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스프레이 장미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12년 분홍색 스프레이 장미 ‘Pink Sensation’을 모본으로, 오렌지색 스프레이 장미 ‘Orange Jam’ 을 부분으로 하여 잿빛곰팡이병 민감성이 약하고 수송성과 생산성이 좋은 황색 스프레이 장미 ‘Egg Tart’를 육성하였다(품종보호 제7791호). ‘Egg Tart’의 화형은 불규칙한 원형이고, 잎색은 짙은 녹색으로 광택이 강하였으며, 잎 수는 15매, 잎의 길이는 12.3cm로 대조품종 ‘Yellow Tea’에 비해 작았다. 잎의 형태적인 면에서 대조품종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Egg Tart’는 소엽 가장자리의 물결모양이 크지 않고 정단부 소엽이 좁은 타원형이었으며, 특히 정부의 모양은 매우 뾰족한 형태를 보였다. ‘Egg Tart’의 절화수량은 152본(㎡/년), 절화장은 78cm, 꽃잎수는 78.8매, 절화수명은 14.4일로 길어 스프레이 절화장미로서 대조품종 ‘Yellow Tea’보다 우수하였다. ‘Egg Tart’의 수출품종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같은 황색 품종인 ‘Yellow Babe’와 함께 장미 수출업체 재배온실에서 2017 년부터 3년간 실증재배를 하였고 생산된 절화는 내수시장과 일본 수출 시장에 출하하였다. 시험 결과 절화수량과 소화수는 두 품종간 차이가 없었으나 절화길이와 꽃 직경의 크기는 ‘Egg Tart’가 컸으며, 시장 가격도 내수시장과 일본 시장이 각각 송이당 845원, 758원으로 ‘Yellow Babe’ 보다 높았다. ‘Egg Tart’의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민감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잿빛곰팡이병 균주를 접종하여 병 발생 및 확산 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조품종인 ‘Yellow Babe’는 병원균 접종 후 1일 부터 감염이 되었으나 ‘Egg Tart’는 2일부터 감염되었고, 접종 후 4일에 ‘Yellow Babe’는 100% 감염되었지만, ‘Egg Tart’는 38.9%로 대조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염이 적고 확산 속도도 느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황색 스프레이 장미 ‘Egg Tart’는 기존 수출품종 ‘Yellow Babe’를 대체 가능한 품종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생산자와 시장의 기호성이 우수한 스프레이 장미 품종 ‘Haesal’의 유용한 화색변이 품종을 단기간에 육성하기 위해 삽수와 발근삽목묘에 각각 감마선을 처리한 후 변이 발생 양상과 주요 화색변이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감마선 처리 시료 형태에 상관없이 선량이 높아질수록 식물체 치사율은 높아졌고 신초의 발생량과 신초 생장량이 감소하였다. 50% 치사선량(LD50, Lethal dose 50)은 삽수는 70Gy부터, 발근삽목묘는 90Gy부터였고 변이 발생률은 삽수와 발근삽목묘에서 각각 2.6%, 3.1% 였으며, 변이형태는 양쪽 모두 완전변이체, 키메라, 그리고 꽃 형태변이였다. 감마선을 처리한 삽수로부터 ‘Haesal’과 거의 유사한 특성을 가진 화색변이 MUL-1과 MUL-2를 각각 70Gy와 50Gy 선량에서 유기하였고 특성을 조사한 결과 꽃 직경과 꽃잎수, 절화수량은 ‘Haesal’에 비해 조금 적었지만 화형과 잎의 특성, 절화장 등은 ‘Haesal’과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화 ‘수미’는 경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에서 2009년에 육성한 스탠다드 국화 신품종으로 2006년도에 백색겹꽃의 겹봉오리 발생이 적은 스탠다드 국화 ‘마꼬또’ 품종을 모본, 성장세가 좋은 국내 주재배 품종인 백색 겹꽃 스탠다드 국화 ‘신마’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2007년 실생집단으로부터 개화가 균일하고 볼륨감이 우수한 개체를 선발하여 ‘MASIN-7’로 계통명을부여하였고,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에 걸쳐 추계억제재배와 하계 촉성재배를 포함하는 특성검정을 통해최종적으로 ‘수미’를 육성하였다. ‘수미’ 품종의 자연개화기는 10월 하순이며, 백색 꽃잎을 가진 겹꽃으로 추국이다. 추계 억제재배에 있어서 초장은 70.6cm, 화경은13.0cm, 본당 곁봉오리수는 8.4개이고, 설상화수는 293.3개였다. 하계 촉성재배에서 화경은 11.9cm, 본당 곁봉오리수는 9.3개이고, 설상화수는 312.4개였다. 하계 촉성재배에서의 암기처리 후 개화소요일수가 60일이고 추계 억제재배에서는 57일이었다. 수미 는 재배온도가 20oC에서,암기처리시간은 13시간에서 개화소요일수가 47일로 개화가 가장 빨랐다. ‘수미’ 품종은 2011년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권등록(품종보호 제3758)되었다.
