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21.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모든 식물은 수분이 생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수분함량에 따라 대사활성이 제한을 받는데, 토양은 수분저 장과 양분을 공급하면서 식물의 뿌리 및 생육에 영향을 미 친다. 그러나 수분이 과도한 경우 토양표면의 견밀도를 증 가시키고 식물의 뿌리와 미생물의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산 화탄소가 증가하여 식물의 생육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하여 특수식재지연인 논 매립지, 쓰레기 매 립지, 임해 매립지 등에서는 배수불량에 의해 수목의 피해 가 크게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국내외 연구결 과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배수불량에 다른 식물생육상태 분석연구, 매립지내 토양과 식물생육과의 관계를 규명한 논 문으로 토양 내 배수불량 개선을 위한 기법을 적용한 실증 및 실험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특히 유공관 등의 기능성파 이프 적용성 및 효율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였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배수불량지역 내 식재된 수목의 생육증진을 위해 기능성파이프를 적용한 후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을 검증하여 향후 척박지 토양, 배수불량 식재기반 내 식재 설계 시 기초자료로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충청북도 충주시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 스 내에서 2013년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으며 실험구 는 가로 66cm, 높이 69cm의 원형 고무용기를 사용 하였다. 식재기반 조성은 배수층 10cm를 펄라이트로 포설 후 마사 토를 이용하여 동일하게 조성하였으며 유형은 총 2종(은행 나무, 왕벚나무)의 수목과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식재기반 유형으로는 무처리의 Control(이하 C), TPH관에 쇄석을 채운 유공관 (이하 Tc), PE망에 발포시킨 규사와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다공질경량체를 채운 기능성파이 프를 각각 1개, 2개 식재한 유형으로 (이하 Pv₁, Pv₂) 조성 하였다. 이후 관습 및 배수불량 처리를 위해 주 1회 Over Flow 방식으로 두상관수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방법으로 토양측정과 생육측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우선, 토양측정 항목에는 토양수분 무게변화 와 토양수분,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온도 를 조사하였다. 토양수분 무게 변화는 모든 실험구에 6일 동안 매일 관수한 후 표토아래 10cm 부근에서 토양을 채취 하여 자연건조를 통해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토양전기전 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수분과 온도는 EC-300을 사용하여 표토 아래 10cm 부근을 측정하였다. 두 번째로 생육측정의 항목에는 수고, 흉고직경, 엽록소량, 시각적질 을 측정하였다. 수고는 수고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 며, 근원직경은 Calipers를 사용하여 측정지점을 동일하게 설정 후 측정하였고, 엽록소 함량은 엽록소측정기(SPAP-5 02,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여 평 균값을 사용하였다. 시각적질은 수목의 현 상태를 직접 시 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목건강도지표를 참고하여 1등급 에서 4등급으로 나누어 수목의 시각적질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토양특성과 생육특성으로 분류하여 모니 터링을 실시하였다. 우선 토양특성을 살펴보면, 토양수분 무게변화는 Pv₂ > Pv₁ > Tc > C 순으로 나타났다. 왕벚나 무의 토양수분 무게변화는 Pv₂유형이 가장 빠른 3일만에 초기값으로 돌아갔으며 은행나무의 경우 Pv₂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빠른 4일만에 초기값으로 돌아가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반면 C유형의 경우 왕벚나무와 은행나무 모두 6일만에 가장 늦게 초기값으로 감소하였다. 토양수분 은 기온이 가장 높은 8월에 모든 유형을 배수불량지역으로 조성하고 관수하였으며 조성 후 토양수분이 85%이상이 되 도록 유지, 관리하였다. 왕벚나무의 경우 토양수분이 C > Tc > Pv₂ > Pv₁ 순으로 나타났으며 은행나무의 경우 토양 수분이 C > Tc > Pv₁ > Pv₂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E C)는 두 수종 모두 7월부터 8월 초까지 장마기간으로 인해 전기전도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배수불량지역으로 조성한 8월 이후 전기전도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점차 감소하였다. 토양온도는 두 수종 모두 Pv₂ > Tc > Pv₁ > C 순으로 나타 났으며 외기온도보다 더 높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다.