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rn of fine particle (PM2.5) management of outdoor environments has been increasing due to its exposure and related health effects in Korea. As a result, PM2.5 standard in atmosphere environment was regulated in 2015. On the other hand, indoor PM2.5 standard has been required because most people spent their times in indoor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PM2.5 and PM10 concentrations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of public-use facilities such as underground stations, underground shopping centers, and nurseries for 24 hour with filter-weighing method in Seoul and Daegu. Measurement duration was from March to April in 2014 during the Asian dust period. At all measurements, indoor to outdoor (I/O) concentration ratios exceeded 1 except 1 day nursery in Daegu in spite of Asian dust period. The ratios of PM2.5 to PM10 concentrations ranged from 0.63 to 0.75 in indoor environments, and from 0.63 to 0.82 in outdoor, indicating that PM2.5 should be carefully managed in indoor environments as well as outdoor atmosphere.
부동산 중개계약에 관하여 우리 민법은 전형계약으로 규정하지 않고, 부동산중개사법에 의해 부동산의 거래 시의 중개계약이나 보수청구권에 관하여 규율하고 있다. 독일에서처럼 우리나라에도 부동산중개 뿐만 아 니라 혼인중개, 직업중개 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중개계약에 적용되는 중개계약에 관한 규정을 두기로 하는 2013년 민법개정안이 성립되어 개 정과정에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부동산계약이나 보수청구권에 관하여는 민법의 관련규정의 해석이나 부동산중개사법의 규정의 해석을 통해서 적 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검토한 결과 부동산 중개계약의 법적 성질은 중개계 약이 체결되더라도 중개인은 부동산거래계약을 성립시킬 의무가 없고, 부동산거래계약이 성립하여야 보수청구권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도급계약 과 위임계약의 혼합계약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부동산 중개계약 은 중개의뢰인과 중개인의 급부가 상호 의존적인 계약이라는 점에서 쌍 무계약으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독일에서는 쌍방적 중개를 금지하는 명 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명문으로 금지하지 않으 므로 쌍방적 중개는 허용되지만 중개인은 엄격한 중립의무를 부담한다고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부동산중개계약은 일반중개계약이 대부분이지만 특정 의 중개인과 전속중개계약을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중개 인은 중개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더욱 충실하게 중개활동을 수행하 여야 하며 중개의뢰인은 다른 중개인에게 중개를 의뢰하거나 직접거래를 하면 원래의 상당액의 중개보수를 지급하여야 하는 의무를 부담한다. 아 울러 일체의 다른 중개인에 대한 중개의뢰를 금지하는 독점적 중개계약 을 체결하거나, 일정액의 희망가격을 초과하는 거래액을 중개보수로 인 정하는 순가 중개계약도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 중개인이 중개의뢰를 한 후 희망하는 부동산거래계약이 성립될 단계에 이르자 부동산 중개보수를 면할 목적으로 중개계약을 해제하고 중개인이 소개한 상대방과 직접거래하는 경우에는 중개인에게 어떠한 법적 근거로 보수를 청구할 수 있는지 논의된다. 이에 관하여 검토한 결과 상당인과 관계설에 의하여 해결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본다. 그리고 법정의 중개보수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금지하는 부동산중개사법의 규정을 강행 법규로 보아 그 私法上의 效力을 부동해야 한다. 그러나 중개보수약정 전체가 무효로 되는 것이 아니라 초과하는 중개보수만 무효가 된다고 보 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최근 일련의 개인정보보호법령의 강화는 불가피하게 정부의 활동, 특 히 정보수집을 핵심 기능으로 하는 정보기관에 의한 사이버안보 활동에 제약을 가하게 된다. 결국 개인정보보호를 통한 개인의 권리의 보장과 국가안보를 위한 사이버안보활동의 보장이라는 두 가지 법익의 충돌을 적절히 조화할 필요가 생겨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 는 과거 및 현행 개인정보보호법령에서 사이버안보 활동에 대하여 어떻 게 규율하고 있는가를 살펴본 후 주요 국가에서는 어떻게 이를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법적으로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개인정보보호법 령의 규율태도를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개인정보보호와 사 이버안보는 서로 긴장관계에 있으면서도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사이버 안보를 꾀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가피하지만, 개인정보보호 를 함으로써 사이버안보도 도모할 수 있으며, 사이버안보가 확보되면 개 인정보보호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긴밀한 관계이다. 또한 사이버안보 는 국가안전보장이라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안보를 위한 개인정보의 처리는 적절한 범위에서 허용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안보는 적절한 균형관계를 꾀하여야 한다. 즉, 사이버안보를 위한 개인정보처리의 근거는 현재처럼 유지하면서도, 사이버안보 활동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부당하게 침해된 경우에 적절한 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 다. 이런 관점에서 현행 개인정보보호법 상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에 의한 개인정보분쟁해결 규정을 적용제외한 것을 재고하거나 아니면 다른 적절한 구제절차를 마련토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 대통령 정 책 지침에서와 같이 정보기관 내부적으로 자율적인 통제가 이루어지기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향이다. 이런 관점에서 현행 「국가정보보안 기본지침(국가정보원)」, 「보안업 무규정」,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의 제정 및 운영은 하나의 중요한 법적 기반이 될 수 있다.
