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우 개체식별 및 친자감별에 있어 기존의 di-nucleotide repeat microsatellite marker 사용 시 발생했던 stutter로 인한 대립유전자 판별 오류 등의 문제들을 극복하고, 분석결과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tri-, tetra-, penta-, hexa-nucleotide repeat microsatellite 좌위들로 이루어진 새로운 개체식별 마커 13 종(BTRC6_01, BTRC19_02, BTRC11_03, BTRC16_05, BTRC9_07, BPC19_08, BTEC17_09, BPC21_10, BTEC4_11, BPC7_12, BPC1_13, BHXC29_14, BPC1_15)을 개발하였다. 선발된 13개의 좌위를 가지고 소 1,530두에 microsatellite typing을 실시한 결과, 총 61개에 대립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좌위별로 평균 4.69개의 대립유전자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커의 다형성과 정보력의 척도인 PIC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s)값은 0.25(BTRC9_07)~0.59(BTEC17_09)로 나타났으며 BHXC29_14, BPC1_13, BTEC17_09, BTRC16_05, BTRC19_02, BTRC6_01 좌위들은 PIC 0.5 이상 그리고 나머지 좌위들 모두 PIC 0.25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마커로서 다형성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개발한 마커를 활용하여 한우(영암, 장흥)와 유럽우 7종 (Brown Swiss, Limousin, Angus, Simmental, Hereford, Charolais, Holstein)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총 9개 집단의 Heterozygosity와 FIS (inbreeding coefficient) 값을 측정하였다. 기대이형접합율은 0.451(BS)~0.605(AG) 범위 내로, 한우는 0.532(영암), 0.545(장흥)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영암, 한우)와 7종의 유럽우들 간의 유연관계 분석은 특정 대립유전자 빈도를 근거로 한 유전적 거리의 추정으로 이루어졌다. 한우집단과 Simmental 간의 유전적 거리(0.1848)가 가장 가깝고 비교적으로 Brown Swiss와의 유전적 분포(0.3352)가 가장 먼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통발생학적으로 유전적 분화 양상을 확인함으로써 본 마커의 한우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 분석에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ropirimine, a class of antineoplastic agents, is known as one of the potent immunomodulators and is currently under clinical developmen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However, the effect of bropirimine on the cow remains unknown as a therapeutics agent.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 of bropirimine in th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 (LPS) or concanavalin-A (Con-A) was examined. Jugular venous blood was collected from Korean Hanwoo calves and PBMCs were isolated. It was used to study the effect of bropirimine upon stimulation with LPS or Con-A for 72 hours. The express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like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and Interferon γ (IFN-γ) were confirmed. Bropirimine significantly inhibited LPS- or Con-A-induced TNF-α and Con-A-induced IFN-γ in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Bropirimine inhibited TNF-α and Con-A mRNA expression at the transcription level.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bropirimine inhibited LPS or Con-A stimulated up-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conspicuous cytotoxicity. The bropirimine has potential to protect cow from LPS or Con-A induced endotoxin shock, possibly through inhibition of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t suggesting that bropirimine may be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the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This result revealed specific features of the immune responses depending on the bropirimine compound and would help to knowledge of bovine immunity.
우리나라에서 동물등록제 의무화가 실시된 이래 유기동물 발생에 대한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으며 동물등록제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고 동물등록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을 인지되어 현황 및 인식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약 400여 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의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동물등록제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관련 단체 ‘한국동물구조협회’와 인터뷰를 하였으며 외국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동물 등록제를 장려하기 위해 홍보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반려동물등록제에 대해 과반수이상이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지만, 등록제 시행은 절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는 반려동물등록제에 대해 알지 못할뿐더러 내장형 식별장치(마이크로 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반려동물등록제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홍보와 인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 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칡소는 한우의 원형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제주흑우와 비슷하게 국내 희소품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현재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Rsb 분석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 영역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7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한우와 비교하였을 때 칡소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수 있었다.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불포화지방산 대사 과정, 면역 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칡소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칡소만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가지는데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황갈색 한우의 선발신호와 칡소의 선발신호를 비교한 결과, 염색체 1번 2-2.5Mb 영역이 진화적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선발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해당 영역의 유전자를 살펴본 결과, 각 발달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우라는 공통적 특성을 가지며 진화적으로 유지, 보존하고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칡소와 황갈색 한우가 가지는 선발신호는 거의 대부분이 다르다는 것을 Rsb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집단 내 고정된 단일염기서열변이 및 이형접합율을 비교한 결과 소수 집단에서 가지고 있는 유전적 변이 감소, 유전적 흐름의 급격한 변화 등의 유전적 특성이 칡소 집단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칡소의 선발신호 분석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칡소를 비롯한 국내 한우에 대한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국내 한우 집단 차이의 정확한 원인에 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우리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는 표현형 중 외모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우라 불리는 황갈색 한우, 칡소, 흑우로 구분되어 있다. 한우 집단 중, 황갈색 한우만이 육질, 육량 형질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개량프로그램에 의해 개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황갈색 한우와 칡소의 50K 고밀도 칩을 활용하여 선발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세 가지 분석법(Rsb, iHS, FST)에 따라 인위적 선발에 의해 진화적으로 선택된 유전체영역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Rsb, iHS, FST 분석법에 따라 각각 41개, 23개, 50개의 후보유전체 영역이 칡소와 비교하였을 때 황갈색 한우에서 유의적으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후보 유전체 영역 내에 존재하는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유전자 기능에 대한 주석 달기를 진행하였을 때, 근육 발달, 면역반응 등의 기능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체 영역들이 진화적 관점에서 황갈색 한우의 적응과정에 있어서 육질 등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Economic traits are quantitative traits and are mostly controlled by a large number of genes. Some these genes tend to have a large effect on quantitative traits in cattle and are known as major genes primarily located at quantitative traits loci (QTL). However, in practice, QTL is linked to allele associates of the gene controlling traits of interest. It is hypothesized that if QTL explaining a part of genetic differences between animals are detected, the effect of the genes located at QTL could assist in estimating an animal’s true genetic value. Therefore, QTL information could probably provides accuracy of breeding value estimation as well as more genetic gain through selection of animals at relatively younger age. Marker assisted selection (MAS) is the indirect selection process where a quantitative trait of economic importance is selected not just based on the trait itself but also on the basis of marker linked to QTL. MAS could be useful for traits that are difficult to measure, exhibit low heritability, and are expressed late in development. Major genes which are responsible for QTL could possibly be identified first by using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QTL mapping. Thereafter, the information generated could be implemented for MAS in estimating breeding value.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delivering genome information into Hanwoo breeding progra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NA marker related to health index which is derived from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meat. We investigated a genetic association between two SNPs (-867G>C and 878C>T) of SCD gene and health indexes. Two health index values (index of atherogenicity and index of thrombogenicity) were derived from a comb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Phenotypic correlation indicated that oleic acid (C18:1)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index of atherogenicity (-0.84) and index of thrombogenicity (-0.91), respectively.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878T>C SN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A (index of atherogenicity, p=0.012) and IT (index of thrombogenicity, p=0.006).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the regulatory SNPs (-867G>C and -877Gdel) and health indexes. Haplotype analysis detected 4 main haplotype (GdelT; 0.004, GdelC; 0.344, CGT; 0.350 and CGC; 0.261) in Hanwoo. The GdelT haplotype was significant on IA and IT. The effect of GdelT haplotype showed increasing IA and IT values, while GdelC haplotype has a decreasing IA and IT value in Hanwoo. In conclusion, the 878C>T SNP in the SCD gene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is health index and might be implemented into animal breed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