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3

        382.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세포에 마(Dioscorea batatas Dence) 추출액의 전처리가 방사선 스트레스에 노출된 배양세포의 활력, 생장 및 핵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마의 분획추출물 중 EtOAc 분획추출물을 식물세포에 전처리하고 20 Gy의 방사선에 노출시키면, 마 추출물을 전처리하지 않고 방사선 20 Gy만 처리한 세포보다 세포의 활력과 생체중이 20%이상 증가하였다. Comet 분석에서 꼬리부분의 길이 (T)와 머리부분의 길이 (H)를 측정하여 T/H 비율을 조사하였다. 무처리 세포와 방사선 20 Gy를 처리한 세포의 T/H 비율은 각각 1.05 및 1.68로 나타났고, head DNA 량은 각각 86.7% 및 71.3%로 무처리 세포와 방사선을 처리한 세포간에는 큰 차이를 보여, 방사선에 의한 심각한 핵 DNA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마 추출물 중 MeOH, EtOAc 및 n-BuOH 분획추출물을 식물세포에 전처리하고 20 Gy 방사선을 처리하면, T/H 비율은 각각 1.37, 1.01 및 1.10이었고, head DNA량은 81.5%, 87.6% 및 88.7%로 방사선을 처리 하지 않은 무처리 세포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383.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산반시'를 8월 1일에 수확하여 신선한 즙액, 4~6℃에서 6개월간 저장한 것 및 상온에서 6개월간 발효시킨 것(발효액), 그리고 감식초의 특성과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감식초가 43.5로 다소 밝은데 비해 신선한 즙액과 발효액은 각각 33.1과 33.3으로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선한 즙액, 발효액 및 감식초의 무기물 함량은 전반적으로 K(1696~2,880 mg/100 g), Ca(166.7~417.9 mg/100 g), Mg(203.9~214.4 mg/100 g), P(37.9~109.8 mg/100 g), Na(13.2~23.3 mg/100 g), Fe(8.4~14.2 mg/100 g) 순으로 많았다.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발효액과 감식초에서 저해환이 16.0~35.0 mm로 높게 나타났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신선한 즙액에서 9.0~9.5 mm의 저해환을 나타낸 반면에 저온 저장한 즙액은 15.0~21.0 mm, 발효액에서는 22.0~23.0 mm, 감식초에서는 9.0~35.0 mm을 나타내었다. 발효액으로 염색한 면직물의 색상은 YR계열을 나타내었으며, 항균성은 78.5% 이상의 정균율을 나타내었다.
        384.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멀꿀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부위별 성분함량과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비타민 C는 과피에 85.23 mg/100 g, 과육에 61.67 mg/100 g가 함유되어 있었다. 총 아미노산은 과육 434.05 mg/100 g DW에 비해 과피에 762.72 mg/100 g DW으로 많았다. 무기물 함량은 과피(108.48 mg/l)에 많았으며, K(76.53 mg/l), Ca(20.20 mg/l) 및 Mg(6.22 mg/l)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메탄올 추출물 1,000 mg/l일 때 총 페놀화합물은 7.3-9.6 mg/l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1-6.7 mg/l였다. 멀꿀 메탄올 추출물 4,000 mg/l의 아질산염소거는 과피와 과육은 각각 79.5, 77.8% 인데 비해 종자는 17.1%였으며, tyrosinase 활성의 저해효과는 10.8%이하를 나타냈다. 항균활성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과피 메탄올 추출물의 저 농도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나 과육과 종자 추출물에서는 저해환 직경이 8.91~12.25 mm을 나타냈다.
