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6

        162.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mmalian Emx2. a homeobox tra nscripti on factor‘ is continuoll s ly expressecl in aclll lt neural s tem cell s of the b.ippo campal c1enclate gyrus (HDG) a f'ter blrth 1'0 c1ate‘ roles 01' Emx2 a ncl its llnderlying rnecha ni s rn in r eg비 atin g acl lllt neuro - genesis from neural stem cell aft er bi rth is still obscure. 1'he present experiment is aimed to elucidate role 01' Emx2 in regulating adll lt neurogenesis from neural s tem cell of HDG using nestin-Emx2 transgenic mouse (N-E2 1'G) and heterozygous Emx2 KO mouse (1-l-E2 KO) . HDG g ranlllar cell layer where new born neurons proclllced from adult neural stem cell migrate. is thin with low cell c1ens ity in N-E2 1'G but tbick with high cell density in H-E2 KO, compared to wild type mice (\\끼') . Number of DCX , a new born nellron marker. -positive cells is less in N-E2 1'G but more in l-l-E2 KO. comparecl to W1'. Ki67 (whole cell cycle marker) 01' BrclU (S-phase marker) 一positive cells is less in N-E2 1'G bllt morc in l-l-E2 KO and BrdU-positive cells/ Ki 67ratio is higher in N-E2 1'G but lower in H-E2 KO. NeuN (a mature n e llro삐 marker) a ncl BrdU-dollble positive cells is lUore in N- E2 TG bllt GFAP (a glial cell marker) ancl BrdU- dollble positive cells is more in ]-]- E2 KO. compa recl to WT 4wks after BrclU is aclmin istratecl one ti me per c1ay for 5days‘ Migrating c1egree of BrdU-positive cells is lower in N-E2 TG but higher in ]-]-E2 KO 4wks after BrclU is administratecl one t ime per day for 5days. Active casepase 3-positive cells is more in ]-]DG 01' the N-E2 TG but no changes in ]-]-E2 KO. 4 wks after CAG- GFP- PRE vector was inj ected in hippocampus. GFP-positive new born n e urons from aclult neural stem cell have less c1endritic branches in N-E2 1'G but more c1endritic branches in H-E2 KO‘ comparecl to the WT From these results. Emx2 transcription factor inhibits adult neurogenesis f'rom nellral stem cell of HDG throllgh reducing neural stem cell proliferation. new born cell survival. ce ll migration. ancl matllrat ion
        165.
        200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뻐ny studìes have shown the anti-proli ferative effects of irondeprivation on cancer cell s‘ but the effects 01' iron-chelators on oral cancer have not been clearly elucidated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iron chelato r, desferrioxamine( 01"O).on the growth of ilIllTIortali zed human o1'al ke ratinocytes(IHOK), primary oraJ cancer cel ls(HN4)‘ metastatic oral cancer cell s(HN12) , and human skin keratìnocytes(HaCaT) in the MTr assay, three-dimensional(3D) raft cul tmes, Western blott ing, cell cycJ e analysis‘ nuclear staining‘ and cytochrome c expression for apoptosis s ig naling pathway were used OFO inhibited the growth of immortalized IHOK and HaCaT and mal ignant HN4 and HN12 keratinocyte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according to the MTT assay, The 3D organotypic cu l tu re also revealed that OF'O-treated cells showed less epithelial maturation, less surface keratinizati on‘ and de creased epithelia l thickness, The major mechanìsm of growth inhìbition with the micromolar 0 1"0 treatment