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7

        306.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niotic membrane stem cells are considered as a good alternative to embryonic stem cells, but their use in clinical studies is still not common. Here, exosomes from canine amniotic membrane mesenchymal stem cells (cAmMSCexo) were used for dog sperm cryopreservation. Upon cryopreserved straws using cryoprotectant containing 0, 0.5, 1, or 2 μg/mL of cAmMSC-exo were thawed, motility and membrane integrity were analyzed. However,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 concluded that cAmMSC-exo with lower than 2 µg/mL have no effects on sperm cryopreservation, and further studies to get higher concentrations of cAmMSC-exo should be conducted for clinical application.
        4,000원
        307.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Willd. Ex Klotzch) ‘Flame’ 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5년에 육성한 품종이다. ‘Flame’ 은 단일감응기간이 짧은 적색 포엽의 깊은 열편을 가진 ‘Eckalba’ 와 밝은 적색의 포엽을 가진 국내 육성 품종 ‘Candle Light’를 2013년에 교배하여 획득한 실생 계통을 선발 육성하였다. 2014 년부터 2015년까지 생육 및 개화 특성, 균일성에 대하여 1, 2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15년에 3차 특성검정을 실시하여 최종선발한 후 직무육성품종심의회에 상정하여 ‘Flame’으로 명명하였다. ‘Flame’ 품종의 포엽은 밝은 적색을 띠며 열편이 깊다. 초장과 초폭은 중간이나 적심하지 않아도 많은 분지가 발생하여 풍성한 수형을 이룬다. 단일처리후 약 7.5주가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이 품종은 2018년 1월 24일에 국립 종자원에 품종등록(등록번호 6921호)되었다.
        3,000원
        30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dmium (Cd) toxicity is a serious limitation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study, we explored tolerance mechanism associated with Cd toxicity tolerance in alfalfa plants. We used three distinct alfalfa cultivars M. sativa cv. Vernal, M. sativa cv. Zhung Mu, and M. sativa cv. Xing Jiang Daye in this study. Cd showed declined chlorophyll score in Xing Jiang Daye compared with Zhung Mu and Vernal. No significant change observed among the cultivars for root and shoot length.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accumulation of Cd, Fe, S and PC in distinct alfalfa cultivars. However, Zhung Mu and Xing Jiang Daye declined Cd accumulation in root, where Fe, S and PC incremented only in Zhung Mu. It suggests that excess Cd in Zhung Mu possibly inhibited in root by the increased accumulation of Fe, S and PC. This was further confirmed by the response of Fe (MsIRT1) and S transporters (MsSULTR1;2 and MsSULTR1;3), and MsPCS1 genes associated with Fe, S and PC availability and translocation in roots and shoots. It suggests that specially the transcript signal inducing the responses to adjust Cd especially in Zhung Mu. This finding provides the essential background for further molecular breeding program for forage crops.
        4,000원
        309.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에 절화용으로 개발되지 않았던 벼룩이울타리를 절화로써의 가치와 가능성을 증명함으로써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온도, 보존용액, 절화 수명연장제에 따른 절화 벼룩이울타리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절화수명, 수분흡수량, 생체중을 조사하였다. 수확 후 절화는 4, 15, 20, 25°C의 온도 조건에 따른 영향력과 1, 3% sucrose 와 8-hydroxqui-noline sulfate(8-HQS) 10, 50, 100mg・L-1 혼 용보존용액, 절화수명연장제 Chrysal와 Floarlife을 처리하였다. 저장 온도에 따른 실험 결과, 절화 벼룩이울타리는 저온 (4°C)에서의 저장에서의 절화수명이 대조구(7.8일)보다 29일 연장되었다. 온도가 낮을수록 절화의 품질과 수명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ucrose와 8-HQS의 효과 확인을 위해 가장 낮은 농도의 당과 살균제를 혼용한 1% sucrose+8-HQS 10mg・L-1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보존용액 대조구(6.5±0.5일)에 비하여 절화수명이 약 2주 연장되었다. 또한, 절화수명연장제 Chrysal 과 Floarlife는 sucrose와 8-HQS의 혼용보존용액과 절화수명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모든 실험 조건에서 수분흡수량과 생체중의 급격한 감소는 절화수명의 단축됨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1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몇가지 전처리제 및 보존용액 처리가 국내 육성 절화 프리지아 ‘Gold Rich’의 수확후 절화수명과 개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0% sucrose, 200mg・L-1 Al2(SO4)3, 200mg・L-1 GA3, 150mg・L-1 citric acid가 혼용된 전처리 용액에서 절화 관상 기간 동안 수분 흡수량과 생체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절화수명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존용액으로 5% sucrose와 살균제인 300mg・L-1 8-HQ를 혼용 처리하였을 때 절화수명 연장(1일 이상), 높은 개화율(82.3~89.1%) 및 만개율(71.5~84.2%) 등의 개화 품질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10% sucrose, 200mg・L-1 Al2(SO4)3, 200mg・L-1 GA3, 150mg・L-1 citric acid를 혼합한 전처리제와 5% sucrose, 300mg・L-1 8-HQ를 혼합한 보존용액 처리는 절화수명 연장, 개화율 및 만개율 증가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특히, sucrose가 포함된 보존용액은 절화 프리지아 ‘Gold Rich’ 의 상품성 향상에 있어 매우 유용할 것이다.
