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지역과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쌀의 米質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추청벼를 10분도로 도정한 후 형태학적, 지방, 단백질, 전분 등의 특성과 texture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의 千粒重, 粒長, 粒幅, 粒두께, 長幅比 및 색깔은 재배 토양에 따라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경기지역과 다른 지역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지방 및 단백질의 함량에서도 재배토양에 따라서는 다소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지역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무기질 함량은 magnessium과 calcium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phosphate, potassium 및 sodium은 경기지방에서 약 1% 정도의 약간 높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Amylose와 호화응집성, amylograph 특성 등은 재배토양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지역간에는 유의차가 거의 없었다. Textrography특성에서는 경기지역에서 재배한 쌀이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4,000원
      2.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메밀(신농 1호)을 10℃에서 7일간 발아시켜, 24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α-amylase와 유리당의 변화를 관찰,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α-Amylase 활성도는 발아 전 1.66 U에서 발아 1일에 3.95 U로 급격히 증가하였고, 3일째에 1.09 U의 최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일째부터 다시 급격히 증가하여 발아 7일에는 9.18 U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발아 전에 maltose 1.81 ㎎%, fructose 0.42 ㎎%, glucose 7.71 ㎎%, rhamnose 6.80㎎%였다. 발아중 메밀의 유리당 함량변화에 있어서 maltose는 발아초기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3일째에 최저치를 나타내었고 4일째부터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매, fructose는 발아 2일째까지 감소하다가 3일째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Glucose는 발아전 7.71 ㎎%에서 3일째에 0.54 ㎎%까지 감소하였다가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5일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7일에는 43.18 ㎎%로 발아 전에 비해 약 5배 정도 증가하였다. Rhamnose는 발아 1일째에 1.15 ㎎%로 감소한 상태에서 이후 전발아기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
      4,000원
      3.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자 발아시 불용성 식이섬유에 대한 기초자료와 메밀가공식품 개발에 효율적인 원료를 얻고자 메밀(신농1호)을 10℃에서 발아시켜, 24시간마다 시료를 채취하여 neutu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ellulose, hemicellulose 및 lignin의 함량과 조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NDF와 ADF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발아 전 20.27%, 18.95%에서 점차 증가하여 발아 7일에는 29.31%, 27.77%였다.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함량은 발아 전 11.10%, 1.32%, 7.85%에서 발아 후 cellulose와 lignin은 점차 증가하여 발아 7일에 14.68%. 13.10%를 나타냈으며, hemicellulose는 큰 변화가 없었다. 불용성 식이섬유에 대한 cellulose, hemicellulose 및 lignin의 조성은 발아 전 54.76 : 6.51 : 38.73이였으며, 발아 7일에 50.09 : 5.22 : 44.69로 cellulose와 hemicellulose의 조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lignin의 조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rosty법과 Van Soest 범에 의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차이는 1.54∼3.18%로써 Frosty 법이 다소 높았다. 그러나 두 방법간의 평균치 검정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상관관계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r=0.9785, p<0.01)를 보였다. 발아증 cellulose(X_1), hemicellulose(X_2), lignin(X_3), soluble dietary fiber(X_4)와 뿌리신장도(Y)와의 함수관계를 다중회기분석한 결과, 결정 계수가 R_2=0.942로 매우 높은 함수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기식은 다음과 같다. Y = -12.1306 + 0.9213 X_1 - 0.1615 X_2 + 0.1071 X_3 + 0.7397 X_4 (p<0.01)
      4,000원
      4.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중 산소전달 및 소비를 계량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용존산소가 미생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5단계로 모델화하였으며 이들 단계중 특히 film resistance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단 균체에 전달된 산소는 균체의 표면에 형성된 film resistance를 통해 균에 이른다. 균이 pellet을 형성하였을 때 균사체내에서의 diffusion rate와 diffusion되면서 일어나는 산소의 소비속도와의 관계를 Lumped model 및 Distributed model을 도입하여 설명하였고, 계량화 하였다.