        4,000원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채화 높이가 절화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스프레이 절화장미 ‘옐로킹’을 모델작물로 이용하여 2011년 4월 정식하여 11월까지 4회의 수확을 통해 확인하였다. 단위면적당 절화수량(본/m2)은 채화 높이가 높아질수록 많았고 반대로 절화중과 상품률은 떨어졌는데 0과 1cm 높이는 수량과 품질면에 있어서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절화중과 상품률도 0과 1cm 높이에서 수확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3cm 이상 채화 높이가 높았을 경우 10g 정도로 0과 1cm 높이 수확보다 떨어졌다. 상품수량은 0이나 3cm 높이 수확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5cm 높이 수확 시에는 65.1본/m2으로 다른 처리에 비해 현저히 떨어져 5cm 이상으로 채화 높이를 높이는 것은 상품생산에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식물체에서 발생하는 직경이 다른 신초를 일제히 같은 높이에서 수확한 결과 새로 발생하는 신초의 직경은 채화모지 직경에 비례하였다(Table 3). 채화모지 직경이 5mm 이하인 가지는 기부에서 수확을 한다 하더라도 상품률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특히 블라인드지 발생률이 높았는데 이러한 경향은 채화 높이가 높을수록 더 심해졌다. 결론적으로 절화장미는 기부로부터 3cm 높이 이내의 높이에서 수확하는 것이 적절하고 이 때 직경이 5mm 이하인 가는 가지는 발생위치에 따라서는 수확하는 것보다 적심을 통해 측지를 발생시킨 다음 절곡하여 엽면적 확보에 이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eanroom could be largely classified into industrial cleanroom that can be contaminated by particles and bio-cleanroom that can be contaminated by biological particles. Electrical manufacturing companies producing precision machines and electrical parts essentially have industrial cleanroom facilities and clean technologies to produce defects free products due to particles. Industrial cleanroom should be controlled in respect of 4M1E to prevent from foreign materials of sub-micro unit and to keep out contamination sources from outside. In this paper, a concept for a quantitative methodology to measure the particles from running components was suggested by combining both newly making clean booth such as wear tester and laser particle counter.