이 판례평석은 보험사고 중 보험자의 면책사항에 해당하는 자살에 대 해 보험자의 책임을 인정하는 법원의 판결에 관한 것이다. 이 판례평석 에서 인용한 판례들은, ① 극도로 흥분된 상태에서 자살한 사안에 대한 판례(대법원 2006.3.10. 선고 2005다49713 판결), ② 만취된 상태에서 자살한 사안에 대한 판례(대법원 2008.8.21. 선고 2007다76696 판결), ③ 정신질환 상태에서 자살한 사안에 대한 판례(서울고등 2007.11.27. 선고 2007나14508 판결)들로 이는 우리나라 생명보험표준약관(보험업 감독규정시행세칙 제5-13조 제1항 관련) 제5조에서 규정하는 보험자가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 사유 (①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 ② 보험수익자가 고의로 피보험자를 해친 경우, ③ 계약자가 고의로 피 보험자를 해친 경우) 의 예외조항(동조 제1호)인 피보험자의 고의적인 보험사고에 대하여 피보험자가 심신상실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을 해친 경우 에 보험자의 책임을 인정한 것 들이다. 법원은 상법 제659조 제1항 및 제732조의2의 입법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에 있어서 자살을 보험자의 면책사 유로 규정하고 있는 경우, 그 자살은 사망자가 자기의 생명을 끊는다는 것을 의식하고 그것을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자기의 생명을 절단하여 사 망의 결과를 발생케 한 행위를 의미하며, 피보험자가 정신질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망의 결과를 발생케 한 경 우까지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경우 사망의 결과를 발생케 한 직접적인 원인행위가 외래의 요인에 의한 것이라면 그 보험사고는 피보험자의 고의에 의하지 않은 우발적인 사고로서 재해에 해당한다. 고 판단하고 있다. 보험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우연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구성원으로 하여금 경제적 어려움과 불안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물론 보험계약이 가지는 사행계약적 성격으로 인해 처음부터 보험금 취득을 목적으로 보험계약을 체결하거나, 생명보험계약 체결 후 고의로 피보험 자를 살해하는 것과 같은 보험범죄, 도덕적 해이의 문제 및 역선택의 문 제 등과 같은 역기능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고의 자살사고의 경우, 보험의 순기능보다는 역기능 성격이 표 출될 여지도 많지만, 자살사고라고 할지라도 고의성이 내포되어 있지 않 은 사고 또한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고, 역기능적 성격보다는 그 사회 구성원의 경제안정을 통한 사회보장적 기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보험 제도 본연의 취지에 더욱더 부합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현행 상법이나 생명보험표준약관이 고의사고인 자살의 경우에도 일정 한 조건에 부합되면 이를 면책하지 않고 부책할 수 있는 단서 조항을 두 고 있는 이유도 보험의 역기능 보다는 순기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 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정신질환 