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8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강릉지역의 중학교 3학년의 굴절 상태를 분석하여 지역적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방법 : 남학생 208안, 여학생 117안 총 325 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등가구면 굴절이상 정도의 분 류는 정시 기준은 –0.25 D ~ +0.25 D, 경도 근시 –0.50 D~ -2.75 D, 중등도 근시 –3.00 D ~ 5.75 D, 고도 근 시 –6.00 D 이상으로 나누어 분류하여 굴절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근시 291안 평균 굴절력은 –2.94±1.91 D, 남학생은 –2.85±1.89 D, 여학생은 –3.11±1.94 D로 조사되었 다. 근시 정도의 분류를 비교했을 때 경도 근시는 –1.40±0.75 D, 중등도 근시는 –4.06±0.87 D, 그리고 고도 근시는 –6.78±0.89 D으로 나타났으며 총 325안의 평균 굴절력은 –2.63±2.03 D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근시의 평균 굴절 력은 경도 근시는 남학생 –1.37±0.71 D, 여학생 –1.47±0.82 D, 중등도 근시는 남학생 –4.03±0.86 D, 여학생 –4.11±0.89 D, 고도 근시는 남학생 –6.63±0.86 D, 여학생 –7.09±0.94 D으로 나타났다. 난시의 평균 굴절력을 비교해 본 결과 남학생 –1.43±1.00 D, 여학생은 –1.34±0.98 D로, 경도 근시는 남학생 –1.24±0.97 D, 여학생 –0.92±0.41 D(t=-2.10, p<0.050)로, 고도 근시는 남학생 –1.44±0.49 D, 여학생 –2.50±1.76 D(t=2.34, p< 0.050)으로 나타났다. 결론 : 학생들은 근시 범위 중에서 중등도 근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에서 경도 중등도 그리고 고도 근시 범위 모두 더 높은 굴절력이 나타났고, 난시 비교에서는 고도 근시 범위에 해당되는 난시에서만 여학생이 높 게 나타났다. 앞으로도 시력 관리에 도움이 될 만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효모 유래 MPC의 세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 다. 피부 세포주에 처리된 Cu와 Zn 이온 모두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지만, 정제된 MPC는 결합된 금속 이온의 세포 독성을 획기적으로 제거하였다. 게다가 특정 농도의 MPC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 율을 오히려 약 20% 증가시켰다. MPC 중 효모 펩타이드-Cu(YP-Cu)는 UVB 자극으로 유도되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양을 약 30% 정도 유의하게 감소시켰지만, YP-Zn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YP-Cu 처리는 피부 세포에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량을 2배 증가시켰고, 프로콜라겐 분비량은 1.7배 증 가시켰으며, UVB 자극에 의한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 저해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결론적으로, 유리 금속 이온 자체는 세포독성 효과로 인해 화장품 소재에 적합하지 않지만, 정제된 MPC, 특히 YP-Cu는 이러한 금속 이온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상쇄하고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UVB 자극에 따 른 유해 효과를 완화하기 때문에 잠재적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3.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원주지역의 초등학생 전 학년 원시안을 조절마비제 점안 전후의 굴절이상 정도를 비교하여 지역 내 굴절상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 나이에 따라 8세 17안, 9세 13안, 10세 6안, 11세 1안, 12세 9안, 13세 4안 모두 50안의 원시안으로 남자 13안, 여자 37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원시 정도에 따른 굴절력은 경도 원시 +0.25~+0.75 D, 중등도 원시 +1.00~+1.75 D, 고도 원시 +2.00 D 이상으로 그룹 분류하여 굴절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 나이별 원시안의 MR과 CR의 비교에서는 8세 어린이들의 CR의 원시도가 MR 보다 0.46±0.47 D 높게 측정되었으며(t=3.23, p<0.050), 나이가 가장 많은 13세 어린이들은 CR의 원시도가 MR보다 가장 많은 1.06± 0.63 D 정도 차이가 나타났다(t=1.89, p<0.059). 12세 어린이들은 0.44±0.30 D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나이 중 가장 적은 차이를 보였다(t=2.76, p<0.050). 그리고 원시 굴절 정도에 따라 MR과 CR 정도를 비교하였더 니 8세 어린이들의 경도 원시의 CR 값이 MR 값보다 0.55±0.55 D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t=2.54, p<0.050). 12 세 어린이들의 경도 원시의 CR 값은 MR 값보다 0.35±0.22 D 정도 높게 측정되었다(t=2.12, p<0.050). 결론 : 원주지역 원시안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성 굴절검사와 조절마비 굴절검사를 비교하였더니 12세 어린이 들에게서 가장 적은 MR과 CR의 굴절력 차이가 관찰되었고, 나이가 가장 많은 13세 어린이에게서 가장 많은 굴절 력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원시 굴절 정도에 따른 비교에서는 경도 원시에서 고도 원시로 갈수록 더 많은 굴절 차 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4.