생육특성은 배수불량지역 조성 이후 측정을 하였을 때 두 수종 모두 수고 변화량은 Pv₂ > Pv₁ > Tc > C 순으로 분석되었다. 왕벚나무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Pv₂유형이 초기의 수고보다 5cm 높게 생장하다가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유형이 초기 수고보다 2cm 가장 적게 생장하 다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은행나무도 마찬가지로 Pv ₂유형이 초기 수고보다 3cm 높게 생장하다 유지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C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수고의 생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원직경의 변화량은 두 수 종 모두 수고와 마찬가지로 Pv₂ > Pv₁ > Tc > C 순으로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왕벚나무의 경우 Pv₂ > Pv₁, Tc > C 순으로, 은행나무의 경우 Pv₂ > Pv₁ > Tc > C 순으로 나타났으며 두 수종 모두 8월 초에 배수불량지역 배수불량 지역으로 조성 후 엽록소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다. 시각적질은 두 수종 모두 Pv₂유형이 다른 유형에 비해 수목건강도가 오랫동안 지속되었으며 C유형 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일찍 수목건강도가 떨어지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2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criteria of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is developed to rank the combinatorial technologies for SWG (Smart Water Grid) system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Security, safety, solution, suitability and sustainability which are goals of SWG technology, are used as upper level hierarchy elements. And three detailed elements for each upper level hierarchy are adopted as the lower level hierarchy. The weighted value which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could be deter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ccomplished by groups of specialists who are engaged in relevant waster industry and research area.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a simulation on four decision alternatives for smart water grid was carried out as an evaluation. Consequently which showed 90 % of accuracy.
        4,000원
        2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교의 옥외공간 중 학생들의 휴식 및 활동량이 가장 많고, 높은 열과 낮은 열을 가지는 운동장 및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 중 UTCI, PMV, WBGT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열적 쾌적성을 비교 ․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학교시설(3개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3년 7 ~ 8월까지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으로 열적 쾌적성 지표의 경우 UTCI, PMV, WBGT를, 녹지구조는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를 측정하였다. 학교별 녹지용적계수는 A학교(4.71㎥/㎡) > B학교(3.34㎥/㎡) > C학교(0.38㎥/㎡)의 순이었으며 학교별 열적 쾌적성 지표를 살펴보면, UTCI는 녹지공간 32.30~35.68℃, 운동장 40.66~42.94℃, PMV수치는 녹지공간 1.76~2.66이었으며 운동장은 모두 3으로 나타났다. WBGT는 녹지공간 26.15~31.38℃, 운동장 31.67~34.53℃이었다. 3개 지표 모두 녹지공간 대비 운동장에서 매우 불쾌적한 수준이었다. 열적 쾌적성 및 녹지와의 상관분석결과, 열적 쾌적성 지표인 UTCI, PMV, WBGT 모두 일사, 흑구온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녹피율 및 녹지용적계수와는 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4,000원