was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was supported by nuclear OAPI staining, ONA fragmentation analysis, and J10w cytometric analysis for sub-Gl phase ar rest and Annexin V-1"ITC stainìng, Furthermore‘ Bax expression in creased together with p53 and p21WAF1!CIPl, whìle the Bcl-2 expression decreased in the immortalized and malig nant keratinocytes treated with 01"0 , Time-dependent cytochrome c from mitochondria was observed in D1"O-treated [l-IOK and 0 1'머 cancel‘ ceJJ s, and was accompanied by the activation of caspase-3 in IHOK cells. These resu lts demonstrate that 0 1"0 has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immortalized and malignant oral keratinocyLes Lhrough the induction of apoptosis and suggest that further evaluation of OFO as a potcntial thcrapcutic agent for human oral precancerous and cancerous lesions is warranted
        168.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총복근윷 갖는 비비례 감쇠 시스템의 고유치 해석 방법읍 χn 안하였다. 2 치‘ 고유치 문제의 행웰 즈5 합잘 통한 선형 방정식에 수정뭔 Newton-Raphson 기법파 고유벡터의 직i1l성을 적용히여 저1 안방법 의 암고려츰을 유도하였따. 벡터 반꽉법 EE.는 부분공간 딴복법과 같은 기존의 반복법어1 셔는 수렘성을 향상시 키기 워해 띤위법옳 적용하였으며, 이 값이 시스템의 고유치에 근사하케 되면 행펼분해 과정에서 득이성이 받생한다, 그러나 제안방법은 구하고자 하논 고유치가 중복근이 이년 정우에, 변위값이 시스템으] 고유치 열지 리도 ’향상 정최성윷 유지하며, 이것윤 해석적으로 증명하였다‘ 제얀방법은 수정된 N ewton-Raphson 기볍을 이용하기 때문에 초기값을 필요로 한다 제 안방법의 초기값으로는 반복법의 중간젤과니 근사법의 결괴블 사 용할 수 있다. 이를 방법중 Lanczos 방법이 가장 효율적으로 좋은 초기값을 제꽁하기 때푼에 Lanczos 방법 의 결괴룹 저1 안방법의 초기값으로 사용하였다, 지1 안빙법의 효율성윷 중벙하기 위하여 두가지 예제 구조불에 대해 해석시간 및 수렴성윷 가장 많이 사용하고 었는 부분공간 반복법과 Lanczos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따,
        4,300원
        17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동특성추정법 (system identification) 을 이용한 교량구조의 손상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제 시되었다. 손상된 구조물의 비선형 동적거동은 휩모우멘트와 곡률반경의 시간이력 관계로써 표시하였으며, 구조물의 성질을 나타내는 특성계수는 실측자료를 이용한 동특성추정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구조 물의 성질의 다양성과 응답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손상은 확률변수로 나타내었으며, 예제해석으로는 곡선교 의 손상도추정이 수행되었다.
        4,000원
        171.
        1987.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72.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을 이용한 도열병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도열병균의 포자와 발아균계에 각각 X-ray 10, 40, 80, 120kR를 조사시켜 그들의 방사선감수성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열병균의 포자발아율은 X-ray 소사선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되었으며 120kR에서는 거의 생존하지 못하였다. 2. 비교적 저선량인 10kR 조사에서는 초기발아관신장의 촉진 현상을 보였으며 선량의 증가에 따라 균계의 사멸 현상이 현저하였다. 3. X-ray 조사에 의한 발아균계의 생존율 및 신장은 선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다. 4. X-ray를 조사받은 발아균계는 포자에 비하여 높은 방사선 감수성을 보였으며, 고선량일수록 그 차이는 현저하였다. 5. X-ray 조사에 의한 도열병균의 돌연변이율은 조사선량에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4,000원
        173.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균의 종의 빈도와 발병환경 및 방제법을 구명코져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Trichoderma koningi, T. lignorum, T. glaucum과 미동정의 1종등 4종의 병원균이 분리되었고 이들의 빈도는 각각 와 이었다. 푸른곰팡이병균은 감자배양액, 왁스만배양액과 리차드배양액에서 생육이 잘 되었으며 중성-염기성배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한 반면 산성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최적산도는 pH4였다. 양송이 수확기간 중 재배사내의 온도는 내외 일 때 본명의 발생이 적었고 수량이 많으며 이상에서는 본병의 발생이 격심하였다. 푸른곰팡이병균은 복토흙 소독시 에서 60분, 혹은 에서 30분간 열처리하므로서 완전히 사멸하였고 퇴비 후발효 과정에서도 사멸되었다.
