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오리엔탈-트럼펫(OT) 종간잡종나리 ‘Pink Bella’를 개발하였다. 2008년 연노란색 OT 종간잡종나리 ‘Valparadiso’와 붉은색의 오리엔탈나리 ‘Scalini’를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화주 절단 수분법과 주 두교배법으로 각 3화를 인공교배하였고, 교배 후 미숙한 3개의 꼬투리를 수확하여 배가 형성된 배주를 기내에서 배양하여 잡종을 획득한 후 재배하였다. 육묘한 배양묘로부터 2011년 분홍색의 OT 종간잡종 나리 ‘OTO-11-43’ 계통을 개체 선발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선발된 계통은 자구와 인편번식, 조직배양을 이용하여 번식 및 양구한 후 1, 2차 생육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2018년 3차 생육특성검정 및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수행한 결과 화색 및 화형에 대한 기호도가 높은 분홍색(RHS, RP62C)의 조기개화성 절화용 OT 종간잡종 나리 ‘Pink Bella’를 육성하였다. 3배체의 OT 종간잡종 나리로 초장은 131.7cm로 초장신장성이 우수하였다. ‘Pink Bella’의 화폭은 18.6cm이며 대조품종 ‘Table Dance’의 18.4cm와 유사한 크기였으며, 내화피의 폭, 길이 역시 대조품종과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Pink Bella’의 개화기는 6월 15일로 대조품종 ‘Table Dance’의 6월 28일에 비교하여 개화기가 13일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 for the traditional food provided by secondary school food services in male and female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certain areas of Gyeonggi-do. The summarized results are from a survey of 300 students. Forty seven percent of the men and women had BMI indexes within the normal range. In an investigation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traditional food, ~81.3% of the total respondents stated that Korean food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culture best defined traditional Korean food(p<0.01). In a reason of being concerned about the traditional food, man and woman student who responded "through mass-media" was the most. Concern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traditional food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s, ~67.3% of total respondents responded with "satisfaction", this was double the number of responses indicating "unsatisfaction". In an order of preference of traditional Korean foods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s, noodles, dumplings, stew, and Jungol rated the highest in preference. Seasoned vegetables, raw vegetables, radishes seasoned with soy, and salted fish were the foods with the lowest preference ratings; the students did not prefer to those foods. Especially, soup(p<0.01), broth(p<0.05), roast(p<0.01), and hard boiled food, and fried food(p<0.05)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regarding gender preference.
It was conducted to assess GABA(γ-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s. For germination, samples were soaked in 5% glutamic acid solution and 5% lactic acid solution as test group to investigate GABA producing capacity, and samples soaked in the solution without glutamic acid and lactic acid were set as control groups(rice and non-germinated brown rice). The GABA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44.80 ㎍/g for rice, 59.90 ㎍/g for non-germinated brown rice, 146.70 ㎍/g for germinated brown rice, 203.20 ㎍/g for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glutamic acid solution and 222.5 ㎍/g for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lactic acid solution,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GABA producing capacity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glutamic acid and lactic acid in the soaking solution for brown rice germination. The GABA content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lactic acid solution greatly increased, along with increases in niacin and vitamin E contents without losing vitamin B1.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lactic acid in soaking solution is most suitable for germination of brown rice.
증류주에서 중요한 향미 물질인 에스테르 생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효완료 술덧에 알코올과 함께 존재하는 초산, 젖산, 구연산 같은 유기산의 종류별, pH별, 증류 온도별로 에스테르 생성 과정을 실험하였다. 유기산의 종류별 실험에서 생성 에스테르량은 ethyl acetate가 기주에 비해 최고 2, 890%, ethyl lactate가 최고 6, 410% 및 iso-amyl acetate가 최고 5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시 pH는 중요한 요인이며,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ace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1, 09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온도는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가압 (약 1.9 기압) 증류액은 상압 (1기압) 증류액보다 ethyl acetate 생성은 18% 증가하였고, iso amyl acetate 생성은 24% 감소하였고, 젖산 첨가 에스테르화 가압 증류액은 상압 증류액보다 ethyl-lactate 생성이 33%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시간은 pH 3.0에서는 ethyl acetate 생성은 반응시간 240분으로 충분하고, ethyl lactate 생성은 30분 이상 긴 반응 시간이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증류주 제조에 있어서 2차 증류시 1차 증류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증류하면 에스테르량이 증가한 2차 증류액을 얻을 수 있었다.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headspace법, SPME법 및 SDE법으로 생생강(Zin-giber officinale R.)으로부터 총 61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alcohol류가 19종, carbonyl 화합물이 15종, terpene관련 화합물이 23종, ester 화합물이 4종으로 나타났다. Headspace법에서는 SDE법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휘발성이 강한 acetaldehyde, ethyl acetate, 2, 3-butandione 등과 같은 저비점 휘발성 성분들이 확인되었고, SPME법에서는 총 31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SDE법에서는 총47개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headspace법과 SPME법에서 확인되지 않은 고비점 성분들인 elemol, zingiberenol, β-eudesmol, β-sesquiphellandrol등과 같은 sesquiterpenoids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Peak의 면적비(%)에 의한 방법간의 양적인 면을 비교하여 보면 생강의 주성분인 zingiberene의함량은 SPME법에서 41.5%로 가장 많았으며, headspace법 9.4%, SDE법 8.3%로 나타났다. 생강 냄새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eral과 geranial의 피크면적(%)은 SDE법에서 7.7∼10.7%로 가장 많았으며, headspace법 0.3∼1.8%, SPME법 0.9∼2.0%로 나타났다. 3가지 추출방법으로부터 확인된 성분과 그들의 조성은 차이가 있는데 이는 전처리시 추출조건 및 흡착물질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천연물로부터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고자 할 때 essentialoil 중에 함유된 휘발성분 분석에는 SDE법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저비점 휘발성분 분석에는 headspace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Korea, chilli pepper (Capsicum annum L.) is a major vegetable crop. The pepper seed market is about $35 million and the whole sale market including processed products is equivalent to $2 billion, representing the second highest market value among crops, next to rice in Korea. Since the development of elite pepper variety is so competitive, vegetable seed companies usually run two important programs to keep the credibility of seed quality. One program is to deliver F1 hybrid seeds with a high purity test to farmers. The purity control of parents and F1 hybrid to avoid any contamination is conducted by DNA markers because pepper seeds are obtained using MS line. The other program is to identify the F1 variety from other varieties by analyzing the polymorphism so that the company and/or breeder protects the intellectual property from copying by others or from non-intentional contamination.
We have developed about 900 EST-SSR sets from pepper and used to both programs. A total of 66 markers were selected to identify 32 F1 varieties and their own parents. Using these markers, the purity control of F1 hybrid rose up to the highest degree. We also found several SSR markers to distinguish F1 variety from other varieties and these markers could be useful to find the uniqueness of F1 cultiv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