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view examines the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Ti-6Al-4V alloy produced by wrought processing and powder metallurgy (PM), specifically laser powder bed fusion (LPBF) and hot isostatic pressing. Wrought methods, such as forging and rolling, create equiaxed alpha (α) and beta (β) grain structures with balanced properties, which are ideal for fatigue resistance. In contrast, PM methods, particularly LPBF, often yield a martensitic α′ structure with high microhardness, enabling complex geometries but requiring post-processing to improve its properties and reduce stress.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processing parameters on grain size, phase distribution,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guiding the choice of fabrication techniques for optimizing Ti-6Al-4V performance in aerospace, biomedical, and automotive applications. The analysis emphasizes tailored processing to meet advanced engineering demands.
        4,000원
        7.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연구에 따르면 Tenebrio molitor은 유충 단계에서 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T. molitor 유충의 성장과 발달에 발포폴리스티렌 섭취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밀기울을 섭취한 유충의 성장률은 발포폴리스티렌을 섭취한 유충의 성장률보다 더 좋았고(p < 0.001) 발포폴리스티렌을 섭취한 유 충의 번데기로 전환되는 기간은 밀기울을 섭취한 유충의 번데기로 전환되는 기간보다 더 빨랐다(p < 0.001). 하지만 두 처리구간 생존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786). 이 결과에 따르면 발포폴리스티렌을 섭취한 유충은 체중 감소와 짧은 발육기간이 특징이지만 생존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T. molitor가 플라스틱 폐기물 의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제거를 위한 주요 자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4,000원
        8.
        2024.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n fusion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ate stages in the evolution of a massive star. Astronomically interesting energy ranges for the 12C+12C reactions have been, however, poorly constrained by experiments. Theoretical studies on stellar evolution have relied on reaction rates that are extrapolated from those measured in higher energies. In this work, we update the carbon fusion reaction rates by fitting the astrophysical S-factor data obtained from direct measurements based on the Fowler, Caughlan, & Zimmerman (1975) formula. We examine the evolution of a 20M⊙ star with the updated 12C+12C reaction rates performing simulations with the MESA (Modules for Experiments for Stellar Astrophysics) code. Between 0.5 and 1 GK, the updated reaction rates are 0.35 to 0.5 times less than the rates suggested by Caughlan & Fowler (1988). The updated rates result in the increase of core temperature by about 7% and of the neutrino cooling by about a factor of three. Moreover, the carbon-burning lifetime is reduced by a factor of 2.7. The updated carbon fusion reaction rates lead to some changes in the details of the stellar evolution model, their impact seems relatively minor compared to other uncertain physical factors like convection, overshooting, rotation, and mass-loss history. The astrophysical S-factor measurements in lower energies have large errors below the Coulomb barrier. More precise measurements in lower energies for the carbon burning would be useful to improve our study and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a massive star.
