the creation of life and praying for safety by the Yin-Yang harmony through sacred marriage of Cheonbusin (Heavenly father god) with Jimosin (Earth mother goddess) (or Sumosin (Water Mother Goddess)) in the myths of Dangun, Jumong, Park Hyeokgeose and Kim Su-ro. Yongseon (Dragon ship) game of Danoje Festival in China is a prayer for the safety of Qu Yuan’s corpse or a Yongmuje event for calming the appearance Sea god (God of water) by the battle under the water.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Danoje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In Danoje Festival in Korea, primarily, Summer Solstice Festival or May Festival was combined with secondary god of nature and thirdly, it was replaced by human gods, Gongeophyeong (General Han and His Sister, State Master Beomil and Kim Yu-Sin). In Danoje Festival in China, first, the summer solstice system was combined with the sea god festival, and second, the sea god was replaced by a human god in a kind of revengeful spirit (Qu Yua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the succession of Danoje Festival between Korea and China. Danoje Festival in Korea focuses on the rites, so entertaining group play Hwaetbul Nori (Torch play), Seokjeon (Mock fight with stone missiles) or horse race were included as part of Danoje Festival. Danoje Festival in China focuses on the games/plays instead of the rites, so ritualistic elements are diminished. In other words, Korea focuses on the rites while China focuses on games.
Although Danoje Festival in Korea and China was developed in similar religious activities because of the regional background of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industrial background of agriculture, it was found that Danoje Festival in Korea had different cultural styles with that in China, in terms of the origin/purpose an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and succession.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are most important parts of cultural heritages. In this sense,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broad mind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country’s culture, rather than establishing the rights and wrongs based on the similarity of name or origin.
본고에서는 중화권 여우커를 위한 한국관광지 스토리텔링에 대하여 살펴보므로, 이 방면 연구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특정 관광지를 스토리텔링 하는 것은 더없이 좋은 관광안내인 것은 틀림없지만, 지나치게 허구적이고 흥미 위주의 스토리텔링은 관광객의 마음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중해야 한다. 중국인의 습성 상 좋아하는 스토리텔링을 만들어내는 것도 좋지만, 보다 ‘한국적인 것’을 살려 스토리텔링을 담아 관광지를 개발하고, 중국 여우커 의 마음으로 다가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1908년에 출판된 『국한문신옥편』은 『전운옥편』을 저본으로 하여 한글 뜻풀이를 첨가하고 음운을 정리한 최초의 근대적 성격을 지닌 자전이다. 『전운옥편』과 약 100년의 시간적 차이 가 있는 『국한문신옥편』은 편자의 의도에 의해 일부 한자음에 대해 수정을 가하였다. 본 논 문은 『국한문신옥편』의 수정 한자음을 대상으로 그 유형과 성격을 『화동정음』,『전운옥편』 등과 비교 분석하여, 『국한문신옥편』 한자음의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字典史上의 가치를 조명 하고자 한다.
허신의 『설문해자』는 중국 언어학사에 있어서, 자형을 분석하고, 자의를 밝히고, 자음을 표 명한 최초의 자전이다. 지금까지 학자들에게 가장 영향력이 있는 고전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이유 중에는 부수법의 창안이라는 업적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자형분류법 에 의한 ‘214부수법’은 허신의 자의분류법에 의한 부수법과 구분된다. 자형의 변화와 검자의 편리성 도모라는 현실적인 원인이 있다. 그와 함께 부수 본연의 의미에서 벗어난 모순도 함 께 지니고 있다. ‘214부수법’의 모순을 극복하고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수 본연의 목적에 충실했던 허신의 ‘540부수법’에서 사라진 부수들의 귀속를 추적, 분 석하고자 한다. 허신의 540부수 가운데 『신화자전』을 기준으로 소실된 부수자의 수는 333개 이다.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첫걸음으로 본고에서는 귀속자를 가지지 못한 36개의 부수(‘문일부수’)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 변화와 귀속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대안을 위한 원칙을 세워나가고자 한다.
We study on the overall situation about Characters and words from south Asian first Chinese daily "Lebao(叻报)" with sampling survey on some whole copies and some part of the newspaper. We conclude the none-general characters is 343,which includes 1 southern dialect character, 49 sets variants,8 sets old and new Character Patterns,8 special ones,1 set ancient and modern Chinese character, 287 traditional-simplified-relation characters. We also find 3 recombination characters. Generation modes of Words from “Lebao(叻报)" are inheriting ,borrowing and special using. The relevant data can serve the Chinese monitoring and the diachronic development study with the help of attention to the foreign languag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