        2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도시의 발달로 건물과 불투수포장면의 증가는 도시 열환경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으로 도시열섬현 상이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도시열섬완화를 위해 다양한 방 법이 모색되고 있으며, 녹지의 확보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 다. 그러나 도심에서는 녹지 확보 공간이 불충분하여 벽면 녹화 등의 건축물 녹화가 최선의 대안으로 여겨진다. 특히 벽면녹화는 도시환경 개선뿐 아니라, 건물의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건물의 벽면은 거의 무기물로 되어있어 열전도율이 높아 냉난부하 가 커지게 된다. 냉난방부하를 낮추기 위한 노력들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으나 저에너지 벽면녹화에 대한 연구들이 부 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시대적 흐름과 일치 하는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저감을 위한 친환경적 해결방안 인 벽면녹화에서 식재기반재별 에너지저감 성능을 분석하 여 저에너지 벽면녹화시스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 다. 식재기반에 따른 에너지저감 성능 분석을 위해 연구대상 지는 충북 충주시에 Test-Bed를 조성하였다. Test-Bed는 가 로 1.3m, 세로 2.0m, 폭 0.6m 규모의 철골구조물로 식재기 반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식재기반 조성은 Control의 개념인 콘크리트 블록 CT, 무기성기반재인 IP, 식물체의 유기물로 구성된 CC, 상토를 기반으로한 BC, 마 사토를 기반으로한 GC로 구성하였다. 공시식물은 세덤류 인 기린초, 흰꽃세덤과 피복율이 양호한 잔디로 선정하였 다. 조사분석방법으로는 식재기반의 증발량은 관수 후 중력 수를 제거한 후 부터 저울을 이용해 무게변화를 측정하였 고, 표면온도는 열전대(T-type)를 기반재에 설치하고 Data Logger(GL-820, GRAPHTEC)로 일일 30분 단위로 저장하 였다. 열전도율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 였으며, 평균온도 20℃에서 시험방법 KS L 9016:2010을 통해 측정되었다. 열관류율 분석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 계기준에서 중부지역의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외벽은 0.36 W/㎡·K 으로 규정되어있으며, 식재기반재는 건물외 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법적기준 재료에 식재기반을 결합한 두께를 100mm로 정하여 열관류율 값을 산정하였다. 건물 에너지 저감 성능 분석에 이용된 시뮬레이션은 국제적으로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 Design Builder 3.0(Energy Plus 7.0)을 활용하였으며 기상은 중부지역의 충주기상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적용 모델의 건물은 3층 규모로 설정하였으며 연면적 1,200㎡, 창면적 210㎡, 실의 냉난방 온도는 냉방 26℃, 난방 22℃로 하였고 냉난방기기는 터보냉동기와 온 수보일러를 적용하였다. 재료별 검토는 법적기준 대비 3가 지 재료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BC의 경우 IP의 열전도율 값의 차이가 없어 제외하였다. 식재기반별 증발량지속시간 측정 결과, IP 62시간, CC 62시간, BC 64시간, GC 65시간을 유지하였으며 GC가 가 장 긴 유지시간을 나타내었다. 또한 식재기반재별 일일 증 발량 특성으로는 1일차에는 수분함보유량이 높아 오전부터 일평균에 가까운 량을 증발하였으며, 재료별 증발량이 가장 높은 시간은 11시~17시 이었다. 봄철 표면온도 측정결과는 11시에 CT > IP > GC > CC > BC 순이었으며 CT와 식재기반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 14시에는 CT > IP > BC > GC > CC 순으로 나타났으며 CT와 식재기반간의 유의차를 보였다. 또한 봄철 표면온도 일일 변화는 일사가 높아지는 오전 9시 이후 부터 CT의 표면온도가 다른 식재기반재에 비해 높아졌으며, CT가 식 재기반재에 비해 1.1~2.5℃ 높게 나타났다. 여름철 표면온도 분석결과 11시에 IP > CC > CT > GC > BC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반재별 유의차가 나타났다. 온 도가 가장 높아지는 14시에는 기반재간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으며, 강한 일사로 인해 표면온도 차이가 없는 것 으로 판단되었다. 17시에는 CT > IP = CC > GC > BC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반재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름철 표면온도 일일 변화는 IP, CC보다 CT의 온도가 낮게 나타 났으며, 15시 이후 CT온도가 높게 나타나며 20시 이후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식재기반재별 온도저감 결과 봄철 11시 BC > IP > GC > CC 순으로 나타났으며, 14시에는 IP가 가장 높게 나타났 다. 17시의 경우 IP가 다른기반재 보다 높은 온도저감을 보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여름철의 경우 11시에 BC > GC > CC > IP 순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일 변화 는 13시부터 식재기반재에서 온도차이가 나타났으며 15시 에 가장 큰 온도저감을 보였다. 에너지저감성능평가를 위해 우선, 측정한 열전도율값과 열관류율 값은 CC > IP > BC > GC 순이었다. 에너지 성능 시뮬레이션 적용 결과, 식재기반재별 냉난방피크 에너지사 용량은 법적기준대비 GC > IP > CC 순이며, 저감율은 0.88%, 0.94%, 1.01%이었다. 