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sumption behavior of housewives in the Jeonju area with respect to their u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EAPs) and to assess the need for EAPs in childcare centers also in the Jeonju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and collected from 278 housewives 42.4% of whom employed and 57.6% were unemploy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v. 12.0. The average score of awareness about EAPs was 3.57±0.56.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purchased EAPS was 76.3% regularly. On this group, 40.3% purchased EAPs 1~2 times in week. Unemployed housewives purchased more than employed housewives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rgin(p<0.05). The most-purchased EAPs were vegetables.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that housewives reported in relation to foodservice provided in childcare centers was 3.66±0.58. About 65%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was an important factor for them in choosing of a childcare centers. Approximately 42% of the housewives responded that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was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of foodservice provided in chidcare centers.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wanted to expand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even though the parents would have to bear some of the financial burden was 42.5%. A higher proportion of employed housewives wanted to expand EAPs-foodservice in childcare centers more than unemployed housewives, and this fin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ixed seasoning products with Korean chili peppers(Capsicum annuum L.)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a sensory evaluation. One-hundred chili pepper-related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American local favorites and analyzed for composition. Four different seasonings were prepared for the value-added seasoning products, and their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e Korean fish chili seasoning product show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to local American seasoning(McCormick). The completed Korean chili seasoning products contained red pepper(20%), various herbs(31.7%), salt(11.5%), mushroom(8.6%), garlic(8.5%), curry, paprika(5.7%), and citron(2.8%).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mixed seasonings from foreign countries into Korean dishes.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식품위생관련 세균의 불활성화를 위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시간)을 최적화하다. 균주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P.aeruginosa가 0.9155(P<0.05). E. coli는 0.8997(P<0.05).S. typhinurium은 0.9690(P<0.01), E. aerogenes는 0.9393(P<0.05) 및 V. parahaemolyticus는 0.7905로 나타났다 가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주의 생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에는 반응온도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균주의 불활성화를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을 작성한 결과. 55.62∼60℃에서 19.25∼30분간의 처리가 균주으 불활성화 최적조건이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과 비전공여대생의 모발영양지식을 파악하고 모발영양에 관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과 수강하지 않은 대상자들간의 모발상태. 모발행등 등을 연구하고자 청주에 있는 피부미용과 여대생 146명과 비전공여대생 145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발영양지식은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훨씬 높았고. 모발의 진단을 받아본 경험도 전공대상자가 높았다. 그러나 모발상태. 손상원인 모발에 관한 걱정은 두 그룹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모발관리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보다 많이 하고 있었고, 모발손질 횟수도 전공대상자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미용실 출입횟수는 2∼3달에 한번이 가장 높았고,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1회 머리손질 비용도 전공대상자가 비전공대상자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고. 샴푸의 선택기준은 두 그룹 모두 샴푸의 질과 본인 모발의 상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부미용전공 여대생은 모발영양관 모발관리학 등에 관한 수업을 받았기 때문에. 모발영양 지식이 많아 모발행동이 더 바람직하였고 도발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였다. 그러므로 모발에 관한 교육 건강한 모발을 유지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모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전공여대생들에게도 모발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감자절편를 고농도용애에 침지하여 탈수시킨 결과 침지용액을 구성하는 용질의 분자량에 따라 탈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분자 용액 인 NaCl. PEG 400 용액에 침지만 경우 조직의 뒤틀림현상(cytorrhysis)은 나타나지 않고 부피의 감소와 수분의 탈수현상이 나타난 반면 고분자 용액인 PEG 4000, PEG 6000용액에 침지한 경우cytorrhysis 현상을 동반한 부피의 감소와 탈수현상이 나타났다. 