등으로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 인 경 우, 피보험자 자신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고 그 행동에 대한 결과를 알 수 없는 상태임이 명백하므로 상법 제659조의 적용보다는 상법 제732조 의2를 적용함이 보다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또한 보험은 경제적 안정 이 라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는 바,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 에서의 자살인 경우, 남겨진 유족에게 경제적 안정이라는 긍정적인 측면 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부분도 간과할 수 없으므로 보험의 순기능적인 측 면에 입각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개화기는 전통법제에서 서양의 법제로 전환되던 시기였다. 개화기에는 민법 및 형법 등 단행법이 제정되지는 못하였지만, 민법학 및 형법학 등 법학이 먼저 도입되었다. 이때 법철학(법사상학)도 도입되었는가 하는 점이 이 글의 문제의식이다. 개화기에 법철학 교과서가 집필되지는 못하였고, 법철학이라 부를 수 있는 학문의 분야가 성립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法律과 道德의 구분, 自然法과 人定法(實定法) 의 대립, 法律哲學과 成文法學의 차이 등 법 철학적 논의는 활발하였다. 왜냐하면 서양의 법제도와 법철학을 받아들 인 일본에서 공부한 유학생 출신 지식인들이 西遊見聞, 法學通論, 법 학잡지 등에 서양식 법사상을 受容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민사재판 실무에서 서양 민법학의 法理가 적용된 재판이 행하여 졌다. 그 이유는 민법전이 제정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교통사고·명예훼 손 등의 법적 분쟁이 발생하자 전통법과는 다른 서양의 법리를 적용해 재판을 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개화기는 한국법철학사에 서 서양법철학 혹은 법사상학이 처음으로 도입된 때라고 할 것이다.
2014년말에 중국인민은행은 <예금보험조례의의견고>를 공포하였다. 이것은 중국이 은형보험에서 현형보험으로 전환하는 이정표라고 볼 수가 있다. 2015년 3월에는 국무원이 정식적으로<예금보험조례>를 반포하였 다. 이 조례는 예금보험제도 및 중국의 예금보험의 관한 운영을 총23조 로 규정하고 있다. 2015년 5월 1일부터 정식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데 최 고 배상금액은 인민폐 50만원이다. 중국은 예금보험제도를 준비하는데 21년이라는 과정을 거쳤다. 예금보험제도의 설계목적에 의하여, 현대국가 금융안전망의 한 방면으 로서, 은행이 책임을 이행할 수 없을때, 대부분 중소예금자들이 즉시 배 상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예금보험제도를 반포하고 나서 예금자들에게 자금을 은행에 저축하는 것이 최고 보장이라고 할 수 없게 되었다. 왜냐 하면 예전에는 중국에서 모든 은행은 국가가 신용으로 담보하고 금융기 구가 파산하면, 중국중앙은행과 지방정부가 배상책임을 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수만억의 재정부담은 금융시스템의 예금안전에 대한 리스크가 될 수 있다. 예금보험제도의 반포로 정부가 은형담보하는 위험으로부터 벗 어나게 되었다. 이제는 은행기구가 자신들이 운영리스크에 대해 책임을 져야한다. <예금보험조례>는 이미 발표되었지만 현재은행의 주주구조를 보면, 단기간으로 이 목적을 실현하기가 쉽지 않다.
