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4

        181.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orean shoe-last based on the conformability of shoe. For this work, the important dimensions for the conformability of shoe were investigated and the systematic methods for evaluating the comfortable shoe were developed. Different two types of shoe-last for men and women were used in the experiment, respectively. 8000 feet dimensions of Korean adults were analyzed for developing standard shoe-last in this study. A total of 10 subjects (ranged from 21 to 25 years old) participated voluntarily. They evaluated each shoes made by developed shoe-last. A rating scale and description was used to express the degree of conformability. Also, 26 feet dimensions were measured using martin-typed gauge and footprint. The relationship between foot dimension and conformability of shoe was analyzed. As a result, Korean standard shoe-last was suggested based on the based on the conformability of shoe. The evaluating methods will be expected to help designer find mor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We will also expect that the standard shoe-last guarantee the optimal gait and minimal workload, especially in aspect of conformability.
        4,000원
        18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컨조인트 분석기법은 Marketing 분야에서 주로 많이 쓰여온 분석 방법으로서 제품의 중요한 속성들을 찾아내어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조인트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의자의 물리적 적합도를 분석, 평가하여 사용자가 적합하다고 느끼는 최적의 의자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안정성, 여유성, 인체적합성, 안락성등 4개의 적합도 요소를 종속변수로 선택하고 의자 자체의 설계 요소에 해당하는 휴먼인테페이스 요소(HIE) 중 높이 조절 기능, 팔걸이, 등판길이의 3가지 속성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의자는 각 속성을 특징적으로 대표하는 8개의 의자들로서 구성되었다. 분석의 결과 네 가지의 적합성에 공통성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속성은 (남자 안정성은 예외) 등판길이로서 남자와 여자 모두 등판길이가 높을 때 안정적이며 안락하고 인체적합하며 여유성이 있다고 느낀다는 결과가 나왔다. 적합도의 네가지 항목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등판길이가 높고 팔걸이가 있는 경우에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안정성의 경우에는 남·녀 모두 높이조절 기능이 없는 고정형을 더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3.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성공학과제에서는 연구보고서, 문헌, 지표, 생체데이터, 감성유발자극 등 많은 자료가 산출되고 있지만 단위연구과제에서 분산, 관리되고 있어 연구자원의 공유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감성공학연구원과 감성응용제품 개발기업으로 사용자를 분류하고 요구분석, 설계 구축 단계를 거쳐 감성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여 연구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 모델에는 연구보고서로부터 추출된 감성지표와 더불어 실험과 관련하여 독립변수, 종속변수, 실험자극, 생체데이터 등에 포함되었다. 이러한 데이터모델을 기초로 감성공학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축적되면 사용자 웹에서 원하는 자료를 복합 검색할 수 있게 된다. 감성공학시스템은 사용하기 쉽도록 메뉴를 구성하였고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운용하고 있다.
        4,000원
        18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EG 생리신호의 분석은 국내에서도 최근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시계열을 이용한 분석법은 통계학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감성과학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Tool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EG 생리신호 분석을 위한 모형분석 시스템과 생리신호 분류를 위한 판별분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신호분석을 위한 그래프 작성, 자극 신호에 대한 모형식별 방법의 제시, 모형에 대한 추정 및 진단 기준에 따른 최적의 모형선정 방법 등을 지원한다. 또한 선정된 모형에 이해 모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계에 대한 지식이 없이도 쉽게 각 뇌파 신호들을 판별 분류할 수 있다.
        4,000원
        185.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for embryo transfer techniques by analyzing several factors affecting in-vivo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Embryos were transferred into a toral of 301 recipients. The results obtained in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by condition of transfer time were as follows ; 1. The pregnancy rate by the seasons of transferred fresh and frozen embryos were not different, but the pregnancy rate was slightly higher in summer(80.8%). 2. The pregnancy rate by the days of embryo transfer after estrus were not different when fresh embryos were transferred, but the pregnancy rate was highest at 8 days when frozen embryos were transferred(P<0.01, 40.0%). 3. The pregnancy rate at estrus synchronization was remarkably higher with PGF treated than natural (P<0.05, 70.4%, 43.4%). 4. The pragnancy rate by the degree of estrus synchronization was best when the estrus was synchronized in both fresh and frozen embryos (83.3% and 29.7%, respectively), but the pregnancy rate was not different among 2 days. But the pregnancy rate of frozen embryos were slightly higher when the recipients exhibited estrus earlier than donors.