        4,000원
        9.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uman bitter taste-sensing type 2 receptors (hTAS2Rs) are expressed in various human tissues and may be associated with various cell signaling pathways, cell progression, and cell physiology in each tissue. hTAS2Rs can be a potential drug target because it is also expressed in some cancer cells. Xanthorrhizol (XNT)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XNT produces a bitter taste, but the specific hTAS2R activated is unknown, and the hTAS2R-mediated effect of XNT on cancer cells has not been studied. This study discovered the target receptor of XNT among 25 hTAS2Rs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hTAS2R-mediated inhibit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XNT activated only one receptor, hTAS2R38 (EC50=1.606±0.021 g/mL), and its activity was inhibited by probenecid, a hTAS2R38 antagonist. When HepG2 and MCF-7 cells were treated with XNT or phenylthiocarbamide (PTC), a known hTAS2R38 agonist, both chemicals inhibited cancer cell proliferation. XNT targets the human bitter taste receptor TAS2R38 and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HepG2 and MCF-7 cells mediated by TAS2R38. This suggests that TAS2R38 may be a new target for disease treatment and a potential new factor for drug development.
        4,000원
        10.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intended and preparation of hierarchically absorbent materials were covered with a NiMn2O4 and acts as a catalyst for azo dye degradation. The polyaromatic-based (PA) absorbent compounds were initially constructed by bromomethylated aromatic hydrocarbons which undergo self-polymerization in presence of ZnBr as a reagent and cross linker is bromomethyl methyl ether. The absorbent black materials with a 3D network were prepared by direct carbonization and activation of the as-prepared PA. The hydrothermal method was adapted for the preparation of carbon hybrid material C@NiMn2O4 powder's catalytic activity is effective in reducing p-nitrophenol to p-aminophenol and decolorizing carbon-based dyes like methyl orange (MO), methyl yellow (MY), and Congo red (CR) in aqueous media at 25 °C when NaBH4 is added. UV–visible spectroscopy was used to analyze the dyes' breakdown at regular interval.
        4,000원
        14.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ditional culture contributes to the diversifica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and the inheritance of local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dicrafts reflected in modern fashion design in India. For this purpose, it focused on Sabyasachi Mukherjee, Manish Malhotra, and Ritu Kumar, who are currently leading the Indian fashion design field. The methodology involved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ing case studies. In the literature, the techniques of Indian traditional crafts such as embroidery, dyeing, and weaving were examined and five design elements of traditional crafts were def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30 images from the three designers’ Instagram account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dicrafts expressed in contemporary Indian fashion design were derived: cultural inheritance using traditional Indian clothing items, traditional materials and practices applied to contemporary clothing, craftsmanship that artistically improves complex details using embroidery techniques, various combinations based on the traditional meaning of colors, and narrative expression using patterns containing India’s cultural identity. Incorporating these traditional handicrafts into fashion design, closely linked to everyday life, aids in conveying and enhancing their significance. The cases demonstrate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conservation in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fashion design.
