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3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축산물을 수출한 국가들이 2022년과 2023년 에 제출한 2019-2022년 국가별 잔류물질검사프로그램(NRP) 자료를 바탕으로 축산물 유형별, 국가별로 잔류허용기준 을 위반한 동물용의약품과 환경오염물질의 현황을 분석하 였다. 가장 많이 위반된 잔류물질은 네오마이신 2 4 1건, 페 니실린G 183건, 겐타마이신 151건, 세프티오퍼 113건, 니카 바진 103건 등이였고 축산물별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가 금육, 우유, 계란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잔류 위반이 가 장 많았던 소고기에서는 페니실린G, 세프티오퍼, 플루니신 , 네오마이신, 벤질페니실린, 멜록시캄, 플로르페니콜, 질 파테롤 등 전염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와 해열제 및 성장 촉진에 사용되는 동물용의약품이 주로 검출되었지만 , 돼지고기에서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락토파민 과 항생제인 독시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벤질페니실린, 난드롤론, 티오라실, 스트렙토마이신 및 임신 촉진에 사용 되는 호르몬이 가장 흔하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 금육에서는 콕시듐증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인 니카바진 이 가장 많이 위반되었으며, 스트렙토마이신, 아미노글리 코사이드 항생제, 벤질페니실린, 독시사이클린 및 기타 항 생제가 그 뒤를 이었다. 동물용의약품의 잔류 위반은 많 은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다이옥신과 PCB와 같은 환 경오염 물질의 잔류는 주로 유럽 국가에서 보고되었다. 국 가별 잔류물질의 차이는 각국에서 사육되는 가축과 사육 관리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소고기의 잔류 수준이 높은 것은 소는 다른 동물에 비해 질병 발생 시 개체별로 치료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는 수입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가별, 축산물별로 중점 적으로 검사가 필요한 물질을 제시함으로써 매년 실시하 는 수입 축산물 잔류물질검사를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4,0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Various treatments are being tried for lumbar neuropathy. Among them, neural mobilization aims to reduce peripheral nerve sensitivity by stimulating them directly. Similarly, applying kinesiotape stimulates skin and joint receptors around the nerves, thereby affecting nerve function and movement.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 of low back pain on the neural mobilization and kinesiotaping.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the neural mobilization exercise with kinesiotaping group (NEKTG, n=10), the neural mobilization exercise group (NEG, n=10), and the kinesiotaping group (KTG, n=10). Each group performed six intervention sessions over two week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suring the numeric pain rating scale (NPRS) and straight leg raise (SLR)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each group. Results: NEKTG, NEG, and KTG all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back pain index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LR angles before the experiment were identical across the three groups. The SLR angl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as follows: the SLR angle significantly increased in NEKTG.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LR angle in NEKTG compared to both NEG and KTG. Conclusion: Neural mobilization combined with kinesiotaping provided better therapeutic effects regarding pain reduction and neurodynamic improvement compared to alone kinesiotaping and mobilization with chronic low back pain.
        4,000원
        4.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후변화와 세계시장 개방에 따른 외래 및 돌발해충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밀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 만 발생 실태에 관한 자료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돌발 및 남방계 해충의 발생과 피해조사를 위해 미국선 녀벌레, 썩덩나무노린재, 담배거세미나방 등 3종을 경남 18시·군에서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는 약충기(6월), 성충기(9월) 조사를 진행하였고, 길이가 50cm 이상되는 가지의 밑동에서 위쪽으로 50cm 내 개체를 육안조사하 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콩 개화기(7월), 등숙기(9월) 조사를 진행하였고 지점당 집합페로몬 트랩 1개를 설치하 고 1주 후 채집된 마리 수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성페로몬 트랩 1개를 설치한 뒤 1주 후 채집된 마리 수를 조사하였다. 미국선녀벌레는 의령, 함안, 함양 등에서 발생이 많았고, 전년대비 발생이 소폭 감소하였다. 썩덩나무노린재는 합천, 밀양, 함양 등에서 발생이 많았고, 담배거세미나방은 전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되었으 며, 특히 함양, 산청, 사천, 고성 등에서 밀도가 높았다.
