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2

        16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제원자재가 상승에 따라 버섯 배지 가격이 50% 이상 상승하여 톱밥 대체 배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으로 은행껍질을 이용하여 버섯 배지로 개발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은행껍질의 질소 함량은 0.32%로 포플러 톱밥 0.09%에 현저히 높았으며, 시험관을 이용한 균사생장은 은행껍질 10~30% 첨가시 93~97㎜/28일로 대조구 101㎜/28일에 비해 늦었다.은행껍질 10% 첨가시 850㎖ PP병의 균배양일수는 18일로 대조구와 같았지만 20~30% 첨가시 2일 지연되었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은행껍질 10~30% 첨가시 7일로 대조구보다 1일정도 빨랐다. 병당 수량은 대조구 70.8g/병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80.5~91.8g/병으로 14~30% 증수되었고, 배양 및 생육일수는 은행껍질 10% 첨가시 30일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미소느타리 병재배시 은행껍질 10%를 첨가하는 것이 재배일수 단축 및 수량증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품종 ‘미소’ 느타리버섯에 대한 성양식에서의 불화합성 체계를 이해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이 실험결과 자실체로부터 채취한 단포자의 교배를 통해 신품종 ‘미소’ 느타리버섯이 자웅이체성이고 4극성 교배양식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꺽쇠연결이 없는 분리된 담자포자는 단핵균사로 판단되었고, 이러한 단핵균사간 화합, 불화합성 여부는 빠른 생육과 활력있는 발달형태를 통해 어느 정도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하였으며 두 단핵 균사체의 대치배양 후에 형성되는 꺽쇠연결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명확히 확인되었다. 예외적으로 교배가 화합성인 경우 형성되는 이핵 균사체가 대치배양의 한쪽 가장자리에서만 꺽쇠연결이 발견되는 일방향 이핵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 실험결과로부터 4극성 교배에 있어서 A1A2B1B2의 이핵 균사체로부터 발생하는 네 가지 유전자 형태, 즉 A1B1, A1B2, A2B1, 그리고 A2B2가 화합성테스트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선발된 나머지의 단핵 균사체의 교배형은 Tester 계통을 이용하였다.
        4,000원
        16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a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re known to be potent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when the bacteria are injected into the hemocoel. This study investigated any pathogenic effect of their culture broth on P. xylostella by oral administration. Only culture broth of both bacterial species did not give enough pathogenic effects by the oral administration. However, when the culture broth was orally treated together with Bacillus thuringiensis (Bt), both cell-free culture broth significantly enhanced Bt pathogenicity against the 3rd instar larvae of P. xylostella. The culture broth was then fractionated into hexane, ethyl acetate, and aqueous extracts. Most synergistic effect on Bt pathogenicity was found in ethyl acetate extracts of both bacterial species. Thin layer chromatography of these extracts clearly showed that ethyl acetate extracts of both bacterial culture broths possessed metabolites that were different to those of hexane and aqueous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th entomopathogenic bacteria produce and secrete different factors to give significant synergistic effect on Bt pathogenicity.
        4,000원
        16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mmercial egg parasitoid, Trichogramma sp. Nabis101, was released into agricultural cultivating areas in Korea due to its wide host spectrum against insect pests. Moreover, an application technique has been recently developed to enhance its control efficacy by mixture treatment with a microbial control agent. Despite its expansion of commercial availability, any genetic identification on this commercial strain was not determined. Also, to meet inconsistent demands from consumers, the live parasitoids need to be stored without significant loss of their survival and parasitic activity. This study determined nucleotid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of the wasp species. The identified ITS sequences indicate that this wasp species is most similar to T. brasiliensis.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this wasp required young parasitized stage at 10℃. Under these conditions, survival, sex ratio, longevity, and parasitic behavior were not much impaired for 5 weeks.
