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1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말라리아는 Anopheles 모기들에 의해 전파되며, 대한민국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2020~2022) 약 200~300명대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하였으나, 지난 2023년에는 그 수가 폭증해 약 800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현재까지 모기를 방제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수단은 살충제를 사용한 방제이나, 지속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에 노출된 모기 개체군은 살충제에 저항성을 갖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주요 말라리아 발생 지역인 비무장지대 부근 및 이외 지역인 용산, 평택, 오산에서 채집을 진행하였으며, 채집된 An. sinensis에 대해서 살충제 저항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진 유전자인 acetylcholinesterase-1(ace-1)와 voltage-gated sodium channel(vgsc) 영역에 대한 저항성 돌연변이 보유 여부를 각각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채집된 모든 지역에서 G119S(ace-1), L1014F,C(vgsc)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그 빈도는 계절과 장소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는 향후 말라리아 감염 억제를 위한 매개체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의 사후경과시간(PMI) 추정 방법은 대략적인 사후경과시간의 추정, 사후 48~72시간 경과 또는 부패 시 추정 불가능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최근에는 법의곤충학(Medicolegal entomology)을 통한 최소 사후 경과시간 (PMImin) 추정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시식성파리의 발육 성장속도 파악은 시체의 최소 사후 경과시간 추정에 있어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곱슬털쉬파리(Parasarcophaga. similis)를 사육대상 종으로 선정하였다. P. similis는 부패한 시체를 섭식하는 시식성파리 중 하나로서, 발육 성장 속도에 따른 법곤충 학적(Forensic entomology) 최소 사후 경과시간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실험에 사용된 대상종의 경우, 경북 칠곡군 지천면 일대에서 6~9월경 야외쉬파리 채집하였고, 종 동정, 사육 및 증식, 예비 실험을 거친 후 본실험 을 진행하였다. 본실험은 산란 집단 케이지 내에서 산란 유도 후 12시간 간격으로 6개체를 샘플링하였고, 이를 Leica M125 Microscope (Leica Microsystems, Germany), EG-2HDNL(이지테크, Korea)로 이미지와 측정치를 확보 하였다. P. similis를 16~34°C 사이 7개의 온도 조건에서 성장 속도 측정을 3회 반복 실험하였으며, 곱슬털쉬파리의 최초 출현시점, 특정 온도 조건 별 발육 성장 속도 측정, 유충 몸길이 데이터, 이미지 자료, 표본 등을 확보하였다. 16, 19, 22, 25, 28, 31, and 34°C에서 P. similis의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달 기간은 각각 822.0±5.9, 605.0±12.2, 442.3±9.4, 339.3±6.1, 289.3±7.5, 253.0±8.0, and 248.7±3.4h이 경과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P. similis의 성장과정 데이터와 PMImin추정을 위한 지표로서 활용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3.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to psychological effects of insect healing programs in Insect ecological garden. A sample of participated 9 families and non-participated 9 families in the survey from near study area in Sangju and Mungyeong, Gyeongbuk. The nine famil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insect experience activity healing programs using emotional insects(butterfly, beetle and endangered insect) and edible insect. All the participants were examined to psychological effect with major family strength, PANAS, POMS-B, PSS, CES-D and GAD-7 i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ealing program of insect experience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ed families of Family strength, PANAS, POMS-B, PSS, CES-D and GAD-7. The participated families preferred insects more than before healing program of insect experience activities. And participated families in the insect healing program showed high satisfaction. As a result, we were going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amily type insect healing program in this study. In the future, the insect ecological healing program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various subjects. These result reveals that the insect healing program performed in insect ecological healing program may improve stress,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symptoms of people.
        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elopmental biolog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mmature stages of Hypolimnas bolina were studied in the laboratory using host plant, Ipomoea batatas (L.) Lam. This species has six larval stadia, with an egg period of 2.4 ± 0.54 days, a larval period of 16.8 ± 2.3 days, and a pupal period of 10 ± 1 days. It takes approximately 30 days to mature from egg to adult. Illustrations and descriptions of the various immature stages and their behaviors are provided.
        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상북도에 위치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내 2개 지역(영주지역의 신갈나무, 울진지역의 소나무)과 경기 포 천시에 위치한 생물권보전지역내 2개 지역(포천지역의 신갈나무와 소나무)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함정 트랩(Pitfall trap)을 매년 5회씩 5반복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27과 106속 160종 2,66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종풍부도는 20.28, 종균등도는 0.266, 종다양도는 1.355, 우점도는 0.265로 우점 종은 납작먼지벌레속 sp.2 (Synuchus sp.2)이였다. 또한, 생물권보존지역에서는 16과 49속 77종 4,834개체가 확 인되었으며, 종풍부도는 8.958, 종균등도는 0.301, 종다양도는 1.31, 우점도는 0.669로 우점종은 윤납작먼지벌레 (Synuchus nitidus)였다. 산림의 중요 지역 간에 지표성 딱정벌레의 군집을 비교함으로써 환경변화에 따른 산림 보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6.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등에모기과(Ceratopogonidae)는 파리목(Diaptera)에 속하는 미소곤충이다. 이 중 사람과 반추류를 포함하는 척추동물을 흡혈하는 점등에모기속(Genus Culicoides)은 세계적으로 1,368종 이상이 보고되었으며 블루텅, 아프 리카 마역 등 60여개 이상의 질병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Culicoides는 37종이 보고되어있으며, 아카바네, 츄찬 등의 질병을 매개한 기록이 있다. 이에 기후변화에 따른 개체 발생양상과 분포 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아열대화 및 해외유입을 고려하여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세 권역의 축사 15개 지역에서 5월부터 8월까지 유문등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총 19종 103,365개체가 채집되었고 Culicoides arakaawae(83,922), Culicoides punctatus(11,184), Culicoides tainanus(3,298) 3종이 전체 채집량 중 95.2%를 차지하 였다. 각 샘플을 채집시기별, 종별, 지역별로 정리한 결과, 종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13종이 채집된 진주, 가장 낮은 곳은 3종이 채집된 제주5 지점이었다. 보관된 샘플은 유전자원 확보 및 바이러스보유검사 등의 추가실 험을 통해 국내 등에모기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7.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lex pipiens complex는 West Nile virus의 주요 매개체이며, 대한민국에는 Cx. pipiens pallens와 Cx. pipiens f. molestus가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한민국에서 진행된 Culex pipiens complex의 살충제 관련 실험은 종 수준 이하의 단계에서 비교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13개 지역에 서 Culex pipiens complex를 채집하였고, 분자 마커를 이용해 종 수준 이하 단계까지 분류를 진행한 뒤 각 분류군의 Acetylcholinesterase-1(Ace-1)와 Voltage-gated sodium channel(Vgsc) 유전자에 대한 저항성 돌연변이 존재 유무를 확인하였다. Ace-1 영역 확인 결과, Cx. pipiens f. molestus에서는 저항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목포에서 채집된 Cx. pipiens pallens 1개체에서 저항성 개체가 발견되었다. Vgsc 영역에서는 저항성 유전형질을 보유한 개체가 Cx. pipiens pallens와 Cx. pipiens f. molestus에서 모두 발견되었으며, 다양한 지역에서 서로 다른 비율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조사 결과는 향후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Culex pipiens complex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