        4,000원
        174.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비슬산 이중편파 Radar 자료와, GPM 위성자료 및 21개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지상강우자료를 활용하여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2, KIMSTORM2)을 이용해 남강댐 유역(2,293 km2)을 대상으로 유출해석을 수행 하였다. 모형의 유출 해석은 2016년 10월 5일 02:00∼09:00 총 8시간 동안 최대강우강도 33 mm/hr, 유역평균 총 강우량 82 mm이 발생한 태풍 차 바(CHABA)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Radar 및 GPM 자료와 조건부합성(Conditional Merging, CM) 기법을 적용한 Radar (CM-corrected Radar) 및 GPM (CM-corrected GPM) 자료를 각각 활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 때, 공간 강우자료에 유출 검보정은 남강댐 유역 내 3개의 수위관측 지점(산청, 창촌, 남강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모형의 매개변수 초기토양수분함량, 지표와 하천의 Manning 조도계수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유출 결과는 결정계수(Determination coefficient, R2), Nash-Sutcliffe의 모형효율계수(NSE) 및 유출용적지수(Volume Conservation Index, VC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CM-corrected Radar, GPM 자료가 평균 R2는 0.96, NSE의 경우 0.96, 유출용적지수(VCI)는 1.03으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CM 기법을 이용한 보정된 공간분포자료는 기존의 자료에 비해 시공간적으로 정확한 홍수 예측에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175.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보령댐 유역(163.6 km2)을 대상으로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기 후변화 시나리오와 다중회귀분석으로 산정한 미래 방류량을 활용하여 극한 기후변화 사상이 반영된 보령댐의 물부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보령댐 유역을 대상으로 기상자료, 보령댐 운영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WAT 모형의 신뢰성 있는 유출량 보정을 위해 보령댐의 실 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고려하였고 유입량 및 방류량 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보정(2007~2010)과 검증(2010~2016)을 실시하였다. 기후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APCC의 26개 CMIP5 GCM 자료 중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4.5와 RCP 8.5 시나리오를 SPI와 극한 가뭄지수로 분석하여 RCP 8.5 BCC-CSM1-1-M을 극한 가뭄 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일별 관측자료로 다중회귀분석하여 월별 방류량 추정식을 만들었고, 1월부터 12월까지 각 식들의 결정계수 R2는 0.57 이상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극한 가뭄 시나리오 기상자료를 방류량 추정식에 대입하여 미래기간 일별 방류량을 구축하였다. SWAT 수문평가 결과, S3 (2037~2046) 기간 봄철 저수량이 34.0%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uns 이론을 바탕으로 물부족의 심도를 구한 다음 재현기간에 따른 빈도해석을 하였다. 5~10년 빈도의 심 도로 발생하는 물부족이 미래기간에 발생하는 빈도로 보령댐의 물부족을 평가하였다. 물부족 평가 결과, S3 (2037~2046) 기간에서 5~10년 빈도의 심도를 가지는 물부족이 기준기간(2007~2016) 보다 2회 더 발생하였으며 S3 (2037~2046)에 물부족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176.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망의 해석은 관망의 설치,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1차원 모형과 3차원 모형이 있으나 각각은 정확도와 계산속도의 면에서 관망 해석에 장점과 한계점을 보인다. 2차원 모형의 경우 1차원 모형과 달리 난류 점성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마찰을 모의할 수 있게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난류 점성을 모의하는 모형은 Five-Region Turbulence Model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모형에 사용되는 매개 변수들은 실험에 의한 값이기 때문에 이러한 매개변수에 따른 2차원 부정류 해석 방법의 응답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실제 상수관망에서의 수격압 데이터와 부정류 해석 모형으로 부터의 수격압 데이터를 비교하고,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른 속도 분포 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서, 난류 해석 모형의 마찰 거동과 매개변수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17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흡연 유무의 남성을 대상으로 뇌 회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회백질 부위의 기저핵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비등방성 측정값이 낮게 관찰되었으며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한 FA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흡연이 뇌 회백질 기저핵의 모든 해부학적 미세 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신경 섬유로를 손상시키고 이와 관련된 기능적 이상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178.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생산되는 벼의 저장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기 반연구로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하여 벼의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른 미생물 생육 및 성분 변화를 관찰하였다. 플라즈마 시스템은 컨테이너형 유전격벽 플라즈마로 공기방전방식을 이용하여 삼광, 청품, 미소미, 팔방미 품종을 0, 10 및 20분간 처리하여 4℃, 25℃에서 2달간 저장하여 실험하였 다. 