        4,000원
        16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제원자재가 상승에 따라 버섯 배지 가격이 50% 이상 상승하여 톱밥 대체 배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으로 충남도내에서 생산되는 은행잎부산물을 이용하여 버섯 배지로 개발하여 생산비 절감 및 경제적 이익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은행잎박을 10~30% 첨가량에 따른 균사생장은 대조구 102 ㎜/28일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86~101㎜/28일로 균사생장이 느린 경향이었으며, 균배양일수는 은행잎박 10~20% 첨가시 29일로 대조구와 같았다. 초발이 소요일수는 은행잎박 10~20% 첨가시 7일, 생육 일수는 11일로 대조구와 같았지만, 은행잎박 30% 첨가시 초발이소요일수는 1일정도 늦었다. 갓의 크기는 은행잎박 첨가시 대조구에 비해 작은 경향이 있었고, 대의 길이는 은행잎박 10% 첨가시 98㎜로 대조구 91㎜에 비해 길었다. 대의 두께는 대조구 45㎜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45~48㎜로 두꺼운 경향이었다. 대의 경도는 대조구 32,156(g/㎠)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35,062g/㎠~41,065g/㎠로 높아 저장 및 유통에 유리하였고, 병당 수량은 대조구 85.8g/병에 비해 은행잎박 10~30% 첨가시 88.7~95.6g/병으로 3~11% 증수되었다. 따라서 큰느타리 병재배시 은행잎박 10%를 첨가하는 것이 수량 증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7.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cal and seasonal populations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 were monitored with sex pheromone trapping and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olecular marker to analyze their movement in apple orchards. To detect their movements among farms, pheromone traps were placed at regions between apple farms (‘outside-farms’) as well as within-farms (‘inside-farms’). Four seasonal adult peaks were evident in apple-cultivating fields from April to October in both trappings of inside- or outside-farms. After overwintering generation, populations of inside-far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frequent insecticide applications, compared to populations of outside-farms. Within apple farms, G. molesta tended to be unevenly distributed because of significant sublocal preference. Active movements of local and seasonal populations of G. molesta were supported by gene flow analysis using RAPD marker. Monitoring data using sex pheromone and seasonal reduction in initial genetic differentiation detected in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suggest that there must be significant movement of G. molesta among different orchards in apple-cultivating areas.
        4,000원
        168.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제원자재가 상승에 따라 버섯 배지 가격이 50% 이 상 상승하여 톱밥 대체 배지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으로 농산 부산물을 이용하여 버섯 배지로 개발하여 생산비 절감 및 경 제적 이익 창출을 도모하기 위하여 은행잎을 가을에 채취 성 분을 착즙한 부산물로 은행잎 박과 은행껍질이 버려지고 있 는 실정으로 이들 부산물을 이용하여 버섯 배지로 개발하여 생산비 절감 및 경제적 이익 창출을 도모하기 위해 수행한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 은행잎박 첨가에 따른 배지의 배양과 생육 특성 은행잎 박을 10~30% 첨가하여 시험관에서 균사생장 을 조사한 결과 무처리 102㎜에 비해 은행잎 박 첨가 시 86~101㎜로 균사생장이 느린 경향이었으며 균배양 일수는 29~31일로 무처리와 비슷하였지만 30% 첨가시 2일정도 지 연되었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7~8일, 생육일수는 11~12일 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갓의 크기는 은행잎 박 10~30% 첨가 시 무처리에 비해 작 은 경향이 있었지만, 10% 첨가시 대의 길이가 98㎜로 무처 리 보다 약간 길었으며 대의 두께는 10~30% 첨가시 45~48 ㎜ 같거나 약간 두꺼운 경향이었다. 대의 경도는 무처리 32,156g/㎠에 비해 은행잎 박 10~30% 첨가시 35,062g/㎠ ~41,065g/㎠로 높아 저장 및 유통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 다. 병당 수량은 무처리 85.8g에 비해 은행잎 박을 10~30% 첨가 시 88.7g~95.6g으로 3~12% 증수되었다. 〈시험2〉 은행껍질 첨가에 따른 배지의 배양과 생육 특성 은행껍질 첨가 배지의 배양 및 생육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조제하였는데 T1은 포플러톱밥 80%+밀기울 20%, T2는 포플러톱밥 70%+은행껍질 10%+밀기울 20%, T3은 미송톱밥 60%+은행껍질 20%+밀기울 20%, T4는 톱밥 50%+은행껍질 30%+밀기울 20%의 부피비(v/v)로 혼합하였다. 은행껍질첨가에 따른 질소 함량은 은행껍질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1.06%에서 1.73%로 증가하였고, 유 기물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배지별 용적밀도는 첨가 량이 늘어남에 따라 0.20%에서 0.36%로 증가하였다 배지별 균사배양일수, 초발이 소요일수는 은행껍질 10% 첨가 시 균배양 일수는 18일로 동일하였지만, 20~30% 첨 가시 20일로 무첨가 보다 2일 늦었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무 첨가(8일) 보다 10~30% 첨가시 1일 빠른 경향이었다. 병당 수량성은 무첨가 시 70.8g/병에 비하여 은행껍질 10%첨가 30%, 20%첨가 14%, 30%첨가 15%가 증수되었 으나 10%첨가 시 30%증수되어 은행껍질을 수입대체용 배 지로 활용가치가 있었다.
