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

        41.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안이 기름으로 오염되었을 경우 방제 선진국인 미국, 캐나다, 호주 그리고, 뉴질랜드 등에서는 해안오염평가기술 (SCAT)을 통하여 해안방제작업의 표준과 규범으로 사용하고 있고, 해안방제 종료기준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 해상에서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의 기름유출 사고 시 지자체 주관으로 해안오염 합동 조사팀을 운영하였으나 해안오염에 대한 전문평가팀 부재로 효율적인 해안방제의 한계를 실감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 여 해안의 특성 및 오염상태를 고려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해안오염평가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오염평가 기술 요소 중에 해안오염평가팀에 대한 구성과 역할 및 우리나라 해안형태, 오염상태 등의 특성에 따른 오염해안 구획설정 및 현장평가 지침과 해안오염평가에 대한 결과보고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42.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상에서 유출된 기름은 방제를 잘 하였더라도 일부는 해안으로 밀려가 해안을 오염시키게 된다. 해양경찰청의 국가방제기 본게획에 의하면 연안이용 빈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해안방제에 있어 지방자치 단체장은 주무기관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해안방 제시 방제종료기준에 있어서는 보다 세밀하고 구체적인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방제종료기준 관련 의사결정체계는 크게 방제종료기준 설정단계, 방제종료 판단단계 등 두 가지 단계로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 방제종료기준 설정단계는 주로 사고지역별 해당 지자체(해안을 이용 관리 보전하는 관리청)가 최고의사결정기구의 중심 역할을 할 필요가 있으며, 방제종료 판단단계에서는 방제대책 본부 및 지자체의 최고의사결정기구가 합동으로 중심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의사결정협의회를 구성하여 해안방제종료 결 정에 대한 기준을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하도록 의사결정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43.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9년 4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주 1회의 주기적인 간격으로 DGPS를 이용하여 경포해수욕장 해안선의 월 별, 계절별 위치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포해수욕장을 12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구간별 해안선 위 치 변화 파악하였다. 경포해수욕장 해안선의 전체적인 변화 경향은 여름(겨울)에 해안선이 바다(육지)쪽으로 이동하 는 반면, 남측과 북측의 구간별 변화 경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해안선의 남측 구간은 여름(겨울)에는 바다(육 지)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우세한 반면, 북측 구간은 여름(겨울)에 육지(바다)쪽으로 이동하는 구간, 지속적으로 해 안선이 육지쪽으로 이동하는 구간, 뚜렷한 변화 경향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 등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이 된 다. 해안선의 총 길이는 여름에 짧아지고 겨울에 최대가 된다.
        3,000원
        44.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담배가루이는 열대성 난방제 해충으로 국내에서는 1998년 장미 재배지에서 처 음 발생하였으며, 시설재배지의 화훼 및 채소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2008년 9 월 하순경 경북 성주군 대가면 참외 시설 재배지(위도 35° 53‘ 10.96“, 경도 128° 11‘ 64.10“)에서 곤충병원성곰팡이에 자연적으로 집단 감염된 담배가루이 성충이 발견되었다. 채집된 감염성충에서 포자를 순수 분리한 후 분리된 균주에 대하여 형태적 관찰과 유전자 분석한 결과 Isaria fumosorosea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I. fumosorosea-S08은 SDA+Y배지에서 계대 배양(균총 직경 45㎜/14day)하였으며, colony는 회색이었다. 직립한 분생자병은 직경이 1.6㎛로 크기가 5.3×2.1㎛인 long stipe을 지닌 4~6개의 phialide를 가지며, phialide 위의 분생포자는 투명한 타원형의 긴 체인형태로서 크기는 3.0×1.8㎛이었다. 균주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 5.8S rDNA와 ITS 염기 서열을 분석하고 NCBI 검색 결과 radial root dentrogram 상에서 I. fumosorosea와 같은 cluster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I. fumosorosea는 1999년 국내 처음 토양에서 분리되었으나 담배가루이로부터 분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45.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신규소득작목인 오크라를 가해하는 나비목 유충으로 목화잎밤나방(Anomis flava Fabricius), 목화명나방(Haritalodes derogata Fabricius),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ee) 및 왕담배나방(H. armigera Hubner)등이 관찰되었다. 이들에 의 한 피해는 7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전체 수확 기간중에 발생하여 지속적 으로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8월 중하순에 풋꼬투리의 피해량이 가장 많아 45%의 풋꼬투리에서 피해가 발생하였다. 목화잎밤나방은 애벌레기에 오크라의 잎과 꼬 투리에 피해를 주며 오크라의 모든 개체에서 발생하였는데 잎의 뒷면에 붙어서 부 드러운 잎 조직을 갉아먹고 불규칙한 타원형의 구멍을 내거나 꼬투리의 껍질을 가 해하였다. 오크라 꼬투리에는 7월 중순부터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잎을 말아서 집을 짓는 특징이 있으며 그 안에서 번데기로 변한 다음 성충으로 부 화하고 줄기나 열매의 표면에 알을 한 개씩 흩어서 산란하였다. 목화명나방은 유 충이 오크라의 잎을 말아서 만든 집 안에서 잎의 뒷면 조직을 가해하여 피해를 주 며 가해를 받은 부위는 갈색으로 변하였다.