        4,000원
        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미 수경재배시 적절한 엽면적확보와 상품생산에 미치는 절곡 지 굵기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1년 4월부터 11월까지 처 리별 절곡지 생장특성과 절화수량 및 품질을 조사하였다. 상품생 산을 위해 굵은 가지를 절곡할수록 절곡지 생체중과 절곡각도가 커진 반면 잎의 량은 6~8mm 굵기의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 엽 면적지수가 3.5로 가장 높았고,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오히려 2.7로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상품수량은 엽면적 지수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상품률과 절화중, 절화직경은 절곡지 굵기에 비례하였다. 절화 길이와 꽃의 볼륨감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상품성이 좋았던 등급은 절화 길이가 60~80cm였고, 80cm 이상 지나치게 굵은 가지는 줄기와 잎에 비해 꽃의 볼륨 감이 떨어져 오히려 상품성이 떨어졌다. 이와 같은 이상적인 절 화 생산비율이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63.4%로 9~11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8%가 높았고, 한편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굵은 절화 비율은 9~11mm인 가지를 절곡하 였을때 28.8%로 6~8mm인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보다 10% 높았다. 지나치게 굵은 가지를 절곡하였을 때는 절곡지 엽면적 감소와 지나치게 굵은 가지의 발생으로 인해 절화수량이 감소하 였다. 절곡후 잎과 상품수량 확보를 위해서는 줄기 굵기가 6~8mm 두께의 가지를 절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3,000원
        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숙근안개초 주산지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기술개발 의 일환으로 몇가지 품종과 배지를 이용하여 수경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식 후 15주째 배지별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화경이 추 대하지 않는 로제트 현상이 나타났는데 그 정도는 배 지에 따라 조금씩 달랐다. Cocomix에서는 모든 품종에 서 로제트 현상이 나타났는데 ‘Mirabella’와 ‘Bristol Fairy’는 100%, ‘Inbal’ 88%, ‘Ginga’ 55.5%, ‘Cassiopeia’ 5.6% 순이었다. Cocodust에서는 ‘Mirabella’와 ‘Bristol Fairy’, ‘Ginga’에서 각각 100%, 83%, 35%의 로제트 현상이 나타났으나 Mixture에서는 ‘Bristol Fairy’를 제 외한 모든 품종에서는 정상적으로 추대 개화 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Cassiopeia’는 거의 모든 배지에서 정 상적으로 추대, 개화하였고, ‘Inbal’은 Cocomix를 제외 한 다른 배지에서는 정상적으로 추대 개화를 하였다. ‘Bristol Fairy’는 모든 배지에서 로제트 현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은 로제트의 발생 정도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개화는 Cocodust와 Mixture에 정식한 ‘Cassiopeia’가 11월 16일로 가장 빨랐고, Cocomix에 정식한 ‘Bristol Fairy’가 이듬해 2월 11일로 가장 늦었다. 배지별 평균 개화소요일수는 Mixture에서 117일로 가장 짧았고, Cocodust에서 152 일, Cocomix에서는 164일로 가장 길었다. 배지별 평균 절화수량은 Cocodust에서 28.2본으로 가장 많았고, Mixture에서 26.4본, Cocomix에서 22.5본으로 가장 적 었다. 품종별 평균 절화수량은 ‘Cassiopeia’와 ‘Ginga’가 각각 36.5, 33.0본으로 가장 많았고, ‘Mirabella’가 14.3 본으로 가장 적었다.
        4,000원
        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스타티스 ‘Ocean Blue’와 ‘Fantasia’의 하계 및 동계재배에서 저온 및 GA3 처리가 스타티스의 개화와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7주간 육 묘한 스타티스를 하계 및 동계재배에서 4주간 저온처리 (3oC), 400mg·L−1 GA3 처리, 그리고 2주일간의 저온처리 와 200mg·L−1 GA3의 혼합처리는 동계재배에만 적용하 였다. 하계재배에서는 ‘Ocean Blue’와 ‘Fantasia’ 모두 저 온처리에 의해 각각 16%, 53%의 절화수량이 증가하 였고, 특히 ‘Ocean Blue’는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추 대와 개화가 촉진되었다. 동계재배에서도 두 품종 모두 저온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생육량이 많았고, ‘Fantasia’ 의 분지수와 엽수는 월등히 많았다. ‘Fantasia’의 저온 처리에서 절화수확량이 대조구에 비해 약 35%가 증가 하였고, 추대와 개화가 각각 20일과 10일정도 촉진되 었다. 저온과 GA3 혼용처리 시 추대는 품종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없지만, ‘Fantasia’에서 개화가 촉진되고,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좋은 품질의 절화를 생산하였다.