        16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internal feeding behavior,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ée), infesting hot pepper has been regarded to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targeting egg and neonate larval stages just before entering the frui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fficient biological control method focusing on these susceptible stages of H. assulta. An egg parasitoid wasp, 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 was confirmed to parasitize the eggs of H. assulta. A mixture of Gram-positiv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and Gram-negative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 could effectively kill neonate larvae of H. assulta. A sex pheromone trap monitored the occurrence of field H. assulta adults. The microbial insecticide mixture was proved to give no detrimental effects on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survival of the wasp by both feeding and contact toxicity tests. A combined treatment of egg parasitoid and microbial pesticide was applied to hot pepper fields infested by H. assulta. The mixture treatment of both biological control ag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ruit damage, which was comparable to the chemical insecticide treatment, though either single biological control ag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ntrol efficacy. This study also provides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s of T. evanescens.
        4,200원
        17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unidentified moth was captured in sex pheromone traps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especially at spring season in apple orchards and their vicinity. Though the captured males were similar in appearance to G. molesta males, they were easily distinguished by a marked difference in body size. Their occurrence pattern was also similar to that of overwintering G. molesta population from April to May, at which more males were captured in the pheromone trap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pple orchards than within apple orchards. After May, they were no longer captured in the pheromone traps. To investigate any larval damage due to this unidentified moth, molecular markers needed to be developed. Four PCR-RFLP markers originated from cytochrome b region of mitochondrial DNA could distinguish this unidentified moth from G. molesta.
        4,000원
        171.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control outbreak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n apple orchard. To optimize its application technique, this study analyzed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the pheromone dispenser on mating disruption (‘MD’) of G. molesta. Different pheromone dispenser amount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D effect assessed by cumulative male adult catches monitored respectively by sticky delta trap and food trap, and resulted in differential damage on host plants. In a field test during entire growing season, a standard amount (120 g per 0.117 ㏊) of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was proved to be effective to suppress outbreak of G. molesta adults and to prevent host plant damage as much as a current commercial MD product (Isomate<SUP>Ⓡ</SUP>).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an effectiveness of deployment of food trap barriers around MD-treated area to prevent immigration of mated females from outside untreated are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x-typed pheromone dispenser can be applied to control field G. molesta populations and its co-application with food trap barriers would be optimal to maximize MD efficacy.
