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ntify the optimum plantlet type of ‘Solara’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for growth in an aeroponics system. Plantlets of ‘Solara’ were transplanted on March 16, 2015 in a greenhouse, and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t 70 and 78 days after transplanting, respectively. Stem length was shorter in plantlet of 15-day-old stem cuttings and acclimatization of culture, and the stem length of plantlets of stem cutting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tem cutting age. The fresh weight of plants was the highest in the plantlets of 40-day-old stem cuttings and the lowest in non-rooted stem cuttings and acclimatization of culture. The highest number of first stolons was obtained in 35-day-old stem cuttings. The number of second stolons was the highest in plantlets of 35-day-old stem cuttings, acclimatization of culture, and 30- day-old stem cuttings. The total number of tubers was higher in plantlets of 35-day-old stem cuttings and acclimatization of culture, and the number of tubers above 3 g was the highest in plantlets of 35-day-old stem cuttings. The weight of tubers above 3 g was the heaviest in plantlets of 35-day-old stem cuttings(1,947 g per 10 plants), followed by plantlets of 30-day-old stem cutting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antlets of 30 to 35-day-old stem cuttings could be the best for production of ‘Solara’ potato tubers in an aeroponics system.
        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품종 ‘제서’는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감자 육종프로 그램에 의해 육성되었다. 1999년부터 2001년 까지 ‘체세포잡 종’을 모본으로 ‘대지’를 화분친으로 하여 2회의 여교잡에 의 해 유래되었다. ‘제서’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괴경특성, 병 저항성,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2년 동안 4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품종의 괴 경특성은 원형, 얕은 눈의 깊이, 황색의 표피색과 짧은 휴면 기간을 갖고 있다. 또한 이 품종은 더뎅이병, 무름병, 및 감자 잎말림바이러스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다. 그러나 감자 바이러 스 Y와 역병에는 감수성이었다. ‘제서’의 평균 수량은 2012 년 봄, 가을재배 결과 38.8 ton/ha로 ‘대지’의 수량보다 적었다.
        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흑깨'는 2006년에 국립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에서 육성한 품종으로 내병성은 약하지만 다수성 품종인 '유성깨'에 내병성이 강하면서 다수성인 '수원131호'를 교배한 후대에 고품질 다수성인 '경북1호'를 1994년에 3원교잡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표준품종에 비하여 수량성이 높고 총아미노산 함량이 많으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한 고품질 품종이다. 경장은 125 cm이고, 주당 삭수는 77개이다. 1,000립중은 2.57 g이고 기름함량은 표준품종보다 약 4
        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윤흑'은 내병성이 개선되고 다수성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다수성 계통인 유성깨에 고품질 내병성인 건흑깨를 1995년에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6년간의 계통육성을 통하여 유망계통을 선발하고 2002년부터 3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거친 후 전국 9개의 지역에서 3년간의 적응시험을 통하여 선발된 것으로 '윤흑'은 수량성이 높고 내도복성이면서 검정색 착색도가 진하고 레놀렌산 함량이 많은 고품질 품종이다. 또한 우리나라 기후조건에서 단작 및 이모작형의 광
        5.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ulbora” is a new leaf vegetab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iety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pdeulkkae1/YCPL173 and YCPL199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RDA, in 2005. Wrinkled leaf shape and purple color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