        4,000원
        9.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most problematic disease in Boxthorn is Anthracnose. New variety with Anthracnose-resistant is good for high yield and Safe fruit production in open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variety with Anthracnose -resistant and high yield. Methods and Results : The new boxthorn line, CB10511-104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Cheongun (IT232599) and CB08456-113 to breed new variety with high yield and Anthracnose-resistant in 2011. Its preliminary yield test was performed from 2012 to 2013 and the selected line was named Cheongyang 25. Its regional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in Cheongyang, Yesan and Jindo for 3 years, from 2014 to 2016. Cheongyang 25 was registered as the new variety, Cheonggeum, in 2016.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ree shape is open type and the leaf is round-lanceolate. The flowers are normal size and purple. The fruit is large size, round oval and yellowish red. The flowering was June 19 with medium flowering. Number of sprout branch by pruning was generated more than the check variety, Cheongmeong. The infection rates on leaves to Eriophys macrodonis Keifer was as strong as 39.6 percent. Anthracnose on fruits in open field was slightly similare compared to the check variety, but check variety was Anthracnose-resistant. The content of betaine and free sugar in dried-frui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variety. The dried-fruit yield was decreased about 17 percent in open field. Conclusion : This variety ‘Cheonggeum’ wa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open field because of Anthracnose-resistant. It is necessary the companion variety, Cheonghong, because of self-incompatible.
        10.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effective components of Omija(Schisandra chinensis Bailllon) are lignans (schizandrins and gomisins), and this components were contented mostly in seed part on Omija, which have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such as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ive condition(CO2, CO2+ethanol) on extraction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SFE) system and to find interrelation on effe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and residues obtained after extraction. Effective components were analysed lignans an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rty was determined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n methanol extracts of SFE-extract and SFE-residue. On SFE with ethanol, SFE extract was separated two phase, upper(water phase) and lower(oil phase). SFE-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lignans content(61.36 mg/g, 72.14 mg/g on lower, 50.58 mg/g on upper) and the lowest total phenolic compounds(6.52 mg/100g) and SFE-residue showed the lowest total lignans content(1.45 mg/g) an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s(16.23 mg/100g) by extracted on CO2+ethanol treatment. SFE-residu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nd SFE-extract upper showed the lowest. Conclusion : Thus, this results showed SFE-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lignans content, but SFE-residue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lthough the lowest total lignans content.
        1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s the farmers who grow Chinese matrimony vine (Lycium chinense Miller) in rain-shelter greenhouses incre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ltivar with self-compatibility and high quality. Methods and Results : The new boxthorn line, CBP06419-243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CBP03310-250(IT232705) and CBP05399-1 to breed the cultivar with self-compatibility and high quality. These lines used for crossing was tetradilpoid induced by the colchicine treatment on bud. Its preliminary yield test was performed from 2009 to 2011 and the selected line was named Cheongyang 18. Its regional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in Cheongyang, Yesan and Jindo from 2012, 2014, 2015 and Cheongyang 18 was registered as the new variety, Whasu, in 2015.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ree shape is semi-open type and the leaf is lanceolate. The flowers are distinctly larger. The fruit type is medium size, long oblong and yellowish red. The flowering was June 21 with medium flowering. Branching by pruning its sprout was generated less than the check variety, Cheongmeong. The infection rates on leaves to Eriophys macrodonis Keifer was as strong as 7.7 percent. Anthracnose on fruits in open field was slightly severe compared to the check variety, but the infection rates in rain shelter greenhouses was similar. The content of betaine and free sugar in dried-frui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heck. The dried-fruit yield was decreased about 13 percent in open field, but increased 18 percent in rain shelter greenhouses. Conclusion : This variety ‘Whasu’ was suitable for cultivation in plastic film greenhouses because of self-compatibility and high-yielding. It is not necessary the companion variety.
