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6

        61.
        201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멀션 기반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주형합성법을 이용하여 산촉매로서 염산과 실리카의 전구체인 테 트라에톡시실란을 사용함으로써 메조다공성 실리카 마이크로스피어를 합성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농도 증가에 의해 구형의 입자 형태가 파괴되었고, 기공구조도 크게 변하였다. 산촉매 농도 증가에 의한 구형의 입자형태 파괴 현상은 적었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형의 마이크로입자가 더 많이 생성되 었다. 하지만, 산성조건에서 입자들 간의 강한 응집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낱개의 분리되어 있는 단일입자 를 얻기 위해서는 초음파 등의 후처리 과정이 필요하였다.
        4,200원
        62.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는 개화를 위해서는 30일의 지속적인 단일 처리가 요구되는 원예작물인데 본 연구에서는 국화의 화형별 홑꽃 타입의 ‘Limelight’, ‘Sunlight’, ‘Candle Light’, ‘Firebrand’, ‘Twilight’와 겹꽃 타입의 ‘Spirit’, ‘Sunburst Spirit’, ‘Mandalay’, ‘Illini Harvest’가 단일 (SD)−장일 (LD)−단일 (SD)의 일장 처리가 생장 및 개화조절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30일간의 단일 처리와 5일 또는 10일 동안의 장일처리 후 5일 또는 10일 동안의 단일조건을 각각 처리하였다. 품종별 차이는 없었으나 5 SD−10 LD−25 SD 처리는 개화를 지연 시키고 설상화 수가 증가되었다. 특히 ‘Firebrand’와 ‘Candlelight’ 품종의 설상화 수는 각각 40개와 60.8개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SD−LD−SD 처리는 개화를 6일에서 7일정도 지연시키는 것 외에는 큰 효과를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Illini Harvest’와 ‘Limelight’의 설상화 수는 어떤 SD−LD−SD 처리에 의해서도 증가되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새로운 품종별 일장처리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 결과는 국화의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6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를 대상으로 보의 기립각도를 고려한 유사의 퇴적과 델타의 발달 과정을 파악하였다. 가동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는 배수의 영향으로 유속이 느려지면서 퇴적이 되고 델타가 형성되며 하류로 이동하였다. 각 실험조건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델타의 이동속도는 델타는 시간이 지나면서 현저하게 감소하고, 보에 접근하였다. 무차원 델타의 높이(hd/h)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델타의 이동속도(SD/V0)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델타의 높이(hd)가 증가할수록 수심(h)은 감소하였다. 델타의 유효높이(hw)가 크기 때문에 델타의 체적 (VxD)은 증가하지만 배수(backwater)의 영향을 받아 델타의 이동속도(SD)와 퇴적량은 감소하였다. 수로 경사가 일정할 때, 보의 높이(W)가 클수록 델타체적(VxD)이 증가하고, 델타의 전면부 길이비(hd/△S)는 1에 가깝다. 같은 유량조건인 경우에 가동보의 기립 각도가 가장 클 때, 시간당 델타의 퇴적량(Qs)은 가장 작았다. 따라서 보의 높이(W)가 클수록 델타의 발달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68.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개량형 공압식 가동보를 대상으로 수로경사 변화를 고려한 유사의 수리학적 발달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에 의하여 형성된 델타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하류로 이동하며, 델타높이(hd)는 증가하였다. 또한 보에 도달 할수록 흐름이 약해지면서 델타의 이동속도(SD)는 감소하였다. 무차원 델타 위치(xD/x)가 증가할수록 무차원 델타의 유효높이(hd/hw)와 무차원 저수지 용량(VxD/Vx)이 증가였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수로경사(i)가 완만할수록 델타의 퇴적량(QS)이 감소하게 되며, 델타의 체적(VxD)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수 초기 델타의 전면경사가 완만하며, 델타가 하류로 이동할수록 델타의 전면경사는 증가하였다. 또한 수로경사(i)가 완만할수록 델타의 전면부 길이 비(hd/△S)는 1에 가까워지고, 무차원 델타의 높이(hd/h)와 무차원 델타의 이동속도(SD/V0)가 감소하였다. 델타의 높이(hd)가 증가할수록 수심(h)은 감소하였으며, 보에 접근하는 유속(V0)과 델타의 이동속도(SD)도 감소하였다.
        69.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장 건강에 유익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변을 촉진하는 효능을 지닌 붉은팥을 식품 발효에 이용되는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발효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붉은팥의 일반성분은 회분 3.35±0.04%, 조단백질 21.1±0.19%, 조지방 0.35±0.02% 함 유되었다. 붉은팥 원물 1%, 3%, 5%와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3% (v/v)를 접종하여 0, 24, 48, 72시간 배양 하였다. 배양액의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붉은팥 원물을 3%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군에서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 발효가 가장 적합하였다. 발효 시간에 증가함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Protease 활성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2.69±0.003 unit/mL)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발효시간과 붉은팥 원물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α -amylase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군에서 0시간 배양군(1.0±0.1 unit/mL) 보다 26.0±0.2 unit/mL로 증가하였다.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72시간 배양한 후 유리아미노산을 측정한 결과 leucine은 붉은팥 원물 5% 첨가한 0시간 배양군 5.22 mg/L 에서 67.59 mg/L로 증가하였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인 tyrosine은 5% 첨가 0시간 배양군 10.08 mg/L에서 259.35 mg/L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로 붉은팥을 발효하면 항산화 활성, protease 효소활성, 및 α-amylase 효소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 산과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붉은팥을 발효하는데 Bacillus subtilis KCCM 11965P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붉은팥은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성화시켜 장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리바이오틱스 소재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7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cent climate change has also affected the biological season for plants. There are various studies on this, but most of them are studying horticultural cro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iming of flowering in different regions and to predict the flowering time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using meteorological data. Methods and Results : The flowering time and cultivation area of Schisandra chinensis were searched and surveyed by the Internet data and Annual research report of the RDA. Accumulated temperature and Growing degree day at 0℃, 5℃, 10℃ or more and Cumulative hours of sunshine at 0℃ or more to the cultivation area and flowering period of irradiated Schisandra chinensis were calculated from meteorological data of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calculated using Excel,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cel. The data collected were 15 research reports and 20 internet surveys, but it was difficult to use statistical significance due to the high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5-year Suwon data and the 3-year data of Jinan were used in the study report data relatively close to the meteorological stations. Conclusion :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The flowering time of Schisandra chinensis is the time when Accumulated temperature of 0℃ or more [Σ (daily average temperature > 0℃)] becomes 650℃ and the Growing degree day of 0℃ or more { Σ [ (day maximum temperature + day minimum temperature) / 2 > 0℃ ] } was 670℃.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6.5% and 6.2%, respectively.