미생물 생육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저장 초기에는 일반호기성 미생물은 3.46-3.86 log CFU/g, 곰팡이는 2.27-2.86 log CFU/g이 검출되었다. 저장온도 및 기간에 따라 일반호기성 미생물 및 곰팡이의 생육은 증가하였으며, 품종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저장한 후의 미생물 분석 결과 플라즈마 처리 군의 미생물이 약 1.50 log CFU/g 적게 생육되었다. 플라즈마 처리한 벼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저장온도가 올라가면 수분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방은 플라즈마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단백질 함량은 플라즈마 및 저장조건에 따른 일관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아밀로스 함량의 경우 삼광, 청품, 미소미 품종은 플라즈마에 의한 함량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팔방미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플라즈마에 의해 벼의 저장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품질 변화의 최소화를 위하여 저온저장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179.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ppropriate soil depth for each species should be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visual quality of the plant, including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trees and total photosyn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height, root collar diameter, dry weight- and quality index according to soil depth.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suitable plants according to container size (soil depth) when creating a container garden. The result are as follows; Pinus densiflora, Pinus parviflora and Nandina domestica have poor growth and low ornamental value at 15 cm depth. Therefore, theu will be available at a minimum depth of 20c m. Thuja occidentalis grew in 15 cm of soil depth and had a normal visual value, but it was desirable to plant 20 cm of soil depth. Ilex serrata grew at least 20 cm above depth but it was not suitable for container garden because of its low value of ornamental value. Syringa vulgaris had little difference in growth depending on soil depth. Considering the visual quality, it will be possible to plant for container gardening at a soil depth of 20 cm or more. Container gardens are an alternative to forming green spaces in places where planting is difficult in the city. Therefore, appropriate containers and plants should be selected.
        180.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ainer size on growth of Zelkova serrata, Acer palmatum, Crataegus pinnatifida, Pinus densiflora, Chionanthus retusus, Ilex serrata, Viburnum erosum, and Hibiscus syriacus in container. This study used 22 L, 38 L, and 52 L container and measured seedling height, root collar diameter, seeding quality index (SQI), biomass. Acer palmatum, Pinus densiflora and Ilex serrata were high in 22, Crataegus pinnatifida in 38 L, and Zelkova serrata, Chionanthus retusus, Viburnum erosum, and Hibiscus syriacus in 52 L regarding the relative growth of height and root diameter in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H/D ratio was fine for Zelkova serrata, Pinus densiflora, Chionanthus retusus, Ilex serrata at 22 L, Acer palmatum and Crataegus pinnatifida for 38 L, and Viburnum erosum and Hibiscus syriacus for 52 L. Seeding Weight of Acer palmatum, Pinus densiflora was heavy at 22 L. Chionanthus retusus, Ilex serrata, Viburnum erosum, Hibiscus syriacus were heavy at 38 L, Zelkova serrata, and Crataegus pinnatifida were heavy at 52 L. Zelkova serrata, Crataegus pinnatifida, Pinus densiflora, and Ilex serrata were fine at 22 L, Acer palmatum, Chionanthus retusus, Viburnum erosum at 38 L, Hibiscus syriacus at 52 L about T/R ratio. For SQI, Acer palmatum, and Pinus densiflora were high in 22 L, Chionanthus retusus, Ilex serrata, and Viburnum erosum in 38 L, Zelkova serrata, Crataegus pinnatifida, and Hibiscus syriacus in 52 L. Seedling quality wa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when the growth was balanced between the above and below ground. As a result, it is effective to cultivate Acer palmatum and Pinus densiflora at 22 L, Chionanthus retusus, Ilex serrata, and Viburnum erosum at 38 L, and Zelkova serrata, Crataegus pinnatifida, and Hibiscus syriacus at 52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