        1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etraploid plants are bigger in the size of fruits, leaves, stems, and roots than diploid plants due to bigger cells attributed to chromosome multiplication. The advantage of tetraploid plants includes breakdown of self-incompatibility and increase of disease resist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ain tetraploid resources for breeding of new boxthorn varieties having pest resistance, higher yield, and self-compatibility. Methods and Results : Tetraploid lines for this study were C0148-10 and C0412-1 from Cheongyang-jaerae (CJ), M0148-94 and M0148-120 from Myongan (MA), B0148-43 and B0148-78 from Bulro (BL), D0148-62 and D0148-72 from Cheongdae (CD), and Y0148-2 and Y0148-24 from Youngha (YH). Flower width ranged 13.2~17.4mm. Flower, pollen and anther were bigger than the mother plants. Pollen germination rate of the tetraploid lines ranging 36.1~58.8% was lower than mother plants (46.5~67.6%). Self-fertilization rate in 4 varieties, MA, BL, CD and YH was low as 1.3%, 4.0%, 1.4% and 4.7%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mother plants are self-incompatible. Self-fertilization rate in tetraploid lines was higher as 58.1~87.5% and B0148-43, M0148-120, and D0148-72 showed the highest self-fertilization rate over 80%. Conclusion : Tetraploid lines showed higer self-fertilization rate than mother plants that they were expected as valuable resources for new boxthorn variety having self-compatibility.
        1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etraploid plant is bigger in size of organs like leaf, stem, fruit, and root than diploid plant by chromosome doubling. Also, Self-ìncompatibílity disappeares and disease resistance is strengthened in tetraploid plant. To breed new boxthorn variety having bigger fruit, higher yield, pest tolerance, and, self-compatibílity, tetraploids was induced for tetraploid breeding resources by colchicine treatment in each boxthorn variety. Materials and Methods : Colchicine was treated in Myongan, Cheongdae, Bulro, and Youngha for 0.1% concentration and 48 hours. Polyploid was identified by flow cytomertry(Partec, PA-1) and chromosome numbers of polyploid individuals were examined by aceto-carmine stain. Conclusion : Colchicine was treated in Myongan, Cheongdae, Bulro, and Youngha for 0.1% concentration and 48 hours. Tetraploid was induced as 13, 9, 6, and 5 individuals in Myongan, Cheongdae, Bulro, and Youngha respectively by above colchicine treatment.
        14.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cently new breeding goal setting is required to develop new boxthorn variety with superior treats of bigger fruits, higher yield in fruits and sprout, pest tolerance, higher medicinal functionality, and self-compatiblity. Various genetic resources also should be retained for this go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oxthorn tetraploid for breeding resource. Methods and Results : Colchicin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for polyploid induction were 0.1, 0.2, 0.4, 0.6% and 12, 24, 36, 48hours respectively. Polyploid was identified by chromosome numbering of individuals by aceto-carmine stain which were examined for polyploid by flow cytomertry(Partec, PA-1) in advance. Conclusion : When cuttings of Cheongyang-jaerae were treated by colchicine to induce tetraploid, survival rate decreased as colchicine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increased. Rate of individuals having over 30 chloroplast number of stomata guard cell was highest as 37.5% in colchine 0.1% and 48 hours treatment. 8 of them were identified as polyploid by flow cytometry and tetraploid induction efficiency was highest as 6.0% in colchine 0.1% and 48 hours treatment. According to chromosome number examination, 3 of 8 individuals were aneuploid and 5 were tetraploid.
        1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process for making yacon leaf tea. We applied both green tea and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for producing yacon leaf tea. This research included consumer test and descriptive analysis of professional trained panel on yacon tea tastes and flavors. Both consumer test and descriptive evaluation preferred yacon tea produced by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because it tasted less bitter and had a sweet, delicate taste. According to orthogonal transformation resulting from varimax rotation,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positively affected by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while it was negatively affected by green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d black tea brewing and fermenting methods were appropriate for producing yacon leaf 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