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7

        301.
        200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raction of mastoparan B, a cationic tetradecapeptide amide isolated from the hornet Vespa basalis, with phospholipid bilayers was studied with synthetic mastoparan B and its analogue with Ala instead of hydrophobic 12th amino acid residue in mastoparan B. MP-B and its derivative, [12-Ala]MP-B were synthesized by the solid-phase peptide synthesis method. MP-B and its analogue, [12-Ala]MP-B adopted an unordered structure in buffer solution. In the presence of neutral and acidic liposomes, the peptides took an α-helical structure. The two peptides interacted with neutral and acidic lipid bilay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drophobic face in the amphipathic α-helix of MP-B critically affected the biological activity and helical content.
        302.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신품종 "안풍"은 작물시험장에서 지역수집종을 개체 및 집단선발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수원, 평창, 봉화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추대 고품질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2001년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위원회에서 신규품종으로 결정되어 품종보호출원을 하였다. 안풍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엽색은 녹색이고 줄기색은 녹색에 자색을 띠며 꽃색은 적자색이고 종피색은 담갈색이다. 뿌리의 표피는 황갈색이고 육질은 백색이다. 2. 초장은 만추당귀 보다 길며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만추당귀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뿌리는 만추당귀에 비하여 근장이 길고 근경이 굵으며 지근수가 많아 주당 건근중이 무거웠다. 3. 점무늬병은 만추당귀와 비슷하였으나 뿌리썩음병은 다소 적었다. 응애는 만추당귀와 비슷하였다. 4. 온상육묘이식 재배시 1년차에 안풍의 추대율은 0.6%로 만추당귀 0.3%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진부재래 49.3%보다 낮았다. 노지육묘이식 재배시 2년차에 추대 및 개화되는 정도는 0~15%정도이다. 5. 3개지역 3년간 안풍의 평균수량은 3,630 kg/ha로 만추당귀 3,270 kg/ha보다 11% 증수되었다. 6. 안풍의 엑스함량은 46.3%, 데쿠루신은 3.48%, 데쿠루시놀 안젤라이트는 2.79%로 주요성분 모두 만추당귀 보다 높았다.
        303.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04.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β-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305.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grange 방법과 B-spline 기법을 이용한 경계요소법으로 경사면에 작용하는 고립파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대 처오름높이는 실험자료와 비교한 결과, 기존의 경계요소법에 의한 결과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다. 또한, 벽면 경사각의 변화에 따른 최대 처오름높이와 속도벡터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경사면에 작용하는 동수압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306.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tivated carbon is amorphous and its intraparticle pores are well developed. Thus it has high adsorption capabilities and catalytic effect, and is utilized in many areas of industries such as food processing. In recent years, the demand of activated carbon has been increas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waste treatment and removal of poisonous gas. Therefore, in this study an activated carbon was made using the waste and the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d activated carb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carbonization yield was decreased when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400 to 600℃ and that the optimal carbonization temperature was 500℃.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aOH for removing ash in the raw sample was 1~2N. The iodine adsorption of activated carbon using waste sample at 500℃ carbonization was 1204.28mg/g. The activation result of carbonization sample showed that the optimal activation condition was the carbonization at 500℃ and the activation at 800℃. So the production of activated carbon was thought to be possible, reused as resource, and decrease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307.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growth and heavy metal experiments revealed op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oxic metals(Zn and Cd) and Mn when the coastal diatom T. pseudonana were used. Cd and Zn inhibited the algal growth rate only at low Mn ion concentrations and this effect could be accounted for an inhibition of cellular Mn take by the toxic metals. Mn and Zn inhibited cellular Cd take and this indicated a reciprocal effects among the metals with respect to metal take. Saturation kinetics modeling of the take data was consistent with two metals competing with each other for binding to the Mn take system and with both Cd and Mn being transported into the cell by that system. Mathematical modeling of Mn and Cd take data revealed evidence for a Cd efflux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