        4,000원
        186.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류균과 두과작물의 공생에서 숙주결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종자 및 및 유근으로부터 분리한 lectin과 근류균의 표피다당과의 결합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팔달, 백운 및 황금으로부터 분리한 종자선을 형성하였다. 대두 종자 lectin 및 뿌리추출물은 R. japonicum및 B. japonicum과 결합하였고 R. viceae와는 결합 하지 않았으며 완두의 lectin은 R. viceae와 결합하였으나 R. japonicum및 B. japonicum과는 결합 하지 않았다. B. japonicum과 R. viceae로 부터 분리한 세포표피 다당의 겔 여과한 결과 두개의 분획으로 각각 나타났다. B. japonicum으로 부터 분리한 표피다당은 대두의 종자 lectin과 결합하였으나 R. viceae로 부터 분리한 표피다당은 대두 lectin과 결합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근류균이 숙주세포와 결합할 때 숙주를 인식하는 초기 단계에서 lectin이 관여함을 추론할 수 있고 이것이 상호접종군을 형성하는데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4,000원
        187.
        199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분극처리된 PZT세라믹스에 외부응력을 인가하였을때 인가되는 응력의 방향에 따른 열화기구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극축과 수직으로 응력을 인가할때의 열화현상은 공간전하분극의 확산으로, 분극축과 평행하게 응력을 인가할때는 분역재배열현상으로 설명하였다. 소결체의 입자 크기가 커지면 열화폭이 커짐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입자크기에 따른 내부응력의 차이로 해석하였다.
        4,000원
        190.
        198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大豆)를 이용(利用)한 요구르트 및 유산균(乳酸菌) 음료(飮料)의 제조(製造)를 위(爲)하여 두유(豆乳) 요구르트에 대한 유산균(乳酸菌) 생육(生育)과 산생성(酸生成) 및 여러가지 첨가물(添加物)에 대한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시비조건(施肥條件)에 차이(差異)를 두어 재배(栽培)한 대두(大豆)를 이용(利用)한 두유(豆乳)에서의 유산균(乳酸菌) 생육(生育) 및 산생성(酸生成)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개발복비(開發複肥)를 사용(使用)한 Soybean D가 다소(多少) 양호(良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유(豆乳), 탈지두유 및 분리대두단백(分離大豆蛋白)에서의 산생성(酸生成)은 두유(豆乳)가 탈지두유보다 양호(良好)했으며 분리(分離) 대두단백(大豆蛋白)으로 조제(調製)한 두유(豆乳)에서는 현저(顯著)히 낮았다. 두유(豆乳) 요구르트의 제조(製造)에 사용(使用)한 균주별(菌株別) 산생성능력(酸生成能力)은 L. bulagricus와 L. acidophilus가 우수(優秀)하였다. 당(糖)과 각종(各種) 발육촉진물질(發育促進物質)의 첨가(添加)에 의해 균증식(菌增殖) 및 산생성(酸生成)이 촉진(促進)되었으며 특(特)히 Glucose와 Yeast Extract의 첨가(添加)는 현저(顯著)한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4,000원
        193.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소원(窒素源)을 달리한 비료시용(肥料施用)이 대두(大豆)의 생육(生育), 수량(收量), 영양성분(營養成分) 및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 등(等)에 미치는 비효(肥效)는 다음과 같다. 대두(大豆)의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유사(類似)하였으나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있어서 절수(節數)가 적었다. 근류수(根瘤數)와 무게는 유안구(硫安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낮았고 그 밖의 처리구(處理區)에 있어서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근류수(根瘤數) 당(當)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은 생육초기(生育初期)와 개화기(開花期)에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pod 신장기(伸長期)에서는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비교적 높았다. 대두(大豆)의 100립중(粒重) 및 10a 당(當) 수량(收量)은 개발복비구(開發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보다 높았고 무질소구(無窒素區)는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보다 대체로 낮았다. 