연간 냉난방부하는 법적기준 대비 GC > IP > CC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저감율은 각각 10.85%, 11.81%, 13.34%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결과 로부터 법적기준 외벽의 단열성능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 벽면녹화 식재기반재 적용에 따른 연간부하의 저감효과는 최소 10.85%이상 확보는 가능하나 기반재별 차이는 최대 2.49%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대도심지의 지역 별, 건물용도별, 창면적비별 적용에 따른 추후 연구를 통해 저에너지 식재기반재의 실제 적용 후 에너지 저감량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과 더불어 유기화합물에 의한 신종 질환 발생 등 사회 ․ 환경적 문제 해결을 위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선진국들은 자국의 실정에 적합한 환경 친화적 건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전국적인 주택보급사업 등의 영향으로 인한 신축학교의 증가 및 민간투자사업 (BTL)선정 시, 각 시 ․ 도교육청이 녹색건축물 인증 획득을 의무화한 영향으로 인증제도는 빠른 보급 및 정착을 보여 주고 있다. 학교시설의 환경 친화적 계획은 미래 사회의 원 동력이 될 학생들을 위한 실제적인 실외 건강환경 개선뿐 아니라, 환경 및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자연 스럽게 노출시킴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특성 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시설은 학생들의 실질적 체 험을 통해 친환경 개념의 중요성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단순히 인증 획득을 목적으로 하 는 최소조건의 친환경 계획은 이를 접하는 학생들에게 오히 려 '녹색 건축'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 녹색 건축 인증 평가항목 중 생태환경 부분에서 외부를 평가하는 항목은 존재하였지만 평가항목 중 학생들의 실외 건강환경 개선에 대한 인증평가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 는 국내 · 외 녹색건축 인증 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새로운 평가지표인 실외 건강지표에 대한 항목 을 도출하여 국내에 인증 / 비인증 학교시설를 대상으로 조 사분석 및 평가하여 녹색건축 인증기준의 기초자료로 제시 하고자 하였다. 실외 건강지표는 크게 열적 쾌적성 지표, 음이온, 녹지의 양을 각각 선정하였다. 이중 평균복사온도, 착의량, 대사량, 기류 등을 고려하여 열적 쾌적성 지표 중 UTCI, PMV, WBGT를 측정하였다. 녹지의 양은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 를 각각 고려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인천광역시 남구 및 남동구의 학교시설 중 녹색건축 인증을 받은 학교와 인천광역시 녹지보전 및 녹화 추진사업에서 선정된 학교시설을 대상으로 토지피복현황 이 같은 학교들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지를 녹색건 축 인증기준의 생태환경부문 평가를 실시하여 점수분포에 따라 유형Ⅰ, 유형Ⅱ, 유형Ⅲ으로 분류하였다. 조사기간은 열섬현상과 열적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여름으로 선정하였 으며, 장마기간이 지난 후인 7월 29일 ~ 8월 18일까지 실시 하였다. 측정지점은 토지피복현황에 따라 녹지, 수면, 건폐 지, 포장지, 운동장으로 나누었으며, 본 연구에서 선정된 학 교는 학교측의 요구로 인해 실제 학교명을 명시하지 않고 기호로 설정하였다. 학교별 기상특성의 경우 모든 학교에서 큰 유의차를 보이 지 않았으며, 유형Ⅰ C학교 운동장의 경우 에폭시 포장으 로, G학교 운동장의 경우 인조잔디로 조성되어있었다. C학 교 건폐지의 경우 벽면녹화 조성에 따라 다른 학교의 건폐 지 보다 쾌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유형Ⅰ의 녹지면적 및 녹지량은 유형Ⅰ > 유형Ⅱ > 유형Ⅲ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지피복현황별 열적 쾌적성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녹지의 경우 UTCI 지표는 유형Ⅰ > 유형Ⅱ > 유형Ⅲ 순으 로 쾌적하였으며, PMV 지표도 UTCI 지표와 유사한 수준 이었다. WBGT 지표의 경우 유형Ⅲ에서 10시 이후 부터 옥외활동이 제한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학교간 비교분석 결과도 유형Ⅲ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가장 불쾌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둘째, 수면의 경우 UTCI 지표는 유형Ⅰ의 C학 교가 가장 일반적인 열 스트레스의 수치로 나타나 다소 쾌 적한 수준이었으며, 유형Ⅲ에서 매우 강한 열스트레스 이상 의 수치로 분석되어 다소 불쾌적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PMV 지표의 경우도 유형Ⅲ에서 9시부터 불만족율 100% 의 수치가 나타나 매우 불쾌적한 상태이었다. WBGT 지표 결과 유형Ⅰ의 G학교와 유형Ⅲ에서 9시 이후 부터 옥외활 동이 제한되는 수치가 나타났으며, 학교간 비교 분석 결과 유형Ⅲ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수면에서도 유형Ⅲ이 불쾌적 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건폐지에서 