        46.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 정부의 직업교육정책이방향이 특성화고교 연계 확대 방향(교육부,2007)으로 됨에 따라 정부부처 협약학교로 국토해양부 해사고, 농림수산식품부 공립전문계고(3개교),프로그램지원 운영(6개교)학교가 지정되었다. 미래 어업인 양성 중심의 수산계 고교 특 성화 사업의 효율적 시행을 위하여 수산고교 자체에서 추진하기 어려운 과정은 공통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하 고 있다. 이 공통프로그램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기 위하여 일본 수산계 고교의 실습현장 제도와 비교하면서 우리나라 수산고 특성화 사업인 공통프로그램의 개선방향으로 현장실습훈련을 동해,남해,서해권의 권역별 실시와 실습업체 개발과 인센티브 제공, 종합 승선실습의 기간 연장 운영을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4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완에 따른 뇌 영역간의 연결성을 코히런스 분석방법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의 이완유발에 따른 뇌 활동 변화는 EEG 스펙트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왔다. 하지만 스펙트럼 분석방법으로는 측정영역에서의 반응만을 관찰할 수 있고, 뇌 영역간의 연결성을 분석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측정점 사이의 연결성을 관찰할 수 있는 코히런스 분석방법으로 이완에 따른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감성 변화에 따른 중추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은 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눈을 감고 이완음향을 듣도록 지시하고 8개의 위치에서 EEG를 측정하였다. EEG측정위치는 국제적인 10-20법에 의거한 F3, F4, T3, T4, P3, P4, O1, 그리고 O2지점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음향은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과 혼합하지 않은 음향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이완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주관적 감성을 함께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성 응답은 ANOVA(Analysis of Variance)하였다. 음향을 들었을 때 실제로 이완효과가 발생하며, White noise가 이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EEG는 측정영역 사이의 코히런스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과 혼합하지 않은 음향을 들었을 때의 코히런스 결과를 t-test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에서 후두엽과의 연결성이 증가하였고, White noise를 혼합하지 않은 음향에서는 두정엽과의 연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완일 때의 뇌 기능 연결성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4,000원
        48.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기술의 발전에 따른 각종 산업에서의 유비쿼터스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유비쿼터스 환경 도입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BMW의 경우 유비쿼터스 환경 기반의 운전자지원시스템을 연구한바 있다. 조선산업에서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고자 유비쿼터스 기반의 혼합현실을 제시한다. 혼합현실은 현실과 가상이 융합된 환경으로 현실에 기반을 두었을 때 증강현실이라고 하며, 이것은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오버랩하여 보여줌으로써 보다 현실감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구조물에서의 효과적인 검자 지원을 위하여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였으며 프로토 타입을 구축해 봄으로 그 활용 가능성을 판단해 보고자 한다.
        4,000원
        49.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s of different application of nematic ides (fosthiazate 5% G, ethoprophos 5% G, and diazinon 34% EC) for the control of Aphelenchoides fragariae in strawberry were evaluated in a greenhouse experiments. Mother strawberry (Fragaria grandiflora) cv. Yeohong were dipped in solution of nematicides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2.5 g a.i./liter in 20℃ or 46℃) for 10 min. and planted in a greenhouse for dipping treatment. For the compare, mother strawberry were dipped in hot water for 10 min. without chemicals. For soil treatment, fosthiazate or ethoprophos at 3 ㎏ a.i./㏊ were mixed into soil. For foliar spray, diazinon at 3.4 g a.i./liter was sprayed at foliage until runoff. At 40, 80, and 100 days after planting, runners were harvested from each treatment and the rate of nematode infestation and the number of nematodes per plant were examined. After 100 days of planting, mother strawberry plants dipped in fosthiazate solution (2.5 g a.i./liter, 20℃) for 10 min. produced more number of healthy runners and reduced % of infected runner as much as 90% and also had fewer nematodes per runner. Fosthiazate was more effective than ethoprophos. Foliar application of diazinon was reduced A. fragariae populations only in early season. Hot water treatment and nematicide soil treatment were less effective.