또한 대두(大豆)의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가 무질소구(無窒素區)에 비해 높았고 조지방(粗脂肪) 함량은 오히려 낮았다. 조회분(粗灰分) 함량은 시용구간(施用區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조섬유(粗纖維) 함량은 기존복비구(旣存複肥區)가 타처리구(他處理區)에 비해 높았다. Ca, P, Na, K, Mg, Zn, Mn 및 Cu 함량은 시비조건간(施肥條件間)에 대체로 비슷하였으나 Fe 함량은 무질소구(無窒素區)가 질소원(窒素源) 비료(肥料)의 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월등히 낮았으며, 단백질(蛋白質) 소화율(消化率)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195.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을 기준(基準)으로 하여 낙동(洛東)벼 재배(栽培)에 인산(燐酸) 시비량(施肥量)을 결정(決定)하고 낙동(洛東)벼 재배(栽培)에 이용(利用)할 수 있는 유효인산(有效燐酸) 정량방법(定量方法)을 알아보고자 상관계수(相關係數)를 조사(調査)하였다. 또 낙동(洛東)벼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이용(利用)과 인산시용(燐酸施用) 효과(效果)를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토양(土壤)의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성질(性質)이 상이(相異)한 토양(土壤)을 공시(供試)하여 pot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낙동(洛東)벼의 이앙(移秧) 후(後) 생육(生育)은 무인산구(無燐酸區)에 비(比)해 인산시용품(燐酸施用區)의 초기(初期) 생육(生育)이 촉진(促進)되었고, 분벽(分檗)이 증가(增加)했으며, 위 실험(實險)에 사용(使用)된 4지역(地域)의 토양(土壤)에서 토양(土壤)A는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이 /10a까지 분벽수(分檗數), 초장(草長), 그리고 수량(收量)에 큰 영향(影響)을 미치는 유효경수(有效莖數), 입수(粒數)가 증가(增加)했고 그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는 별다른 차이(差異)가 없었다. 토양(土壤)B와 C, D에서는 인산(燐酸) 시용량(施用量)이 /10a까지 유효경수(有效莖數),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했고 그 이상(以上) 시용(施用)에서는 차이(差異)가 크지 않았다. 유효인산(有效燐酸) 정량방법별(定量方法別)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은 Bray No.2법(法)이 가장 높았고, Lancaster법(法)과 Bray No.1, North Carolina, Olsen 법(法)의 순(順)으로 감소(減少)하였다. Pot시험(試驗) 결과(結果) 정량(定量) 방법별(方法別)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상대수량(相對數量)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는 North Carolina법(法)이 0.952로 가장 높았다.
        4,000원
        196.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교(光敎)를 비롯한 12개품종(個品種)의 대두근류(大豆根瘤)로부터 탐색분리(探索分離)한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숙주작물(宿主作物)과의 접종친화성(接種親和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YMA배지(培地)에서 자란 질소고정균(窒素固定菌)의 색상(色相)은 백색상(白色相), 반투명색상(半透明色相), 투명색상(透明色相)이 각각(各各) 60%, 30%, 10%였으며 Litmus milk 반응(反應)은 alkali, acid serum, alkali serum, acid가 각각(各各) 51%, 29%, 9%, 11%로 나타났다. 2. 우량질소고정균(優良窒素固定菌)의 YM배지(培地)에서의 생육속도(生育速度) 및 pH의 변화(變化)는 S 022, S 096이 생육속도(生育速度)가 느리고, alkali를 생성(生成)하였으며 S 080, S 090, S 118은생육속도(生育速度)가 빠르고 산(酸)을 생성(生成)하였다. 3. YM배지(培地)의 초기(初期) pH가 6.0~7.0의 범위(範圍)에서 Rhizobia의 생육(生育)이 가장 좋았다. 4. 질소원(窒素源)으로서 glutamine, asparagine, allantion 등(等)은 Rhizobia의 생육(生育)을 촉진(促進)시켰다. 5. 분리(分離)한 균주(菌株) 전부(全部)가 대두(大豆)에 근류(根瘤)를 형성(形成)시켰으며, 우량질소고정균주(優良窒素固定菌株)는 그중 색상(色相)이 백색(白色)이고 colony가 소형(小型)이며 질산환원력(窒酸還元力)이 있고 아질산환원력(亞窒酸還元力)이 없으나 비교적(比較的) 높은 질소고정력(窒素固定力)을 나타냈다. 6. 동일균주(同一菌株)라도 숙주작물(宿主作物)의 친화성(親和性)에 따라서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질소고정능력(窒素固定能力)이 없는 무효근류(無效根瘤)를 형성(形成)하는 균주(菌株)도 있었다.