      4,000원
      5.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되어 Leu.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eu.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Leu. lactis, Leu. paramesenleroides, Lac. bavaricus 및 Lac. homohiochii로 동정된 대표적인 저온성 젖산균 10균주에 대하여 발효과정에서의 동태와 역할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소금 2.5%를 함유하는 무균 배추즙에 각 젖산균의 starter를 0.01%를 접종하고 10℃에서 14일간 배양하였다. 모든 젖산균들은 왕성하게 증식하여 배양 4일에 정상기에 도달하였다. 사멸기에서 곡선의 기울기는 균주에 따라 크게 달랐다. 산도는 2일에서 4일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5일 이후에는 매우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pH는 2일과 3일 사이에 급격히 감소하였고, 4일 이후에는 매우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최종 배양액의 총산도는 0.52∼0.75%, 휘발성 산도는 0.04∼0.18%이었고, pH는 3.55∼3.85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Leuconostoc속 규주의 배양액이 Lactobacillus속의 배양액보다 flavor가 좋았다. 본 젖산균들을 김치 발효용 starter로 사용하고 저온에서 숙성 시키면 숙성 소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과숙현상이 억제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6.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홍삼과 백삼의 조산성 다당체 성분과 수용성 추출물, 그리고 ginsenoside 성분이 암독소 호르몬-L에 의해 유도된 지방 분해를 저해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방분해 빛 식욕억제 인자로 알려진 암독소 호르몬-L은 sarcoma-180을 접종한 mouse의 복수액으로 부터 부분정제하여 사용하였다. 한국 홍삼과 백삼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조산성 다당체 각 분획의 성분은 10 ㎍/㎖농도 이상에서 암독소 호르몬-L이 유도하는 지방 분해에 억제효과가 있었고, 이들 중 PG_1과 PG_4에서 지방 분해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이를 더 정제한 결과 PG_4-3분획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고려인삼중 백삼과 홍삼의 각 4, 5, 6 년근별로 얻은 수용성 추출물의 암독소 호르몬-L의 지방분해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억제율은 1, 000 ㎍/㎖ 농도에서 백삼 4, 5 및 6년근이 각각 56.3, 59.7 및 59.4% 였고, 홍삼은 각각 78.6, 79.1 및 82.5%로 백삼보다 홍삼의 억제율이 높았다. 인삼 시료 g 당 총저해활성(unit/g)은 백삼의 경우 100 ㎍/㎖농도에서는 4년근이, 1, 000 ㎍/㎖농도에서는 5년근에서 가장 높았으나, 홍삼의 경우 다같이 6년근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ginsenoside 성분의 경우 지방 분해 억제율과 총저해활성이 모두 Rb_2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7.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펄프를 Serum과 불용성 펄프로 분리하고 serum 만을 방향성분을 회수하여 55∼58℃, 30∼60mmHg의 조건에서 감압증축후 재조합하는 방식으로 농축 딸기 펄프를 조제하였다. 대조구와 농축 딸기 펄프를 -18℃에서 18주 동안 저장하였을 때 두 시료 모두 가용성 고형분과 환원당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관능평가에서 조직감은 농축딸기 펄프가 낮은 품질을 나타내었으나 향미·색의 강도·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품질 차이가 없었다.
      4,000원
      8.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consciousness of nutrition knowledge and health o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on food habits between two groups of college women, a nutrition majors and a non-majors. Questionnaries were completed by 214 nutrition majors and by 145 nutrition non-major. Nutrition majors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utrition non-majors i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non-major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utrition majors in the food habits. Most of the subjects belonged to `Fair` and `Poor` food habit group. And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food habits score in nutrition majors and non-majors. There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 and food habits score in majors but it was not observed in non-majors. The higher majors had a self-consciousness of nutrition knowledge, the higher they had habit score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 but in non-majors it was not observed. And non-majors who had a self-consciousness of health were healthier, they were higher in the food habits scores than the majors. The main curriculum it is important for a good food habits that one has a responsible nutrition education in main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e should transmit the nutritional information through an effective mass media (i.e. Radio, TV, Newspaper)
      4,000원
      9.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from 25th to 29th July, 1990. The survey area were selected the mountain area in Kang Won Province. Intake of foods and nutrients of all members in the households surveyed by means of questionnaire was computed based on number of meals a day. On the other hand, daily intake of nutrients by an individual was calculated by sex, age and type of work based on the conversion rate of RDA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Adult) . 1. Status of food intake. The average food intake per person per day in surveyed area was 1103.49g. The total intake of food was consisted of 44.17% grains, 23.31% vegetables, 10.66% fruit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people in the surveyed area depended heavily on plant foods. 2. Status of nutrient intake. 1) The average intake of Calorie was 2567.54㎈ per day,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2500㎈ of RDA. 2) The average intake of protein was 82.92g per day, which was higher than 70 g of RDA. Though the quantity was above the RDA, it was largely from plant foods. 3) The average intake of calcium was 383.93㎎ per day, which was much lower than 600㎎ of RDA. 4) The average intake of iron was 11.88㎎ per day, which was nearly the same quantity as 10㎎ of RDA . 5) Intake of vitamin group were high among the inhabitants than recommended by RDA 3. The Kinds of food intake. The kinds of food intake in surveyed area were totally 66 different kinds. 4. Economic status. As for the education level, almost of the food handlers finished the primary school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364, 600 in surveyed area. Households used gas(100%) for fue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