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42

        102.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조직들은 불확실하고 급속도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공을 위해 다각 도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조직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구성원의 자발적 지식공유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성원의 지식공유 딜레마를 해소시키는 요인에 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그 중에서도 리더십은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리더의 언행일치, 즉 행동적 진실성이 그간 조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리더의 행동으로 제시되어 왔지만, 이를 지식공유와 연결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아울러 이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메커니즘에 중점을 둔 연구는 더욱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리더의 행동적 진실성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 관계를 검증하고,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와 친사회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육군 간부 329쌍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계적 에너지는 행동적 진실성과 구성원의 지식공유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구성원의 친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관계적 에너지와 지식공유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관계적 에너지를 통해 부하의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행동적 진실성의 간접효과 또한 친사회적 동기가 높을수록 더 강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적 진실성과 지식공유 두 변수간의 관계에 내재된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측면에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연구의 말미에 기술하였다.
        5,700원
        107.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t different types of roadside bus stops in an urban environment, and analyze the tendencies in PM2.5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index. METHODS :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ulate matter at roadside bus stops, we collected data such as PM2.5 concentration, temperature, humidity etc.,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concentration levels at different types of bus stops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front and back partition,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only a back partition, and a bus stop with an open space). In addition, the daily variation in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was analyzed. RESULTS: The average daily concentration levels of fine PM2.5 in the target area for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front and back partition, a partially closed bus stop with a back partition, and a bus stop with an open space were 18.40㎍/㎥ to 108.27㎍/㎥, 22.81㎍/㎥ to 135.51㎍/㎥, and 16.62㎍/㎥ to 81.52㎍/㎥, respectively. According to air quality index levels during the target measurement period, the bus stop with an open space had the least concentration levels of PM2.5 compared to the other bus stops. Furthermor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M2.5 concentration levels usually increased during the peak hour period in the morning and gradually increased after 2 pm until the end of the peak hour period at night, regardless of the bus stop typ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effect of PM2.5 concentration levels on the atmospheric, weather, environmental, and transportation conditions in a target area, and the variation in concentration levels depending on the type of bus stop.
        4,000원
        108.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 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4,000원
        109.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계란 생산성, 계란품질 및 악취저감에 관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복합생균제(PM, probiotic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산란계 Hy-Line Brown 240수를 4처리구로 구분하여 6주 동안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복합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복합생균제 3(PM3, 복합생균제 0.3%), 복합생균제 5(PM5, 복합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산란율, 계란 호우유니트, 난각두께, 난각강도, 난황색 및 농후난백 높이는 PM3, PM5가 CON 및 CP3에 비해서 높았다. 계분으로부터 암모니아, E. coli, 총호기성균, Coliform, Salmonella 균수는 CON>CP3>PM3>PM5 순서로 증가하였다. 본 결과는 B. subtillus, 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복합생균제 0.3%가 산란율, 계란품질 개선 및 분에서 암모니아 발생을 낮추어 양계장 악취저감 효과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 준다.
        4,000원
        110.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 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 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 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19.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ructural capacity of asphalt pavement in subsurface cavity sections using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FWD) backcalculation method. METHO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duction of structural capacity in asphalt pavements due to the occurrence of subsurface cavities. The FWD testing was conducted on the cavity and intact asphalt pavement in the city of Seoul. The GAPAVE, backcalculation program for FWD deflections,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layer moduli in asphalt pavements. The remaining life of asphalt pavements in cavity sections were predicted using the pavement performance model for fatigue cracking. The backcalculated layer moduli between cavity and intact sections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reduction of structural capacity due to subsurface cav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uction of layer modulus and cavity depth/length was analyzed to estimate the effect of cavity characteristics on the structural capacity degrad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FWD backcalculation results, the modulus of asphalt layer, subbase, and subgrade in cavity sections a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in intact sections. In the case of asphalt layers, the backcalculated modulus in cavity section was reduced by 50% compared to intact section. A study for the prediction of remaining life of cavity section shows that the occurrence of subsurface cavity induces the decrease of the pavement life significantly.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calculated modulus and cavity length. However, the reduction of asphalt layer modulus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cavity depth and was found to increase with the decrease of cavity depth. CONCLUSIONS : This reduction of structural capacity due to the occurrence of cavities underneath asphalt pavements was determined using FWD backcalculation analysis. In the future, this approach will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road collapse risk and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cavity sections under numerous varied condition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