UTCI, PMV, WBGT 지표 결과 유형Ⅰ의 C학교가 벽면녹화 조성으로 인해 다른 학교들과 유의차가 나타나 매우 쾌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포장지의 경우 UTCI, PMV 지표에서 모 든 유형의 학교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아 매우 불쾌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섯째, 운동장은 포장지와 유의한 수 준이었으며, 학교간 비교 분석 결과 유형Ⅱ의 M학교에서 유의차가 나타나 매우 쾌적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토지피복현황별 음이온 분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녹지의 경우 유형Ⅲ에서 음이온 농도가 낮게 분포되는 결과 가 나타났으며, 학교간 비교 분석 결과 유형Ⅰ > 유형Ⅱ > 유형Ⅲ 순이었다. 둘째, 수면의 경우 학교간 비교분석 결 과 녹지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건폐지의 경우 유형Ⅰ C학교의 음이온 농도가 높게 분포되는 결과가 나타 났으며, 학교간 비교분석 결과 유형Ⅰ C학교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넷째, 포장지의 경우 학교간 비교 분석 결과 유의 차가 없었다. 다섯째, 운동장의 경우 유형Ⅲ 의 음이온 농도 가 낮게 분포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학교간 비교 분석 결 과 유형Ⅲ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기상 및 녹지, 열적 쾌적성, 음이온 분포 상관분석 결과 열쾌적 지표인 UTCI, PMV, WBGT 모두 일사, 흑구온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음이온, 녹피율, 녹지용적계수와는 부의 상관성이 나타나 음이온 및 녹피율, 녹지용적계수가 감소할 수록 열쾌적 지표의 수치가 높아져 불쾌적할 것으로 판단되 었다.
        2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 of Black Soldier Fly(BSF), Hermetia illucens, to determine effects of BSF on composing ability to waste-food. The distribution of BSF was defined in all parts of the country in Korea. Its main habitat was found to be areas near cattle sheds, manure sheds, living waste dump grounds, and food waste dump grounds. Observed characteristics of BSF by developmental stag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eggs were a long oval shape of 886.9±19.7 ㎛ in major axis and 190.1±9.7 ㎛ in minor axis; they were 24.0±1.6 ㎍ in weight. One adult insect laid 1001±247 eggs in quantity; days to hatch from eggs (27℃, 60% R.H.) were 81.3±12.5 hours. Larvae which were hatched appeared to be close to white and turned into pale yellow as being last instar larva. Last instar larva ranged from 20.7±1.1 mm in size, the length of larval stage was approximately 15~20 days. Pupae exhibited red brown, 19.2±1.1 mm in size; pupal state lasted 15.5±1.4 days for female, 14.7±1.4 days for male, exhibiting the tendency of males having shorter period than females. Adult insects were sized about 13~20 mm and colored black.
        2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numbers released of Apis mellifera in the strawberry(Janghui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 M., and the peak time of pollinating activity was 1P.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s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3bee combs(6,600heads) and 4bee combs(8,8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ose of 3bee combs and 4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s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in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over 98%. The fruit qualities; number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s was recorded 5bee combs with 40.8g, and 4bee combs and 3bee combs were showed with 37.8g. The marketing income of 5bee combs was 8% higher than that of 4bee combs and of 3bee combs, respectively.