법률안거부권은 국회가 의결하여 정부에 이송한 법률안에 대하여 대통령이 이의를 가지는 경우에 대통령이 국회에 재의를 요구하는 권한으로서 법률안재의요구권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법률안거부권은 미국 연방헌 법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은 국회가 재의결을 할 때까지 법률안이 법률로 확정되는 것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조건부의 정지적 거부권으로서의 법적 성격을 가진다. 법률안거부권을 행사하는 방식으로는 환부거부와 보류거부가 있지만 현행 헌법에서는 미국 헌법과 달리 보류거부는 인정되지 아니한다. 우리 헌법사에서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은 제헌헌법부터 규정되어 현행 헌법에까지 이르고 있다. 다만 제 2공화국 헌법은 정부형태로서 의원내각제를 채택하였기에 대통령의 법률 안거부권은 규정되지 않았다. 이처럼 제헌헌법에서부터 대통령의 권한으로 규정되었던 법률안거부권이지만 실제 헌정에서 대통령은 법률안거부 권을 빈번하게 행사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작금의 시대적 상황은 다양한 정치적, 법적인 이유로 인하여 법률안거부권이 하나의 헌법적 장식물로 머무르게 하지는 않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그리하여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과 관련한 헌법적 쟁점들을 정리하고 불분명한 점을 명확히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법률안거부권과 관련한 헌법적 쟁점들에 대한 명확한 해법을 요약 정 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통령이 법률안에 대하여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 는 기간은 국회에서 의결한 법률안이 정부에 이송된 날의 다음날 부터 기산하여 15일이 되는 날 자정까지라고 해석하여야 한다. 대통령은 자신 이 행사한 법률안거부권을 국회가 재의에 붙여 재의결할 때까지는 자진 하여 철회할 수 있다고 해석하여야 한다. 대통령이 법률안거부권을 남용 하여 행사하는 경우 국회는 이를 사유로 탄핵소추를 의결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통령의 법률안거부권 행사에 대하여 국회가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최근 정보기관의 ‘해킹 프로그램 구입’ 사례는 과거 비민주적 국가정보 기관의 사생활침해와 감시라는 단편적인 인식의 차원을 넘어, 21세기에 들어 변화하는 안보환경과 국가기관이 국가안보활동과 관련된 여러 중요 하고 의미 있는 문제들을 함축하고 있다. 세계화, 정보화와 같은 새로운 안보환경의 등장은 국가 법집행 및 정보체계의 대응방식에서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북한, 중국, 테러세력, 초국가 범죄 집 단, 다국적 기업 등 다양한 국가 또는 비국가행위자의 위협을 받고 있으 므로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맞추어 적응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국가안보와 관련된 법집행기관과 정 보기관의 임무와 역할, 기능을 미국의 사례를 통해 점검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국은 9.11 테러를 겪으면서 변화된 21세기 환경에서는 전통적인 사생 활 보호와 인권보호, 그리고 국가공권력의 법적, 제도적 제한 등의 장치가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예컨대, 9.11 테러와 같 은 대참사나 보이스 피싱이나 마약밀거래와 같은 초국가적 조직범죄의 경 우, 사건이 이미 발생했다면 그 피해는 대량의 인명살상이나 경제적 피해를 야기할 만큼 심각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응적인 측면보다는 사건발생 이전 에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선제적 활동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이에 따 라 변화된 21세기 안보환경에서 미국을 포함한 여러 다른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은 공권력 강화의 방향으로 법제도와 운용을 정비하고 있다.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독일, 그리고 영국의 최근 동향은 국가안보와 민주주의 의 가치, 그리고 자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법집행 기관과 정보기관 과 같은 공권력의 증대에 따른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기본권 등의 부분적 감소는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우리의 동맹국인 이들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은 개인의 헌법상 기본권과 관련하여 논란의 소 지가 있음에도 범죄예방수사, 비밀수사, 전자감시, 사이버 감시와 관련된 다양한 법적장치와 정책운용을 법집행 기관 및 정보기관의 능력 강화와 공 권력 증대 차원에서의 도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범죄 피해자에게 당사자에 준하는 정도의 참여권을 인정하여 야 할 뿐만 아니라 형사절차를 범죄자 확정과 응징 과정에 그치지 않고 피해자가 범죄로부터 받은 정신적․심리적 충격과 상처를 치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이념이 제시되거나 적용되기도 있다. 이 논문은 다양한 이익과 원칙의 충돌 사이에서 방황하는 재정신청제도를 현대 형사소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는 범죄 피해자 보호라는 가치와 이익을 기 준으로 다시 재구성해 검토한다. 재정신청제도는 본질적으로는 범죄 피해 자 개인의 고소권과 재판청구권 그리고 재판진술권을 위한 구제제도이면서 이와 함께 사회적으로 검찰의 공소권 행사의 적절한 통제라는 의미도 함께 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피해자를 소극적으로 보호하는 차원에 서 벗어나 현재처럼 형사절차에서 피해자가 적극적으로 당사자로 참여하 여 자신의 견해를 주장하는 방안이 모색되는 상황에서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해 제3의 기관이 충실한 조사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재정 신청제도는 피해자의 활발한 절차참여를 전제하는 현대적 의미의 피해자 권리보호에 필수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재정신청제도는 피 해자의 참여권과 의견진술권을 보장하여야 하며 철저한 증거조사가 가능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입법적으로 재정법원의 강제조사권한에 관한 내 용과 범죄 피해자가 재정 신청인으로서 재정신청절차에 참여하여 의견진술 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규정을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양형을 바라는 국민의 열망을 담은 양형기준제가 시행된 지 6년이 지났다. 양형기준은 법관에게 참고적인 효력이지만 법 관이 이를 이탈하는 경우 판결문에 양형이유를 기재하여야 한다. 따라서 양형기준 대상 사건을 심리하는 경우에는 양형인자의 조사를 통한 양형 기준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양형위원회는 다양한 양형인자 중 양형에 많 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추출하고 그 평가를 통하여 형량범위를 권고 하고 있다. 그동안 양형인자들의 증명이나 심리방식에 관하여 깊은 논의가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전통적으로 양형인자는 범죄사실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조사방법은 판사의 재량에 따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 있었다. 하지 만 이제 헌법이나 형사소송법의 취지에 따라 형벌권의 존부에 관한 인자 뿐만 아니라 형벌권의 범위에 관한 인자도 엄격한 증명이 필요하다는 입 장이 주류를 이룬다. 