        4,000원
        172.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ring phenology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was monitored using sex pheromone traps in apple cultivating areas. Their occurrence was earlier in southern areas and their population siz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orchards even in a local cultivating zone.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appeared to move between local orchards, based on the fact that monitoring data obtained at the sites between orchards were similar to those of nearby orchards. However, within orchards, these adult movements appeared to decrease and showed skewed occurrences at the side of upwind direction or close to neighboring orchards. At initial occurrence peak (April 20-25),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the different loca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ir genetic distances. PCR-RAPD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etic differences among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G. molesta. This genetic differentiation of overwinterin populations may be due to genetic bottleneck following differential selection pressures against the subpopulations of G. molesta during winter on the basis of the RAPD analysis that each early spring popul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o its previous fall population in the same locality.
        4,000원
        173.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용과 약용버섯으로서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의 수집균주에 대한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령버섯 9개 균주중 균총특성은 3가지 형태로 구분 되 었으며, 대부분 균주가 굵고 가는 백색균사로 형성되어 있 으며 공중균사가 많은 Fluffy 형태로 나타나며 배지는 연 갈색으로 착색되는 경향이었다. 수집균주중 ASI 1181, ASI 1202, ASI 1203 등 3균주가 균사체가 치밀하고 균 사생장정도 75∼80㎜/15일로 양호하였다. 균주의 증식 및 보존을 위한 최적배지는 PDA, MEA 등이 양호했고, 접종원 증식을 위한 배지는 밀곡립배지가 양호하였다. 신령버섯 균의 재배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균배양 25∼ 30℃, 자실체 발이 및 생육은 24∼28℃에서 양호하였다. 균상재배시 볏짚발효배지, 사탕수수박+콘코브 배지는 균 배양 양호 하였으며 균주별 수량성은 ASI 1181, 1201, 1202 등 3균주가 수량성 양호 하였다. 균상재배 결과 수 량은 ASI 1201 균주가 18.2kg/3.3㎡ 많았고 ASI 1202 균주는 18.2kg/3.3㎡로 낮은 경향이나 버섯품질은 더 좋 았다. 신령버섯 균상재배용 배지에 대한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 과 볏짚배지 외 4종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결과 종균접종 시 배지 모두 pH가 7.0∼8.1로 적합하였다. 배지의 전질소 함량은 사탕수수박배지 1.6%, 볏짚배지 1.9%, 볏짚 + 사탕수수배지 1.8%, 볏짚+방울솜배지 2.1%, 사탕수수+ 면실피배지 2.6%로 적정했다. C/N율은 사탕수수박배지 30.0, 볏짚+사탕수수배지 22.0, 볏짚배지 21.5, 볏짚+방 울솜배지 21.3, 사탕수수+면실피배지 19.0로 적정기준 인 17.0보다 높았다. 신령버섯 균상재배시 질소 함량이 많을수록 수량성은 높았고, C/N율은 높을수록 수량성은 더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신령버섯 균상재배용 배지선발 시험을 한 결과 배지종류 별 균사배양은 모두 양호하였으며, 사탕수수박배지가 가 장 좋았으며 균상재배시 균사배양기간은 13∼16일로 사 탕수수박배지가 13일, 볏짚배지가 16일로 모두 양호 하 였고 초발이소요일(종균접종일부터 버섯발생까지)은 34 ∼36일 정도로 양호했다. 수량(kg/3.3㎡)은 볏짚+방울솜배지 34.5kg, 사탕수수 박+면실피배지 33.0kg 사탕수수박+면실피배지 26.3kg 정도로 좋았으나 성품성이 낮았고, 볏짚배지 32.2kg, 사 탕수수박배지 30.3kg, 볏짚+사탕수수박배지 23.8 kg로 상품성에서 양호하였다. 사탕수수박배지는 수량성은 약 간 낮은 경향이나 상품성이 양호하였고, 배지조제시 작업 의 생력화 및 기계화가 가능하여 볏짚배지의 대체용 배지 로 활용 가치가 높았다. 신령버섯 복토 대체 재료를 선발한 결과 균배양은 '양송 이전용 피트모스', '양송이전용 피트모스50%+식양토 50%', '식양토' 복토 처리구에서 양호 하였다. 수량성과 품 질은 '식양토' 및 '양송이전용 피트모스50%+식양토50%' 에서 양호하였고, 양송이 재배에 주로 사용되는 "양송이 전용 피트모스"는 신령버섯 재배용 복토로서는 부적합하 였다. 이상의 결과로, 수집된 9개 균주중 수량성과 상품성에서 ASI 1202호가 가장 우수 하였으며 균상재배용으로 선발된 배지는 수량성은 사탕수수박배지, 볏짚배지가 좋았으며 상품성은 사탕수수박배지가 양호하여 볏짚배지 대체용 배지로 활용할 수 있었다. 또한, 복토재료는 '식양토' 및 '양송이전용 피트모스50%+식양토50%' 처리구가 양호하 였다.