        7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igh quality of gene set is necessary to study the functional research of genes. Although perilla is cultivated as an oil crop and as a vegetable crop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northeast China and Nepal, the reference genome is absent. To assembly perilla gene set, we sequenced the various tissues of perilla (Perilla citriodora) RNA-seq with Illumina HiSeq platform, generating 548,549,314 short reads. When de novo transcriptome assembly was performed with five samples, 86,396 and 38,413 transcripts were assembled as total and representative transcripts, respectively. Using 1,917,424 proteins at Phytozome ver. 9.1, we annotated the perilla assembled transcripts, and 66,139(76.55%) and 24,030(62.55%) transcripts showed the similarity with known plant proteins (E-value < 1e-10) as total and representative transcripts, respectively. Among the diverse molecular functions, we were interested in the regulatory components, such as transcription factor and transcription regulator. Using this data, we identified 499 transcripts annotated the putative transcription factor differentially expressed transcripts. 165 putative transcription factors were significantly expressed in perilla flower and 121 putative transcription factors in both leaf and flower. This study provides the perilla reference gene se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regulation of transcription factor dependent on the tissue.
        74.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스프레이 절화 국화 ‘레오파드’를 수확 후 일본으로 수출 시 저장온도 및 전처리제가 선도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수출국으로 수송시 수확 후 3일째 수송온도 5℃에 저장한 처리구가 상온에 비해 개화가 늦게 진행되었다. 절화수명은 NaOCl 전처리 후 수송온도 5℃에 저장한 처리구가 상온 무처리구에 비해 7일이 연장되었다. 생체중 변화율은 상온의 수송온도 처리구가 5℃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록소 함유량은 BA 전처리 후 수송온도 5℃에 저장한 처리구가 상온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스프레이 절화 국화 ‘레오파드’를 수확 후 NaOCl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5℃로 수송하는 것이 절화의 품질을 유지하며,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75.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release of whole genome draft sequences in legume species have led comparative genome studies among legume plants including Glycine max, G. soja, Cajanus cajan and Medicago truncatula. The majority of comparative genomic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synteny of coding sequences and coding sequence variations may be one of major forces for speciation and evolution. However, non-coding sequences have been also reported to be important phenotypic regulators. Especially, since short sequence motifs in the promoter regions are highly conserved, they are suggested to be another resources of interests in comparative studies. In this study, we predicted the conserved short sequence motifs by BLASTN algorithm using dicot promoter database from Softberry (http://www.softberry.com). A total of 37,396 conserved short sequence motifs were identified onto 2 kb upstreams of 46,367 high confident gene model of G. max (cv. Williams 82). Meanwhile, whole genome of 7 soybean landraces (G. max) and 7 wild soybean genotypes (G. soja) were sequenced at low depth of less than ten using Illumina Hiseq 2000. Among these genotypes, nucleotide variations were identified in predicted conserved regulatory motifs by mapping of short reads to the reference genome sequence using the Samtools program (http://samtools.sourceforge.net/). Fifteen and two genes, which have SNPs in regulatory motifs and no SNP in coding sequence, were identified by comparisons of inter-species and intra-species, respectively. qRT-PCR experiments are in progress for investigating differences of these 17 genes expressions at transcriptional level.
        76.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soybean (Glycine max) is known for its high nutritional value of oil and protein, soybean has been domesticated and cultivated by one specific character trait based on human selection. Importantly, tracing back in time where G. max and G. soja, the undomesticated ancestor of G. max have diverg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of genetic diversity and in investigating the common ancestor of soybean. In this study, we sequenced 6 G. max and 6 G. soja using Illumina’s Hiseq 2000 with a low coverage sequencing technology to estimate the divergence of times between genotypes and populations. A total of the 12 genotypes were sequenced at the average depth of 6.5 and resulted 892.5 Mb and 903.3 MB consensus sequences with the coverage of 91.54% and 92.65% for G. max and G. soja, respectively. The whole genome SNP analysis showed that G. max had lower frequency levels of polymorphism (~0.1%) than G. soja (~0.25%). And, a high number of SNPs located in introns were found among 6 G. soja genotypes as SNPs were approximately twice than those found in 6 G max. The number of SNPs in G. max intronic regions was 53,134, whereas a total of 133,329 SNPs were discovered in G. soja introns. Almost an equal number of SNPs were discovered in 5’ UTR and exon regions; however, different numbers of SNP in CDS and 3′ UTR were identified. By the rate of nonsynonymous change, divergence of time between G. soja and G. max would be investigated.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