        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아열대 작물 재배가 증가하면서 경남지역 망고 재배면적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망고에 발생하는 병해충 발생 정보가 부족하여 2022년부터 현재까지 경남지역에 있는 망고농장을 조사하였으 며, 그 결과 병해 6종, 해충 8종 발생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남지역 망고 포장에서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볼록총채벌레 등의 발생을 확인하였고, 통영, 함안, 밀양 등에서 총채벌레류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많은 농가에서 총채벌레류 방제를 위해 화학농약에 의존하고 있으나 총채벌레는 반복적인 약제 노출시 빠른 세대 진전으로 인해 저항성 발달이 쉽기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색상별 끈끈이 트랩의 총채벌레류 유인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꽃노랑총채벌레는 노랑, 주황, 연두, 대만총채벌레는 빨강, 노랑, 파랑, 볼록총채벌레는 파랑, 노랑, 빨강 순으로 유인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rine macroalgae are important in coastal ecosystems and interact with marine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we isolated fungi from seven types of marine macroalgae including Cladophora sp., Gloiopeltis furcate, Gracilariopsis chorda, Hydroclathrus clathratus, Prionitis crispata, Sargassum micracanthum, and Ulva lactuca collected in Korea.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identified the isolates as four Aspergillus spp. (A. fumigatus, A. sydowii, A. tamarii, and A. terreus), three Penicillium spp. (P. crustosum, P. jejuense, and P. rubens), and Cladosporium tenuissimum. Among them, A. fumigatus TOPU2, A. tamarii SH-Sw5, and A. terreus GJ-Gf2 strains showed the activities of all enzymes examined (amylase, chitinase, lipase, and protease). Based on the enzymatic index (EI) values in solid media, A. terreus GJ-Gf2 and C. tenuissimum UL-Pr1 exhibited the highest amylase and lipase activities, respectively. Chitinolytic activity was only observed in A. terreus GJ-Gf2, A. tamarii SH-Sw5, and A. fumigatus TOP-U2. Penicillium crustosum ULCl2 and C. tenuissimum UL-Pr1 showed the highest protease activiti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lipolytic and proteolytic activities in a marine-derived C. tenuissimum strain. Overall, the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the marine macroalgae in this study actively produced industrially important enzymes.
        4,300원
        1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흐름에 맞춰 농업에서도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의 개발 및 보급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과거 농부의 경험에 의해 축적된 지식을 이용하던 농업에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배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적의 재배 환경을 제어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변 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작물 재배가 가능한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구축된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팜과 연동하여 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 다. 클라우드에 누적된 환경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경 변수에 대한 예측 모델을 학습하고 실제 운영중인 스마트팜의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면 보다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다. 단순 시뮬레이션에서 벗어나 학습 모드를 통해 실제 농부의 스마트팜 운영 데이 터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운영 모드에서는 실제 스마트팜의 운영 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경쟁을 통한 성 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누적되면 작물재배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실제 스마트 팜을 통한 작물 재배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사업 모델로의 확장도 가능할 것이다. 추후 메타버스 (metaverse) 상에 스마트팜을 연동하는 연구를 통하여 가상 공간에서 보다 사실적으로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9.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acile and template-free strategy for the preparation of activated porous carbon beads (APCBs) from polyacrylonitrile. The chemical activation with KOH was found to enhance the pore properties, such as specific surface area (SSA), pore volume, and pore area. The APCBs exhibited a large SSA of 1147.99 m2/g and a pore area of 131.73 m2/g. The APCB-based electrodes showed a good specific capacitance of 112 F/g at 1 A/g in a 6 M KOH electrolyte, and excellent capacitance retention of 100% at a current density of 5 A/g after 1000 cycles. Therefore, the APCBs prepar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s electrode materials for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