        28.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ime-zone of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numbers released of Apis mellifera in the strawberry(Seolhyang var.) houses was together from 9A.M. to 4P. M., and the peak time of pollinating activity was 11A.M.. The effects on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at the strawberry houses were ordered 5bee combs(11,000heads), 4bee combs (8,800heads) and 3bee combs (6,600heads). The rate of workers lost in A. mellifera hives with 5bee combs and 4bee combs during the strawberry cultivating period were lower than that of 3bee combs. The rates of fruit set by pollinating activity relative to the comb number in the honeybee hive released at the strawberry houses were same level with over 98%. The fruit qualities; No. of seeds, sugar content and rate of normal fruit set were same level, but fruit weights were ordered 5bee combs in 37.2g, 4bee combs in 35.6g and 3bee combs in 32.6g. The marketing incomes of 4bee combs and 5bee combs were 9% to 13% higher than that of 3bee combs, respectively.
        2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ombus terrestris was released for pollination of apple flowers at apple orchards in Uileumgol, Milyang-sity, mid spring, 2008. Numbers of out-going bees and in-coming bees were 38heads at 10 a.m. and 23heads at 4 p.m., respectively. 75% bees per total in-coming bees collected the pollens about 10 a.m. and 63% bees per total in-coming bees collected the pollens around 4 p.m.. The SEM photography(A) showed that 82.7% of a pollen load were collected on apple flowers and 17.3% of a pollen load were collected from another plants and trees flowers. The another SEM photography(B) showed that 89.1% of a pollen load were collected on apple flowers and 10.9% of a pollen load were collected from another plants and trees flowers. Therefore these results show that B. terrestris mainly pollinates on the apple flowers but the bee seems to visit flowers of other plant species from time to time.
        3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BSF), has a worldwide distribution in the tropics and warm temperate regions and is active in the Korea from May through October. This species colonize a wide variety of decomposing vegetable and animal matter and oviposit in a variety of decomposing materials. In this study, how the BSF molting, adult emergence and mating rate changed by seasonal condition at the artificial rearing system was investigated. The black soldier fly larvae and pupae were reared under laboratory condition (27℃, 60% R.H.). Under the laboratory condition, molting and adult emergence were not influenced by seasonal factors such as climate, radiation intensity. But it is known that the sunligh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mating. In the previous study the time of day, temperature, and humidi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viposition and mating. The rearing of BSF throughout the year is restricted by sunlight. In this study, the data shows definitely different mating numbers throughout whole year. The time of the day and sunlight density are changed with season and it influence on artificial rearing. To culture the black soldier fly throughout the year in Korea needs a more deep study under the artificial rearing system.
        31.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static calculi are common finding in radiographic examination, however, the true incidence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are not clearly known.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prostatic calcul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tatic calcification and urolithiasis. From a database, 305 consecutive subjects older than 30 years of age who had undergone regular health checks in our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July 200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ostatic calculi and urinary stones were confirmed by non-enhanced C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rostatic calculi,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relationship with urolithiasis was determin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Among 305 male subjects, prostatic calculi were found in 97 (31.9%), which revealed a linear trend with aging (r=0.928, p=0.023), while asymptomatic upper urinary tract stones were found in 45 subjects (14.9%).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n age (p<0.001),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DM), hypertension (HT), and body mass index (BMI). In the prostatic calculi group, 24 (24.7%) subjects had previously unknown urolithiasis, while only 21 subjects (10.1%) in the non-prostatic calculi group had urinary stones. The prevalence of urolithi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with prostatic calcification than in those without prostatic calcification (OR=2.92, 95% CI: 1.53-5.58,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chemistry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mong the 45 patients with urolithias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stone siz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prostatic calcification. Our data showed that prostatic calcification was prevalent up to approximately 31.9% and was frequently combined with upper urinary tract ston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aluation for urolithiasis might be needed in patients with incidentally detected prostatic calcification.
        4,000원
        32.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evelope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among Nosema apis and Nosema ceranae in honeybee. Three sets of primers were selected from different genomic sequences to specifically amplify a 831 bp amplicon within the SSU rRNA gene, specific for both N. apis and N. ceranae (MSSR primer); a 375 bp amplicon within the SSU rRNA gene, specific for N. apis (NA primer); and a 1,131 bp amplicon within SSU rRNA gene, specific for N. ceranae (NC primer). Using the primers in conjunction (multiplex PCR) we were able to N. apis and N. ceranae an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m. The sensitivity of this PCR assay was approximately 102 spores per milliliter. We proposed that the multiplex PCR was sensitive, specific and rapid tool that can serve as a useful differential diagnostic tool for detecting N. apis and N. ceranae in honeybee.