        4,300원
        197.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idence time is defined as the time taken for a material in a system to leave the system. The residence time characteristics in shellfish aquaculture determine the dispersion of excretion from aquaculture farms, along with the supply of food by seawater exchange.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verage residence time in the shellfish farming area using a particle tracking model. As a result, a relatively short average residence time of about 20 days or less was calculated in most areas, but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more than 40 days was calculated in the inner areas. Relatively long average residence times were calculated along the west coast compared to the east coast, with the longest average residence time of more than 50 days in the northwestern area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disturbance of the benthic ecosystem caused by shellfish farms is likely to be large because of the relatively weak dispersion of excrement from shellfish farms located on the west coast, especially in the northwest region. This distribution of average residence time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potential effects of seawater exchange o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shellfish farms, along with the sea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Jaran Bay.
        19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taranscranial ultrasonography is helpful in assessing blood flow, but in some patients, failure to detect cerebral blood flow through the temporal window is an important problem in expansion of clinical indications for transcranial ultrasonography. This study was performed between May 2016 and September 2016 in patients admitted to the neurology department of Chosun University Hospital with cerebral infarction and underwent transcranial ultrasonography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 Of the 129 patients, 47 were female (36.4%).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0.7±8.0 years. Fifty patients (38.8%) did not showed any blood flow signal due to poor temporal window. The mean age of patients with temporal window failure (83.8±6.0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thout temporal window failure (78.7±8.5), and the temporal window failu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In conclusion, temporal window failure was more common in elderly and women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emporal bone thickness and heterogeneity of temporal bone due to osteoporosis, hyperlipidemia may also be associated with temporal window failure and future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199.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both leaching of heavy metals and ecological toxicity when coal bottom ash (CBA) generated by power plants has been used to reduce both erosion and turbidity of surface runoff at construction sites. The Korean leaching test (KLT) method,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and acute toxicity test using Daphnia magna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the ecological risks of CB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KLT method of CBA, trace amounts of Cu were leached at limit of quantitation whereas metal leaching was not monitored for other heavy metals. Through the sequential extraction method of CBA, the relatively high leaching potential was found for As and Pb due to greater fraction of exchangeable (F1) and bound to carbonates (F2), and reasonable probability of leaching under the reducing/anaerobic environment was expected for Cu due to high faction of bound to Fe?Mn oxides (F3). However, significantly low probability of leaching was expected for Cd, Cr, Ni, and Zn with grater fractions of bound to organic matter (F4) and residual (F5). Additionally, total amount of heavy metals in CBA was lower than criteria for soil pollution concerns, and were similar or slightly lower levels than the ‘15 National soil average concentration excluding Cr6+. Finally, acute toxicity test using Daphnia magna display no impact for mobilization and lethality in either the prefiltration or post-filtration experiment, indicating that the ecological toxicity was insignificant with zero values of toxic unit. Consequently, no environmental impacts or ecological toxicity are expected when CBA generated by power plants has been used to reduce both erosion and turbidity of surface runoff at construction sites.
        200.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 및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의 집단패사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83년 국내에 도입되어 양식과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활용되고 있는 왕우렁이의 종(species)은 연체동물문(Mollusca), 복족강(Gastropoda), 중복족목(Mesogastropoda), Ampulariidae과, Pomacea속에 속하는 Pomacea canaliculata Lamarck이다. 왕우렁이의 생리․생태적 특성조사 결과 왕우렁이 성체들이 국내에서 월동되고 있으나 왕우렁이 알로는 월동되지 못하고 있다. 수컷과 암컷의 비율은 1:1.99~2.33배로 암컷의 구성비가 높았다. 생장량은 1일에 87.7 mg이었으며, 껍질은 각고가 0.31 mm, 각경이 0.33 mm씩 자랐다. 왕우렁이의 생장은 먹이의 조건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매우 빠른 생장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건조에 대한 저항성은 매우 강하여 3개월까지 생존율이 약 80%에 달하였다. 왕우렁이 서식에 따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다량의 서식 밀도에서는 약간의 영향을 줄 수는 있겠으나,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되는 밀도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벼 이앙초기에 투입되는 왕우렁이가 2~3일이내에 일시에 집단 패사되는 직접적인 원인은 미소생물인 패충류(참씨벌레)에 의하여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만 패충류 (참씨벌레)에 의하여 패사되는 비율은 밀도에 따라 2.86%와 5.71%로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논 잡초방제를 위하여 투입된 왕우렁이들은 벼 이앙시기가 빨라지고, 일교차가 커지면서 추운 저온의 날씨로 인하여 논의 흙속으로 들어가서 죽거나 일부는 새의 먹이가 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다량이 죽은 것으로 오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