        17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과 해충으로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과실에 피해를 주는 일차해충이다. 이에 따라 과실 내부에서 피해를 주는 유충이 방제 대상이나, 살충제와 접촉이 어려워 방제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제기술이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 처리이다. 그러나 소규모로 흩어져 있는 국내 사과원 구도는 단일 과원의 교미교란제 처리는 교미된 암컷의 이주에 따라 유효성을 얻기가 힘들다. 이에 따라 광범위한 교미교란제 처리가 불가피하나, 현실적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가 처리 대상인지 결정하기 어렵고 불필요한 광역화는 비용면에서 현실성이 없다. 대안으로 복숭아순나방 성충의 교미 반경을 측정할 수 있다면 교미교란제 처리 규모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숭아순나방 교미 반경 결정을 위해서는 집단간 차이를 보이는 분자지표의 개발이 우선적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세 가지 전략으로 접근하였다. 첫째로, 복숭아순나방 미토콘드리아 전체 염기서열 분석으로 이를 통해 집단간 변이를 보이는 부위를 결정하려 했다. 둘째로 PCR-RFLP 기술로서 미토콘드리아 DNA의 제한효소 다형부위 결정기술이다. 끝으로 PCR-RAPD로서 전체 게놈에 대한 임의적 증폭물에 대한 다형 유전좌위 개발 전략이다.
        17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성페로몬은 동종 사이 교미에 이용되는 통신물질이다. 합성 성페로몬을 이용한 특정 해충의 야외 모니터링은 특별히 사과 나비목 해충의 IPM에 있어서 필수적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성페로몬을 이용한 야외 모니터링은 매우 고감도이고, 특이적이어서 해충에 대한 지식이 적은 종사자라 하더라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해충 모니터링을 해야 하는 경우 모니터링 자체의 노동력 및 이에 따라 부대비용이 제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은 무인 모니터링 기술의 개발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기술은 성페로몬이라는 바이오기술(BT)과 바이오센서 및 통신이라는 정보기술(IT)을 융합하여 해충의 무인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IT-페로몬 트랩은 아래와 같은 기기적 모형 및 실용적 개념을 포함한다.
        176.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monstrates a variability in efficacy of mating disruption against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populations infesting apples cultivated in differenti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s, trap catches of G. molesta male moths and damaged leaf and fruit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commercialized mating disruptor. Treatment of the mating disruptor significantly reduced the trap catches of male moth in treated plot, compared to those of the untreated plot. This reduced trap catch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f and fruit damage. Moreover, the highest host damage occurred in June just after the highest overwintering adult peaks in both plots. The treatment of mating disruptors in Chungsong effectively disrupted the overwintering population in April and May, resulting in no noticeable host damage during the following growing seasons. However, there was a marked difference in host damage between two plots, especially in late seasons. Variation in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ion technology in terms of host damage appeared to be related with nearby pheromone-untreated orchards, which may result in the immigration of gravid females.