        3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BSF). The BSF wa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Korea. The insect was mainly found in the vicinity of and in cattle sheds, manure sheds, living waste dump grounds, and food waste dump ground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BSF are as follows: the egg was long oval shaped of 887㎛ in the major axis and 190㎛ in the minor axis; it weighed 24㎍. Female oviposited ca. 1,000 eggs on average; eggs hatched in 81 hours under laboratory condition (27℃, 60% R.H.). The duration of the larval stage was approximately 15-20 days. The size of the last instar larvae was 21mm. The cuticle of the pupae gradually acquired red-brown color and the size of them was 19 mm. The pupal stage was shorter for females (16 days) than males (15 days). Adults were sized about 13-20mm long and black-colored. The life span of adult insects was 5-8 days for the first generation (June-July), 7-10 days for the second generation (Aug.-Sept.), and 13-18 days for the third generation (Sept.-Oct.). Mating started on the next day of emergence and actively occurred at the third day after emergence. Mating mostly occurred between 10:00 and 16:00 during which light intensity is highest. Egg-laying started on the third day and was most frequent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day after emergence. Similar to mating time, females oviposited mostly between 10:00 and 16:00.
        34.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otease from various sources have been studied biotecnologically. For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ne highly preferred enzyme is protease.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cloned genes encoding digestive proteases in the Laccotrephes japonenis, Ranatra unicolor, Muljarus japonicus. These insects are considered to be a predator of aquatic insects. RT-PCR was used to amplify cDNA fragments for digestive proteases from total RNA the hole body of the insects. The flanking sequences of the 5'- and 3'- end of the these genes were characterized by RACE-PCR.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se genes contained complete OR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of these protease showed 62% identity to the serine protease of Creontiades dilutus, 58% to Lygus loneolaris trypsin-like serine proteinase, 54% to Triatonatoma infestans salivary trypsin. To generate Laccotrephes japonensis serine protease, the DNA fragment coding for serine protease is cloning into suttle vector pBACⅠ, named pBAC1-JG and infected to Spodoptera frugiperda (sf9) insect cell. The cDNA encoding JG was expressed as a 32-kDa polypeptide in baculovirus infected insect cells and the recombinant protein showed activity in the protease enzyme assay using gelatin as a substrate.
        35.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eveloped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among Nosema apis and Nosema ceranae in honeybee. Three sets of primers were selected from different genomic sequences to specifically amplify a 831 bp amplicon within the SSU rRNA gene, specific for both N. apis and N. ceranae (MSSR primer); a 375 bp amplicon within the SSU rRNA gene, specific for N. apis (NA primer); and a 1,131 bp amplicon with in SSU rRNA gene, specific for N. ceranae (NC primer). Using the primers in conjunction (multiplex PCR) we were able to N. apis and N. ceranae and to differentiate between them. The sensitivity of this PCR assay was approximately 102spores per milliliter. We proposed that the multiplex PCR was sensitive, specific and rapid tool that can serve as a useful differential diagnostic tool for detecting N. apis and N. ceranae in honeybee.
        3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establish artificial indoor rearing techniques for the black soldier fly (BSF), we developed indoor rearing instructions and collection manual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of the fly. The fly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June and October at 1 month interval. Calf feed and food waste were most effective to attract adults. Collection efficiency is higher from the trap installed in a shady spot than that in an open spot. It was highest to collect flies in August and September. As the egg-laying medium for the artificial egg collection, calf feed and food waste were most effective. The optimal number of the medium (W*D*H=60*40*15cm) was 8 for 2000 adults (male:Female=1:1) in the egg-laying net (W*D*H=4*2*2m). Flower foams and wooden blocks with holes were used as egg-laying sites. Adult females preferred the holes on average 3~5mm in diameter and 7~10mm in depth for oviposition. Larvae reared in low density (2~4 individuals/㎠) showed superior practical traits than those reared in an overcrowded environment (6~10 individuals/㎠). It is important to place the fly pupae in moist sawdusts (humidity: 20~40%), since a pupa tends to hide in a refuge. Adult insects should be employed for laying eggs for food waste processing immediately after emergence. When treated at 10℃ for 10 days after pupation, emergence rate of the insect was still 93.3%. By keeping pupae at the low temperature, emergence timing could be manipulated with about 10 day flexibility.