양형기준에 제시된 양형인자들의 입증 방법이나 심리방식에 관한 본격 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들은 종류가 다양하므로 세 부 유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들은 대부분 엄격한 증명의 대상이 되고 그 이외의 인자들도 적어도 당사자들에게 의 견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의미에서 적법절차에 따른 증명의 대상이 된다고 본다. 성공적인 양형기준제 시행을 위하여 양형심리를 내실화할 필요가 있 다. 효율성도 고려하여야 하지만 무엇보다 양형과정의 객관성과 투명성 도 보장되어야 한다. 심리절차는 기본적으로 당사자주의 구조의 틀에 따 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양형인자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보 호관찰관에 의한 양형조사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법원직원이 위 업무 를 담당하도록 하는 방안은 공정성, 투명성, 전문성을 해칠 우려가 있고 당사자주의 구조에 반한다. 또한 위와 같은 양형심리에 관한 국민의 권 리와 의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므로 입법을 통한 정비가 필요 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associations of dog characteristics with serum serotonin (5HT) concentration in dogs with degenerative mitral valve disease (DMVD). Client-owned dogs were prospectively recruited at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between 2010 and 2011. Forty-two dogs (22 females and 20 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MVD dogs included Maltese (n=12), followed by Shih-tzu (n=10), mixed breed (n=5), Chihuahua (n=4), Miniature schnauzer (n=3), Miniature poodle (n=3), Miniature pinscher (n=1), Pomeranian (n=1), Yorkshire terrier (n=2), and Spitz (n=1). As inclusion criteria for the study, dogs had to show either direct or echocardiographic evidence of DMVD. Platelet count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as the moderate (P<0.05) and severe groups (P<0.0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latelet counts than the mild DMVD group. Additionally, significantly higher LVIDd, LVIDs, fractional shortening (FS), and LA:Ao ratios were observed in dogs with moderate (P<0.05) and severe (P<0.05) DMVD compared to the mild group, respective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rum 5-hydroxytryptamine (5HT) concentration and platelet count (r=0.273, P=0.03), LA:Ao ratio (r=0.459, P=0.001), and LVIDd (r=0.319, P=0.013) were observed in DMVD dogs. Therefore, serum 5HT concentration may be a potential cause of DMVD progress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and age-associated clinico-metabolic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 patient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data from 2,009 consecutive patients presenting with their first urinary stone episode between 2005 and 2013. Of the 2,009 patients, 1,426 (71.0%)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enroll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grouped by age (<60, ≥60 years old) and sex. The medical history and 24 hr urinary chemistry results of each patient were obtained. The mean age of the 165 (11.6%) patients aged 60 or over was 65.5 ± 4.2 years. Body mass index was greater in elderly females than in younger females (p=0.031). After stratification by sex and age, lower urinary excretion of calcium and uric acid was a protective factor for both sexes among the elderly (p<0.05, each, respectively). Low urine pH was a common risk factor for both sexes among the elderly (p=0.013 in males, p=0.047 in females, respectively), whereas lower citrate excretion was a risk factor for only the elderly female group (p=0.004). With regard to urinary metabolic abnormalities, elderly females showed higher incidence of hypocitraturia compared to younger females (p=0.049).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ex- and age-associated clinico-metabolic characteristics of urinary stone patients. Thus, it is important to tailor metabolic evaluation and medical prevention therapies for patient according to sex and gender characteristics.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various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renal disease, hypertension, cancer, and neural disease. Adipose tissue in animals is important for the mobilization of lipids, milk production, deposition of fat in different depots, and muscle and meat production. Understanding the genetic and physiological causes of metabolic disease is a priority in biomedical genome research. In this study, we examined several variables in mice fed a high-fat diet, including serum composition, body weight, total calorie intake, an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ody weight and blood glucos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imals fed high-fat and normal diets. However, high-fat diet groups showed reduced calorie and food intakes. Levels of sodium, ionized calcium, glucose, hematocrit, hemoglobin, pH, PCO2, PO2, TCO2+, HCO3+, base excess, and SO2 in the blo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ice fed high-fat and normal diets. Serum potassium concentration, however, was lower in mice a high-fat diet.