        4,000원
        17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is a serious pest on apples. To control this pest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mating disruption strategy using sex pheromone has been developed. Area-wide application of mating disruption has been needed to be effective, with little understanding on how much size of apple cultivating area should be treated in one time application of the mating disruption technique. On this matter, we needed to determine a minimal mating active zone of G. molesta that should be applied with mating disrupters to be effective. Molecular markers to discriminate a specific population should be developed to trace population migration for reproductive behaviors. Here we developed two effective molecular markers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technique. Different field populations of G. molesta, based on locations and seasons, were analyzed with these markers. In a specific location, G. molesta populations varied in genetic composition with different seasons. Different local populations showed differential variation according to their relative distances among apple orchards. In overall, genetic variation among different populations became lessen with progression of seasons.
        4,000원
        178.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버섯 종류에 따른 하이그로마이신 농도별 균사생장 조사 결과, 양송이·영지·상황·만가닥·맛버섯은 25 ㎍/㎖, 버들송이·잎새버섯·백계버섯은 50 ㎍/㎖, 신령버섯은 75 ㎍/㎖, 느타리버섯속은 25~75 ㎍/㎖ 농도에서 균사 생 장이 정지되었다. 버섯 종류별 자실체의 주름살에 진공처 리로 아그로박테리아를 침투하여 형질전환을 실시한 바 큰느타리, 버들송이, 신령버섯에서는 형질전환체를 얻을 수 없었다. 아그로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양송이 여러 품종 에 형질전환을 실시한 바 국내의 705품종은 AGL1 pBGgHg 균주에서 56%의 형질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고, 실반의 A15 품종의 형질전환율은 AGL1 pBGgHg 56%, AGL1 pGreen hph1 60%, LBA1126 pBGgHg 46% 이었 다. 양송이 A15품종의 주름살에 아그로박테리아 AGL1과 L! BA1126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을 할 때 AGL1이 LBA1126에 비해 형질전환율이 양호했다. 또한 아그로박 테리아를 세포내로 침투시킬 때 진공처리가 고주파에 비 해 양호하였으며, 진공처리시 형질전환율은 AGL1 pG.hph1 60%, AGL1 pBGgHg 56%로 조사되었다.
        17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active components (Z8-12:Ac, E8-12:Ac, and Z8-12:OH) are known in sex pheromone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and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to apply for population monitoring and mating disruption. However, there have been variation among commercial products in pheromone composition and amount impregnated in each pheromone releas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ptimize factors influencing on pheromone monitoring of G. molesta by analyzing pheromone composition/amount, effective period of releaser, and trap type/placement in apple trees. High purity of Z8-12:Ac component was effective to attract males, in which 96% or more of cis acetate isomer component appeared to be optimal composition. Pheromone amounts (0.01-1 ㎍) impregnated in each rubber dispenser did not give significant effect on monitoring during 90 days from June to August. "Delta" trap was much more efficient than "cone" trap to collect males. Trap installation was another factor, in which placing traps at canopy level was much efficient than at trunk or ground levels. Pheromone trap monitoring with these optimal factors indicated three to four adult peaks from June to September in addition to high overwintering population from April to May in pesticide-applied orchards in Andong, Korea.
        4,000원
        180.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icacy of three commercial mating disruptors for the control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Busck), using a food-baited trap to collect field females. Mated female ratios estimated in the mating disruptor-treated areas were compared with the estimates of male trap captures, and both estimate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crop damage measured by shoot tip damage caused by G. molesta. Both males and females were attracted to the food trap-baited with terpinyl acetate in apple orchard. Spermatophore of G. molesta was similar to female bursa copulatrix in size. Though there was more than 95% reduction in male trap captures indicating significant mating disruption, significant crop damage occurred on apple leaf buds, in which more than 35% of captured females were mate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ssessment of the mated females would be more reasonable to represent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or(s) than the assessment of the male captures in G. molest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