        3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ecological character and life cycle of Black Soldier Fly(BSF), Hermetia illucens. The distribution of BSF was defined in all parts of the country in Korea. Its main habitat was found to be areas near cattle sheds, manure sheds, living waste dump grounds, and food waste dump grounds. Observed characteristics of BSF by developmental stag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eggs were a long oval shape of 886.9±19.7 ㎛ in major axis and 190.1±9.7 ㎛ in minor axis; they were 24.0±1.6 ㎍ in weight. One adult insect laid 1001±247 eggs in quantity; days to hatch from eggs (27℃, 60% R.H.) were 81.3±12.5 days. Last instar larva ranged from 20.7±1.1 mm in size, the length of larval stage was approximately 15~20 days. Pupae exhibited red brown, 19.2±1.1 mm in size; pupal state lasted 15.5±1.4 days for female, 14.7±1.4 days for male, exhibiting the tendency of males having shorter period than females. Adult insects were sized about 13~20 mm and colored black. Mating started 2 days after emergence and was most active during the 3rd day. Mating mostly occurred between 10:00 and 16:00 during which light intensity is high. Laying eggs started 3 days after emergence and was most frequent during days 4~6. Time of laying eggs during the day was similar to copulation time, showing the highest laying rate between 10:00 and 16:00.
        39.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horizon resources that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 As such, the utility of A horizon resources was examined by establishing planting ground through a mixture of soil layers and by analyz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The physic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 were as follows: the A horizon was sandy clay loam, B horizon was sandy loam, and the mixture of two layers appeared as sandy loam, which was identical to the B horizon. The experimental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of porosity and degree of water-stable aggregates. With regards to chemical properties, the A horizon as well as the mixture of A and B horizon showed acidity while the B horizon showed alkalinity. The figure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and replaceable potassium were greater as the A horizon content increased, whereas the figures of replaceable calcium, replaceable magnesium, and conductivity increased as the A horizon content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in each planting ground, the final survival rates were all above 100%. However, the tree height and the rate of growth for the diameter of roo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 horizon > A horizon + B horizon > B horizon,indicating that the increased A horizon content is relate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The treatment of soil with improvement agents, used to recover the functions of in-situ soil showing poor growth and development, did not have a clear impact on the soil texture and porosity. However, the degree of water-stable aggregates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using O horizon as the soil improvement agent among the types of in-situ soil. In contrast, all items related to the chemical proper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llowing the treatment by soil improvement agents.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soil improvement agents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inus densiflora was higher in the order of organic horizon = no treatment > compound fertilizer > organic fertilizer + compound fertilizer > organic fertilizer;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marginal significance value of the log-rank test(p < 0.05).
        40.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ydrophilic polymer (HP) mixture ratio (Control, 1.0%, 2.5%, 5.0%, and 10.0%) on growth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via green roofs.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substrate temperature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ere increased. High substrate water content (95%) was found consistently in growing media under elevated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at over 5%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Substrate electronic conductivity was in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ere increased. Growth index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It was reduced about 1/3 and 1/5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HP5.0 and HP10.0 treatment plants, respectively.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decreased in following order: Control> HP1.0> HP2.5> HP5.0> HP10.0 treatments. There numb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P5.0 and HP10.0 treatment plants.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were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They were reduced by 1/4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reatment plants. In addition, visual value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Plants grown in HP1.0, HP2.5, and HP5.0 treatments all survived. However, plants grown in the HP10.0 treatment had the lowest survival rate (56%) after 3 months of grow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vantage of adding hydrophilic polymer to green roof growing media may greater during dry periods. However, the proper mixture proportion of hydrophilic polymer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rowing media and plant specie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