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2.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원예치료에서 다양한 활동기법이라고 할 수 있는 화훼작품을 이용한 원예전시회를 통해 작품들을 선보이고 각각의 작품들이 갖는 미적가치와 작품을 제작하고픈 성취욕에 대한 일반인들의 참여의식을 고취하여 원예치료를 홍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시회는 2007년 4월 13일부터 4월 15일 까지 3일 동안 실시하였고, 전시된 작품들은 모두 11가지 작품들로 허브, 난, 코사지, 부케, 조화, 꽃바구니, 꽃꽂이, 압화, 자연프린팅, 사탕부케, 미니정원 등이다. 전시된 원예치료 작품을 방문객들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적으로 폐품을 재활용한 미니정원(바구니)과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연프린팅 작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원예활동 흥미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예치료를 적용하면 효과적인 대상에 대한 결과로 스트레스를 받는 모든 사람들이라고 응답하였다.
        30.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 프로그램 효과의 과학적인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한 코티졸호르몬 농도 측정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프로그램 결과 코티졸농도가 치료 전 평균 0.159948㎍/㎗에서 치료 후 평균 0.077506㎍/㎗로서 코티졸농도가 평균 52.9%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 전·후의 코티졸농도를 조사한 결과 치료 전 평균 0.121812㎍/㎗에서 치료 후 평균 0.082912㎍/㎗로서 코티졸농도가 31.9%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성인보다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더욱 효과가 크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31.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트재배와 C-형강재배에서 공히 심지길이에서 20cm가 모든 토양에서 양호한 생육결과를 나타내었고, 토양별로는 유비토실이 모든 심지길이 처리에서 제일 좋은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펄라이트와 코이어의 혼용처리비율간에는 심지길이에 따라 생육량이 변화는 경향을 보였다. 관수방법에 따른 생장량의 비교에서 같은 처리조건에서 매트관수가 C-형감심지재배 보다 지상부 건물중이 무거웠으나 초장이나 열매의 생육량은 두 처리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분지수에 있어서는 유비토실이 사용시 C-형강재배에서가 매트재배에서보다 1개 정도 많은 수치를 보였다.
        33.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Penn-Al,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L.) Palmer Ⅱ, Kentucky bluegrass(Poa prantensi L.) Nassou,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Boonsai 2000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대한 칼륨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2003년 6월 7일부터 7월 21일까지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으며, 칼륨처리는 0me/L에서 8me/L 범위였다. Creeping bentgrassPenn-Al의 초장은 K 농도 2me/L 처리에서 가장 길었지만 K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분얼수도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Perennial ryegrassPalmer Ⅱ의 초장,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 분얼수 모두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Kentucky bluegrassNassou의 초장과 분얼수는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지만 무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Tall fescueBoonsai 2000의 초장,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 4me/L 처리에서 양호하였지만 무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분얼수는 K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신초 내 무기성분 함량은 K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K 함량이 많았고, 반대로 Ca과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N와 P는 큰 영향이 없었다.
        3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외래도입 병솔꽃나무(Callistemon citrinus)의 개화결실 습성과 효율적인 증식방법을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병솔꽃나무의 삭과는 개화후 4년간 가지에 존속하며, 종자의 수와 크기는 3년생 삭과와 2년생 삭과가 비슷한 반면 1년생 삭과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삭과로부터 종자를 탈리시키기 위해 건조시킨 결과 삭과의 상대 수분함량이 약 75%일 때 삭과열개율이 100%에 달했다. 발아율은 30℃에서 건조시킨 종자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 2년생 삭과에서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이 높았다. 반면 50, 70℃에서 건조되어 탈리된 종자의 발아율은 낮았다. 가을철 2차 개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봄철 개화 후 삭과가 달린 가지를 전정한 개체에서는 모든 개체에서 가을에 개화하였으며 , 개화량은 평균 14송이였다. 반숙지를 IBA 100mgι-1 에 24시간 침적처리한 결과 86.4%가 발근되었으며, 평균 12.6개의 1차근을 가지며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3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의 생장점 배양을 통하여 생산된 소량의 소괴경(microtuber)을 경삽하여 균일하게 생장된 플러그우량묘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삽수를 정단 및 기부부위로 구분하고 NAA 및 IAA 10 mg /1 용액에 2시간 침지하여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 혼용배지를 이용한 삽목과 온로장 처리 ,포장정식후 괴경형성효을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의 소괴경 유내 줄기를 이용한 플러그 삽목시 고체배지는 cocopeat, vermiculite, perlite, peatmoss를 이용한 혼합배지에서 플러그의 형성율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2. 고온장일조건(20℃ 이상, 16시간의 일장)에서는 지상부생육 및 지하부발근이 양호하였으나, 외부방치구에서는 발근이 부진하고 복지가 발생하여 소괴경이 형성되었다. 3. 지상, 지하부 생체중은 생장조절제 전처리시 NAA 10mg/1 및 IAA 10mg/1 간에 차이가 없었다. 4. 삽수부위별로는 삽목묘의 초기생육은 초장에서는 비슷한 경향이었고, 그 외 엽수, 근수, 근장 등의 형질은 정단부위묘가 양호하였지만, 포장정식 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삽목묘를 봄재배하여 괴경형성여부를 시험한 결과 초장은 70~80cm, 복지수 10여개, 괴경수는 7~8개가 형성되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