        4,000원
        311.
        202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lon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s, but there are still a few validated biomarkers of colon cancer. Exosome-mediated microRNAs (miRNAs) have been recognized as potential biomarkers in cancers, and miRNAs can regulate a variety of genes. Recently, Fusobacterium nucleatum was discovered in the tissues of human colon cancer patients. Its role in colon cancer was highlighted. F. nucleatum may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colon cancer through the mechanism of exosome-mediated miRNAs transfer. However, the exosomal miRNAs regulation mechanism by F. nucleatum in colon cancer is not well known. Thus, we performed next-generation sequencing to investigate the overall pattern of exosomal miRNAs expression in the colon cancer cell culture supernatant. We have confirmed the alterations of various exosomal miRNA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exosomal miRNAs, a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arget genes of changed miRNAs. Potential target genes wer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signaling pathways, and one of these pathways was related to colorectal canc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F. nucleatum can alter exosomal miRNAs released from colorectal cancer cells. Furthermore, exosomal miRNAs altered by F. nucleatum could be potential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and therapy of colon cancer.
        4,000원
        312.
        202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mer proteins are scaffold proteins that regulate calcium (Ca2+) signaling by modulating the activity of multiple Ca2+ signaling proteins. In our previous report, Homer2 and Homer3 regulated NFATc1 function through its interaction with calcineurin, which then acted to regulate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and bone metabolism. However, to date, the role of Homers in osteoclastogenesis remains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s of Homer2 and Homer3 in aging-dependent bone remodeling. Deletion of Homer2 /Homer3 (Homer2/3 DKO) markedly decreased the bone density of the femur. The decrease in bone density was not seen in mice with Homer2 (Homer2−/−) and Homer3 (Homer3−/−) deletion. Moreover, RANKL treatment of bone marrow-derived monocytes/macrophages in Homer2/3 DKO mi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ormation of multinucleated cells and resorption areas. Finally, Homer2/3 DKO mice decreased bone density in an aging-dependent manner. These findings suggest a novel potent mode of bone homeostasis regulation through osteoclasts differentiation during aging by Homer proteins, specifically Homer2 and Homer3.
        4,000원
        31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광 환경이 자생 Veronica속 4종 구와꼬리풀, 봉래꼬리풀, 부산꼬리풀, 큰구와꼬리풀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중 봉래꼬리풀은 희귀 및 특산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이며 부산꼬리풀은 우리나라에서도 부산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자 자료부족종으로 분류된다. 실험은 2018년 3월 30일부 터 2018년 8월 17일까지 수행되었으며 Veronica속 4종을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하였다. 구와꼬리풀을 0~6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의 생체중이 무겁고 엽수 및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유의하게 좋았다. 큰구와꼬리풀의 줄기 두께는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유의하게 얇아져 생장이 불량하였다. 구와꼬리풀과 큰구와꼬리풀은 0~60% 환경에서 재배시 모든 개체가 개화하였으며 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개화소요일수가 짧 아졌다. 봉래꼬리풀은 0~4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60~90% 차광환경에서 재배한 개체보다 지상부 및 건물증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생육이 좋았으며, 관상가치 측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부산꼬리풀의 관상가치는 0, 40, 60, 90% 차광환경에서 재배시 각각 4.0, 3.0, 2.2, 1.0점으로 조사되어 동일한 Veronica속이라도 종에 따라서 광 민감도가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4,000원
        315.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rein, we report significantly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imide (PI) by incorporating a small amount (0.01 wt %) of individualized boron-doped high-quality graphene as a filler. The boron-doped expandable graphite (B-EG) was synthesized by mixing boric acid ( H3BO4) with expandable graphite (EG) and thermally treating the mixture at 2450 °C for 30 min using a graphite furnace in an argon atmosphere. The boron-doped graphene (B-g) was prepared by the solution-phase exfoliation of B-EG with an ultrasonication process, which is a method to obtain individualized graphene as well as few-layer graphene. The PI nanocomposites were prepared using the obtained graphene. The PI nanocomposites synthesized with high-quality B-graphene (B-g) showe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conductivity compared to those of pure PI due to the doping effects and strong interfacial interactions between graphene and the PI matrix.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