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52

        1.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assive or therapist-assisted stretching, followed by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s,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stretching individual muscles or specific movement directions, often neglecting the role of active scapular stretching. Objec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lower trapezius (LT), serratus anterior (SA), and upper trapezius (UT), as well as the scapular posterior tilt (SPT) angle before and after scapular circle (SC) stretching during SPT exercise. Methods: Twent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Electromyography electrodes were attached to the LT, SA, and UT. Muscle activity and the posterior scapular tilt angle were measured while performing the SPT exercises. After the SC stretch,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in the same manner. The LT, SA, and UT electromyography activities and SPT angl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Results: LT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 stretch plus SPT exercise compared with in the SPT exercise alone (p = 0.018).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 activity between the SPT and SC stretch plus SPT exercise conditions (p = 0.812). UT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C stretch plus SPT exercise compared with that in the SPT exercise (p = 0.001). The SPT angle was significantly enhanced during SPT exercise after the SC stretching compared to that without SC stretching (p = 0.009). The RSP improved by 2.32% compared to the initial posture when only the SPT was performed, and improved by 9.95% when the SPT was performed after the SC stretching.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forming SC stretching prior to SPT exercise may effectively improve scapular alignment and posture, even when UT activation increases more than of the LT. Elevated UT activity highlights the need to address muscular balance in corrective exercise design.
        4,000원
        2.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gluteus medius (Gmed) and quadratus lumborum (QL) muscle activities and the Gmed/QL activity ratio, during five hip abduction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Gmed weakness. Objects: Nineteen participants with clinically identified Gmed weakness performed five hip abduction exercises: side-lying hip abduction (SHA), side-bridge (SB), SB using sling (SB-sling), SB with hip abduction (SB-HA), and SB-HA using sling (SB-HA-sling). Surface electromyography recorded Gmed and QL, normalized to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 repeated-measures ANOVA was used to assess differences across condition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med (F = 68.980, p = 0.001) and QL (F = 10.676, p = 0.001) activation across exercises. Gmed activity was highest in SB-HA (61.77 ± 14.46 %MVIC), while SHA produced the highest Gmed/QL activity ratio (1.70 ± 0.26), indicating more selective Gmed activation. SB and SB-sling showed lower Gmed activity and higher QL activation. SB-HA-sling resulted in moderate Gmed activation without significantly increasing QL activation. Conclusion: The SB-HA exercise is effective for co-activating Gmed and QL, while SHA and SB-HA-sling are better suited for selectively targeting Gmed with minimal QL compensation. These findings support exercise selection based on specific rehabilitation goals.
        4,000원
        3.
        202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문헌 고찰의 목적은 성인 뇌졸중 후 인지장애를 대상으로 한 가상현실 기반 인지 중재가 다양한 인지기능에 미 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 Embase, MEDLINE, PsycINFO, PubMed, Web of Science를 사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 다. 검색된 문헌은 문헌 선정 과정에 따라 1저자의 검토를 거쳤으며, 이를 교신저자가 감독하였고 최종 6개의 논문이 선정 되었다. 선정된 논문은 근거 수준, 실험군과 대조군에 제공된 중재의 구성, 주요 종속변인 및 평가도구에 대하여 분석하였 다. 결과 : 6개의 논문을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본 결과 6편의 논문은 2016년에서 2025년에 출판되었다. 연구의 근거 수준을 살펴본 결과, 5편의 논문이 Level 3인 비무작위 실험연구로 나타났다. 6편의 논문은 모두 뇌졸중을 진단받은 자를 대상 으로 하였고 심각한 인지장애, 주요 정신과적 혹은 신경학적 질환, 시각장애, 우울증 등을 가진 자를 제외하여 중재 적합 성을 높였다. VR 기반 인지 중재 또는 작업치료가 실험군과 대조군에 시행되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기존 작업치료나 로 봇 기기와 병행한 중재가 제공되었다. 중재는 일반적으로 주 3회 이상, 4주 이상의 기간에 걸쳐 시행되었다. 중재 효과 측정을 위해 다양한 인지 평가 도구들이 사용되었으며, MoCA를 이용하여 평가한 논문이 3편으로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 로 VR 기반 인지 중재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주의력, 기억력에서 향 상을 보인 연구가 각각 5건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5개의 논문이 표본 수의 제한, 비무작위 설계, 평가자 맹검 부재 등의 한계로 인해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이 낮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VR 기반 인지 중재를 사용하여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근거 수준, 연구에서 제공된 중 재의 구성, 주요 종속변인 및 평가도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작업치료학을 포함한 보건의료학 분야에서 보다 높은 근거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5,200원
        5.
        202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난민 보호를 (1) 수용 역량, (2) 국제 기준과 의 법·정책적 정합성, (3) 재정적·제도적 기여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구 성된 부담 및 책임 분담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한다. 카자흐스탄, 키르 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을 비교한 결과, 국가별 난민 보호에 대한 관여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타 지키스탄은 가장 많은 공식 등록 난민을 수용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은 난민 유사 상황에 처한 인구가 가장 많다. 1951년 난민협약과의 법적 정 합성은 국가별로 상이하며, 재정적 기여는 제한적으로, 카자흐스탄과 키 르기스스탄만이 UNHCR에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다섯 국가 모 두 난민에 관한 글로벌 콤팩트(Global Compact on Refugees)에 참여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역량과 정치적 의지 면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난민 책임 분담 접근 방식은 점진적으로 진화하고 있 음을 보여준다.
        9,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