        4,000원
        50.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선박직원법상 승무기준의 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강력한 주장이 수산업계에서 제기되었다. 수산업계에서는 승무기준완화 입장을 유지하는 반면 노동계와 해기사협회 및 통신사협회는 현행유지 내지 기준의 강화를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선박안전운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박직원법상 소형선박조종사 승무기준의 타당성과 그 개선 방안을 연구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5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의 주요 식물기생성선충 종류를 밝히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간 경북지역의 124개 복숭아 과원 토양으로부터 선충을 분리하고 선충의 종류, 밀도, 빈도(Frequency), 우점도(Simpson's index), 다양성지수(Shannon and Wiener index), 중요도(Prominence value)를 분석하였다. 식물기생성 선충은 총 124지점 중 97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우점도는 0.717-0.881, 다양성지수는 0.221-0.286로 복숭아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기보다는 몇몇 우점하고 있는 식물기생성선충에 의하여 피해를 받고 있었다 복숭아과원에서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은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Helicotylenchus digonichus 순이었고, 그 외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등이 검출은 되었으나 중요종은 아니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국내 복숭아과원 토양에는 Paratylenchus elachistus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반면 외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혹선충류는 발견되지 많았다.
        3,000원
        53.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d seasonal fluctu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carried out in the Southwestern parts of Deukryang Bay of the Korean South Sea from July 1997 to January 1998. A total of 60 species of phytoplankton belonging to 4
        4,000원
        54.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선충제 2종(카두사포스, 포스치아제이트)을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이 감염된 참외 재배 포장에 정식 전처리(전처리)및 재배중 처리(후처리)하고(각 1.8 g a. i./6), 이들의 뿌리혹선충 방제효과, 참외 수량에 미치는 영향 및 참외 과일내 농약잔류량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살선충제가 뿌리혹선충 밀도에 미치는 효과는 5월에 가장 뚜렷하였다. 살선충제 처리구의 선충밀도는 무처리구 밀도의 10-65%이었으며 살선충제 중에서는 포스치아제이트(P=0.003)가, 처리방법에서는 전처리+후처리에서 효과가 높았다(밀도 90% 감소). 살선충제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5월 수량은 평균 23%(11-38%), 6월 수량은 평균 39%(2-65%), 총수량으로는 평균 31%(12-46%)가 증수되는 경향으로 유의성은 낮았으나(P = 0.085) 수량차이는 많았다. 카두사포스는 과일내 농약 잔류량이 0.008ppm이하로 후처리에 문제가 없었으나 포스치아제이트는 후처리 약 30일 후 참외 잔류허용 기준치(0.2ppm)를 초과하는 0.26ppm이 검출되었고, 그 외의 기간에 수확한 참외에서도 0.12ppm이상 높게 검출되었다. 살선충제 후처리에 의한 뿌리혹선충 방제법은 농약잔류위험성, 후반기의 낮은 참외 가격, 농약 비용, 안전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휴경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녹응애(개칭)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국내 분포, 기주식물, 온도에 따른 발육상, 약제 방제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토마토녹응애는 2쌍의 다리를 가진 길이 의 미소동물로 feathered claw는 4줄이었다. 피해증상으로, 피해엽은 적갈색으로 변하고 줄기에는 털이 없어지고 광택이 나거나 표면이 그물형으로 갈라지며, 새순은 시들거나 위축된다. 과일은 과경 부근에 그을음이나 녹이 긴 것 같이 되고, 그물형으로 갈라진다. 충남의 부여와 유성, 강원도 평창, 경북의 칠곡, 구룡포의 유리온실에서 발견되었으며, 한국에서 기주로는 메꽃, 까마중, 가지, 꽈리, 나팔꽃, 페투니아, 감자, 고추, 담배, 토마토 등이 확인되었다. 이 응애는 에서 발육이 가능하였고, 한 세대는 6-11일로 높은 온도일수록 발육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수명이 길었는데, 25-28에서 12일로 가장 수명이 길었다. 살비제 중에서 fenazaquin과 cypermethrin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4,000원
        57.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고추 19품종을 이용하여 성주 참외 재배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두 종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와 M.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M. arenaria 에는 검사대상 고추 품종 모두가 저항성이었으며, M. incognita에는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농우꽈리풋고추와 청옥고추는 감수성이었고, 알찬고추, 대왕고추, 진미고추, 조풍고추, 태양건고추, 한샘꽈리풋고추 등은 중간 저항성이었으며, 공공칠고추, 그린 No. 500 피만고추, 다홍건고추, 마니따고추, 신바람고추, 퍼팩토고추, 한마음고추 등은 강한 저항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참외재배지의 뿌리혹선충 피해가 심한 포장에는 6월경 참외를 수확한 후, 공공칠고추, 그린 No. 500 피만고추, 다홍건고추, 마니따고추, 신바람고추, 퍼팩토고추, 한마음고추 등을 재배함으로서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추 생산으로 부가소득도 가져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8.