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were also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new genes as a result of annealing control primer (ACP) PCR using 20 random primers. Five down regulated genes were identified and three of others were up-regulated by high-fat diet. Known genes were excluded from this resul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among candidate genes and high-fat diet should be investigated according to potassium concentration in the blood. In conclusion, mice fed normal and high-fat die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whereas high-fat diet led to changesin blood composition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several genes. These findings ma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metabolic diseases.
Recently, several companies have released H. pylori stool antigen (HpSA) test kits.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usefulness of HpSA testing for Helicobacter felis, which is the major Helicobacter species in ca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diagnostic methods for diagnosis of H. felis with HpSA tests and PCR assay using cat stools or gastric mucosa. Male cats (n=6) were infected with H. felis ATCC 49179 (1.0 × 109 CFU /cat) by intragastric inoculation two times at 3-day intervals, and stool specimens of cats were collected 1, 3, 5, 7, 14, and 21 days after infection for HpSA testing and H. felis-specific PCR. For the results, sensitivities of the HpSA test and PCR analysis were 50.0% and 83.3% respectively. Cats were sacrificed 21 days after H. felis inoculation, and gastric tissues were homogenized. All gastric biopsy specimens were positive based on a rapid urease test (RUT) (6/6, 100%) and PCR (6/6, 100%). Based on these results, the HpSA kit is useful and effective for monitoring H. felis infection using stool specimens. If an HpSA test could be made with H. felis antibodies in the future, its sensitivity could be increased further. Further, PCR assay could be successfully used to detect H. felis in stools. Application of this HpSA kit and PCR assay can be utilized as a non-invasive strategy to identify H. felis in cats.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is recognized as the most common feline cardiac disease.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time of cats with HCM; however, these reports included large numbers of asymptomatic HC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time of cats with symptomatic HCM admitted to emergency service. Medical records were examined to verify clinical diagnosis of HCM. Asymptomatic cats diagnosed with HCM were also excluded from the study. From a total of 13 cats, eight were classified in the arterial thromboembolism (ATE) group while the other five were in the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group. Middle-aged (6 years, range 1.4~7 years) male cats (53.8%)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elvic limb paralysis, depression, and respiratory distress were common clinical signs found in symptomatic HCM cats. Hematologic evaluation found that enzymes related to muscle damage and tissue necrosis were elevated in both groups and highly elevated in the ATE group. Left atrium was remarkably enlarged in ATE group cats. The median survival time of cats in the ATE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of cats in the CHF group (P=0.002). Prospective investigation based on a large population would be required to clarify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prognosis of HCM ca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or a second language, and to propos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I presented 3 reasons that mainly cause the difficulty in teaching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Among the reasons, teachers’ lack of confidence and insufficiency of expertise in teaching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one which we have to compensate in terms of improving teachers’ ability. First, in chapter Ⅱ, I analyzed the trend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to-b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in chapter Ⅲ, I defined the concept of ‘ability of teaching writing’, and summarized the categories of the ability. Finally,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with regard to teachers’ expertise. Specially, I focused not only on the pedagogic content knowledge (PCK), but also on the content knowledge (CK). In this paper, I explored teacher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for better teaching Korean as an L2. However, this paper remains only as a pioneer attempt at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the area is not fully discussed yet.