초기 탈수속도는 저분자용액에 침지시 더 빨랐으나 최종 탈수량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 더 컸다. 고장성 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시켜 탈수되는 기작이 두가지 압력(삼투압, 분자압착력)에 의해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모델을 제안하여 검정한 결과 제안된 모델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의 탈수현상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였다 모델에서 구해진 압력인자(ΔP)와 농도인자(a)는 온도(T)와 농도(C)의 함수로 표현되며 계수의 탄력성 검정결과 농도에대한 의존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죽순의 가공 식품으로서의 적합성을 규명하고 염장죽순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차여 왕죽, 분죽, 맹종죽 죽순의 화학적 특성과 염장 죽순 제조 과정에서의 화학적 성분변화를 검토하였다. 수분. 조지방 함량은 염장기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고 조단백. 회분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pH는 염장 80일째까지 감소하였다가 80일 이후부터는 다시 증가하였고 염 농도는 맹종죽 죽순이 가강 높은 염 농도를 보였으며 숙성이 진행되는 60일째 최고 염 농도를 보였다가 그 이후는 조금씩 감소하였다. 탄닌과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염장 중에 계속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세린 아르기닌. 알라닌. 로이신. 티로신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고,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염장 120일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아르기닌이 가장 빠른 감소 폭을 보였으며 세린. 알라닌. 로이신 등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원료 죽순 중 왕죽 죽순이 1.060.18㎎/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맹종죽 죽순이 612.29㎎/100g. 분죽 죽순이 539.76㎎/100g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염장 죽순은 맹종죽 죽순이 76.60㎎/100g으로 가장 높았고 분죽 죽순이 44.43㎎/100g.왕죽 죽순이 43.70㎎/100g 나타나 염장 중 유리 아미노산의 감소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무기성분의 경우 Mg, Ca. Na을 제외한 대두분이 원료 죽순에서 높은 함량이 분석되었는데 윈료 죽순은 K>P>Na>Ca>Mg>Fe>)Zn>Mn>Ge>Gu의 순으로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 Fe. Zn. Mn, Ge, Gu의 함량은 서서히 감소하고 K, Mg. Na. Ca의 함량은 증가하여 염장 l20일째에」Na>K>Ca>P>Fe>Ge>Mn>Zn의 순으로 Na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식품위생관련 세균의 불활성화를 위한 가열처리 조건(온도. 시간)을 최적화하다. 균주의 생육에 대한 반응표면 회귀식의 R^2은 P.aeruginosa가 0.9155(P<0.05). E. coli는 0.8997(P<0.05).S. typhinurium은 0.9690(P<0.01), E. aerogenes는 0.9393(P<0.05) 및 V. parahaemolyticus는 0.7905로 나타났다 가열처리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주의 생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육억제에는 반응온도가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가열처리 조건에 따른 균주의 불활성화를 종합하여 superimposed contour map을 작성한 결과. 55.62∼60℃에서 19.25∼30분간의 처리가 균주으 불활성화 최적조건이었다.
전남 일부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녀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음료 섭취량과 음료 섭취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음료의 기호도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단위 체중당 음료 섭취량은 총평균 28.5ml로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별로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1일 평균 음료 섭취량은 총 671.66ml이며 각 음료군별로는 물 304.1ml, 탄산음료류 156.9ml. 유제품류 110.5ml. 과일쥬스류 36.2ml, 야채쥬스류 15.5ml. 커피 및 코코아류 32.9ml, 한국 전통음료류 26.5ml로 나타났고 남.녀별로는 남학생이 685.5ml로 여학생 654.9ml보다 높게 나타났다. 카페인음료는 고교생이 중학생보다 더 많이 섭취하였다(p<0.05). 음료 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면 간식을 자주 먹는 사람이 가끔 먹는 사람보다 음료 섭취량이 높았으며 식사내용과의 관계에서는 육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음료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빵식을 자주 하는사람이 매끼 밥식을 하는사람 보다 음료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1) 높게 나타났다. 기호도가 높은 음료는 오렌지 쥬스, 물. 우유, 요구르트, 식혜 등이고 싫어하여 먹지 않는 것은 전통차가 많았으며, 먹어본 경험이 없는 것도 대부분 전통료유와 주류로, 전통음료에 대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The stabilization of amylolytic enzyme such as β-amylase of barley, β-amylase of wheat, β-amylase of sweet potato, α-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α-amylase of Aspergillus sp. and α-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was attained by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The pH stability of modified enzyme was increased at pH 9 for β-amylase of sweet potato, pH 3∼5 and 8∼11 for β-amylase of barley, pH 2∼3 and 7∼12 for β-amylase of wheat and pH 6 for α-glucosidase of Aspergillus awamori. Thermal stability increased 17.6% for α-amylase of Aspergillus sp. at 60℃ for 10min, 30% for α-amylase of Bacillus licheniformis at 100℃ for 5min and 4.5% for α-amylase of sweet potato at 60℃ for 10min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enzy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