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조메분제 , 벤즈입제 , 아사자포스입제, 카두사포스입제, 카보입제 ,타보입제 ,포스치아제 이트입제, 아조포유제 등 8종의 살선충제를 이용하여 살선충제의 처리방법 (전처리, 후처리)과 처리량(1, 2, 3배량)에 따른 땅콩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의 방제효과 및 약해를 온실에서 토마토 및 참외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전처 리에서 1배량으로 90%이상의 높은 밀도억제 효과를 보인 것은 카두사포스입제, 다조메분제,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으며,카보입제는 3배량에서 비슷한 밀도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벤즈입제는 가장 효과가 낮았다. 후처리는 전터리에 비하여 대부분 약 제들의 약효가 낮았는데, 후처리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던 약제는 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다 기준량 의 약제로 전처리, 후처리를 통하여 모두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은 침투성 살선충제인 포스치아제이트입제였다.
        4,000원
        59.
        200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mount of petroleum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It leads to the increase of the possibility of marine oil pollution. In Korea, some countermeasures including oil skimmer, gelling agent and herding agent of oil have been used for the remediation of the pollution. However, most of them have lets of shortcomings in the application under in-situ condition, because they are sensitive to the situation such as geographical feature, the wind and the tide. In reported literature, the natural powdered oil absorbent which is made of peat moss is an effective mean to clean spilled oil from lake or coast. However, the peat moss is a natural resource which is only Produced from a specific cold weather are like Canada. This indicates that the alternative materials which is readily obtained from everywhere are needed for powdered oil absorbent. Therefore. in the study, same natural materials including pine leaves and straw are tested as the alternative materials for the absorbent. The raw materials were dried and treated by heat at various temperature during several Periods and then. shattered by a grain cracking machine. The oil sorption capacity of the prepared materials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heat treatment and their sizes. The proportion of hydrogen cyanide to combustion of the absorbents was measured to confirm their final disposal methods. The biodegradability test of the absorbents was carried our to evaluate possibility of a side pollution in the coast. In was found that the heat treatment of pine leaves enhanced the capacity of oil sorption and decreased the water sorption. The maximum oil sorption was observed for the material treated at 180℃for 60 min. The amount of hydrogen cyanide from the combustion were 0.09ml/g, 0.07ml/g for pine leaves and straw respectively meaning that the final disposal by combustion might be feasible. The amount or organic carbon extracted from pine leaves during 7 days was up to 0.015g organic carbon from one gram of pine leaves. but the degradation was as fast as for glucose. It is concluded that the pine leaves can be served as a good raw material for the powdered oil absorbent like peat moss
        4,000원
        60.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전국 8개도 37개점의 밭토양으로부터 분리한 52균주의 선충 포식성곰팡이를 이용하여 실내 및 온실에서 부식성선충과 뿌리혹선충을 이용하여 포식력을 비교하였다. 실내검정에서 부식성선충에 대하여 91% 이상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는 51균주였고, 부리혹선충에 대하여는 26균주였으나, 온실 검정에서는 81%의 포식력을 보인 균주가 3균주로 온실검정과 실내 검정간 상관 유의성은 없었다. 선발된 3균주는 부식선충 및 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실내 및 온실실험에서 모두 높은 포식력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으로 미루어 볼 때, 천적 포식성곰팡이 선발 시험은 반드시 포장 조건과 가장 유사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