        385.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프리저브드 플라워의 가공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탈수를 위한 에탄올의 적정처리시간과 글리세린을 이용한 보존용액의 적정처리 농도 및 처리시간을 구명하여 장미 'Vital'의 프리저브드 플라워 가공 상품기술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탈수처리효과는 6∼36시간 처리시 모두 탈수는 가능하여 보존액 처리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12시간 이내 탈수처리의 경우는 화색의 탈색이 덜 이루어졌고 24∼36시간처리에서는 화색의 탈색이 완전히 이루어져 경제적인 탈수처리시간은 24시간이 적정시간이라고 본다. 글리세린을 이용한 보존용액의 적정처리 농도와 처리시간에 대한 실험결과 5~10mg・L-1처리에서 최적농도로 나타났다. 보존용액 처리시간은 모두 12시간이 최적시간으로 나타났다. 보존용액처리는 글리세린 10gmL-1에서 화색, 화형, 유연성, 꽃잎말림, 기호도 등의 관능평가에서 총 평점 95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388.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t-butyl hydroperoxide(t-BHP)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원지(Polygalae Radix, PR)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세포생존율을 비롯하여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을 비롯하여 lactate dehydrogenase(LDH)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 t-BHP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C6 glioma 세포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한편, t-BHP의 세포독성에 대한 원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의 정량분석에 있어서 원지 추출물은 t-BHP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를 비롯하여 LDH 활성감소 및 SOD 유사 활성을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389.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예치료 교육, 보급 및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 측면에서 원예치료논문 60편을 대상으로 사용횟수가 많은 용어를 원예, 의학, 심리 및 사회복지 관련 용어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들 용어에 대한 일반인(기타직업) 49명, 원예학과 학생 20명, 원예치료사 21명, 사회복지사 20명, 간호사 21명의 이해도를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하였다. 원예치료관련 용어를 분야별로 구분 후 상위 20개의 사용횟수를 조사한 결과 원예 관련 용어는 2,812회, 심리학 관련용어는 1,446회, 의학 관련 용어는 1,217회, 사회복지학 관련용어는 740회가 사용되었다. 원예 관련 용어에 대해서는 원예치료사와 원예전공 학생들의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의학과 심리학 용어에 대해서는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이해도가 높았으며, 사회복지 관련 용어에 대해서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원예치료 용어에 대한 이해도는 원예치료사 및 교육대상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여 효율적인 원예치료 교육을 위해서는 교육 대상자별로 이해도가 낮은 용어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9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색장미의 변색방지 기술을 개발하고자 Al, AlK, Mg 및 CuSO4를 증류수에 0, 5, 10, 20 및 30%로 희석한 열탕(85∼90℃)에 장미 ‘카디날’ 꽃잎을 30초 동안 침지하여 건조한 후 자외선 조사에 따른 변색정도를 조사하였다. Al 용액 처리구는 a*값의 경우 5, 10% 처리구에서, b값은 20%처리구에서, △E*값은 30% 처리구에서 신선한 꽃과의 색차가 적었다. AlK 처리구는 5%와 30% 액에 처리시 신선한 꽃과의 헌트 a*, b* 및 △E*값의 차이가 적었다. Mg 처리구는 20% 및 30% 처리구에서 신선한 꽃과의 Hunter a*, b* 및 △E*값의 차이가 적었다. CuSO4 처리구는 5% 액에 처리시 신선한 꽃과의 Hunter a*, b*, △E*값 및 Munsell 표색계 H값의 차이가 적었다.
        39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활성산소종의 일종인 hydrogen peroxide(H2O2)에 대한 산수유(Cornus fructus, CF)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를 재료로 세포부착능과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H2O2는 농도 의존적으로 배양 세포의 세포부착능을 감소하였으며 XTT50값이 100 uM이하로 나타남으로서 Borenfreund와 Puerner(1984)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2O2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CF추출물의 세포부착능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CF추출물의 처리는 H2O2의 산화적 손상으로 감소된 세포부착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H2O2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유발된 지질과산화에 의한 막손상에 대하여 CF추출물의 처리는 H2O2에 의하여 증가된 LDH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CF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은 배양 NIH3T3 섬유모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또한 CF추출물은 H2O2에 의한 산화적 손상을 방어함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395.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성자와 감마선 조사한 추파형 유채 M2 세대의 화뢰의 소포자 배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세 가지 유채품종 '한라', '내한'과 '탐미' 유채종자를 각각 400 Gy와 600 Gy의 양성자와 감마선으로 전처리 하였다. 일부 종의 양성자와 감마선 조사구에서 배발생이 증가되었고 대조구보다 높았다. 품종별로는 '내한'유채가 배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고 '탐미' 유채가 가장 낮았다. 드물게 배상체로부터 바로 소식물체가 형성되었고 대부분은 비정상적으로 multilobe가 형성되었다. 배상체로부터 식물체가 성공적으로 재분화 되었고 화분에 순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