DNA methylation is the most common and well-characterized epigenetic change in human cancer. Recently, the association between GATA-binding protein 5 (GATA5) methylation and carcinogenesis of various types of tumors was investiga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GATA5 methylation status on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in primary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patients with a long-term follow-up period. The GATA5 methylation status was determined for 171 human bladder specimens (eight normal controls [NCs] and 163 primary NMIBC patients) using quantitative pyrosequencing analysis. The primary NMIBC tissu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who underwent transurethral resection (TUR) for histologically diagnosed transitional cell carcinomas between 1995 and 2012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ATA5 methyl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MIBC patients than in NCs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grade and more advanced stage of cancer. Kaplan-Meier estimat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mor recurrence and progression according to GATA5 methylation status (each p<0.05). Our results show that increased methylation of GATA5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ot only aggressive characteristics but also poor prognosis in primary NMIBC patients. Alteration of GATA5 methylation might be used as a biomarker for prognosis of NMIBC patients. However, prospective and functional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of GATA5 methylation in future clinic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NMIBC.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β-glucan originating from Aureobasidium on full-thickness skin wound healing in diabetic C57BL/KsJ-db/db mouse models. In the diabetic C57BL/KsJ-db/db model, test articles were topically applied twice a day for 20 days starting from 1 day after wound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at of MadecassolTM ointment (madecassol; 1% Centella asiatica extracts) topically applied at a concentration of 100 mg/kg. Treatment with β-glucan resulted in significant (p<0.01 or p<0.05) and dose-dependent decreases in wound size compared with that of vehicle control showing increased wound size (WS, %). In addition, 50% contraction time (CT50) was dramatically and dose-dependently reduced, and inflammatory cells in granulation tissues of the wound area were significantly (p<0.01 or p<0.05) and dose-dependently reduced compared with that of vehicle control showing increased numbers of micro-vessels and fibroblasts as well as re-epithelialization. In the madecassol group, similar changes in inflammatory cells and fibroblasts with re-epithelialization were also observed, but madecassol did not influence angiogenesis. No meaningful changes in body weight were detected in all tested groups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Therefore, these data suggest that β-glucan has a beneficial effect on diabetic delayed skin wound healing and may be useful to manage incurable skin wounds in diabetic animal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associated with multiple comorbidities, including depression, which carries a higher risk of exacerbation and hospitalization in patients with stable COPD. A newly developed questionnaire, the COPD Assessment Test (CAT), was developed as an alternative to other complex, time-consuming tools for quantifying the symptom burden of COPD in routine practice. It is possible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T and depression scales could be useful for early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in COPD patients. Thu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 and depression as measured by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s-9 (PHQ-9).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OPD cohort study. A total of 97 patients were enrolled. The Korean versions of the CAT and PHQ-9 were completed for stable patients.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PHQ-9 and CAT scores. Significant depression among the groups based on the 2011 GOLD guidelines occurred only in class Gold B and D patients (40% and 60%,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er CAT scores (20~29 versus ≥30; odds ratio: 5.67 versus 22.66).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HQ-9 and CAT scores (r=0.545 and P<0.001). As a result, the PHQ-9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PD patients with a higher CAT score. The CAT is a simple and valuable predictor of depression in COPD patients, and it should be frequently used to detect COPD patients with depression in clinical practic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high school German textbook "Deutsch 1" which is developed and published in South Korea in 2013. Many public high schools have adopted this book as the official textbook for introduction to German language and culture. This book reflects the communicative and intercultural competences, which are formulated as an explicit teaching goal in the national teaching plan of 2009. In the theoretical part of this research we critically look into the diverse checklists of German textbook criteria which are developed in the history of German language edcuation. In the practical part of this research we aim to devise new criteria which correspond to our schemes of analyses by means of which we analyze the school textbook licens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