        5,800원
        1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외적으로 기후변화, 이상기상 등 다양한 요인이 新문제 병해충의 발생을 가속화하고 있으나, 반대로 국제 기구에서 2030년까지 화학농약의 사용 및 위해도를 50%로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생물다양성협약 COP15. 2022.12). 따라서 화학농약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병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화학농약의 대안으로 생명과학에 공학적 기술개념을 도입하여 인공적으로 생명체의 구성요소·시스템을 설 계·제작·합성하는 학문분야로 합성생물학이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백신개발과정에 합성생물학을 활용하여 개발기간을 단축한 사례(mRNA 백신)도 있다. 미국 농업분야에서는 dsRNA를 이용한 천연식물보호제(생물농 약)의 개발은 이미 상용화 단계로 넘어서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농약의 개발과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시점이다. 본 발표에서는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한 新천연식물보호제의 개발과 상용화에 필요한 등록기준 마련 필요성과 고려할 사항에 대해 다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농약은 「농약관리법」에 따라 관리되며, 유효성분으로 쓰이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화학 농약과 천연식물보호제로 구분되고 있다. 화학농약은 “화학적으로 합성한 유효성분으로 제조한 것”을 말하며, 천연식물보호제는 “살아있는 미생물 또는 자연계에서 생성된 유기화합물 및 무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제조 한 것“을 말한다. dsRNA 농약 등록을 위해서는 dsRNA 등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한 농약이 “자연계에서 생성된 유기화학물”로 분류될 수 있는 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dsRNA를 활용한 농약의 등록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합성생물학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안전성에 대한 다각적 인 검토는 물론, 사회적 합의와 공감대 형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우선 가장 중요한 이슈는 역시 유전자변형생물체(이하 ”LMO“) 문제이다. 국내에서는 LMO 작물의 재배 자체 에 대한 논란이 많은 상황이라는 점과 LMO일 경우 농약으로 등록시 기준 적용에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천연식물 보호제는 화학농약보다는 등록시 요구되는 자료가 많이 간소화되어 있지만, LMO에 해당되면 그렇지 않다. 실제 미국에서 등록된 dsRNA 농약에는 LMO에 해당되는 것과 해당되지 않는 것이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천연식물보 호제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dsRNA를 활용한 기술이 LMO에 해당되는 지 여부가 먼저 정립되어야 하고, 해당 dsRNA 원제(Technical) 또는 해당 dsRNA 제품(Item)이 LMO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음을 입증할 수 있는 체계 의 정립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국제기준과 조화의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OECD 발간 문서(ENV/CBC/MONO(2023)26, ENV/JM/MONO (2020)26)에 따르면 dsRNA 농약은 dsRNA의 변이가 인체, 환경은 물론, 표적/비표적 유기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수 있는지에 대한 시험이 필요하고 이는 각 국가별 규제요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국내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외국 사례를 정밀하게 조사분석한 후 국내 여건에 맞도록 기준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기술은 항상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따르기 마련이므로 전문가에 의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 한 기준안이 마련함은 물론, 해당 기준안에 대한 대국민 소통/공감을 형성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dsRNA농약은 우리나라에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가 일 수 있다. 농약원제 개발에 뒤처져 수입에 의존하는 산업 에서 벗어나, 세계를 선도하며 수출하는 농약산업으로 바꿔야 할 시점인 것 같다.
        16.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하면 식물의 생장속도가 빨라지거나 영양학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음이온 처리 시 식물에 전기장을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보고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이온을 온실해충인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 처리하여 방제효과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음이 온 처리 시 점박이응애와 목화진딧물에서 살충효과와 기피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점박이응애 알에서도 음이온 처리가 부화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에서 밀도실험 결과, 700,000 ion/cm3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밀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이온 처리 시, 부가적인 효과로 온실해충(점박이응애, 목화진딧물)에 대해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보여준다.
        17.
        202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rice is the main food in Korea, there are no regulations on corn milling yet. Corn is known as one of the world's top three food crops along with wheat and rice, and it is known that 3.5 billion people worldwide use corn for food. In addition, corn mills are not developed or sold in Korea, but the use of corn mill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in many countries in Southeast Asia. In the Philippines, as Korea's rice mill import increases, Korea's KAMICO (Korea Agricultural Machinery Industry Cooperative) and domestic company A agreed to develop a corn mill jointly with PHilMech,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the Philippine Ministry of Agriculture. However, research on corn milling was very insignificant, so the developmen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technology of Korea's rice mill. Rice milling is performed by peeling off the skin of rice and producing brown or white rice, so it is carried out by removing the skin and cutting the skin. On the other hand, in the corn mill, the skin of the corn is peeled, pulverized and selected to produce main products suitable for edible us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corn mill, processes such as peeling, transfer, grinding, sorting, and by-product separation are required, and suitable parts must be developed. In addition, the performance must be gradually improved through experiments in which corn is repeatedly milled. The Philippines produces 7.98 million tons/year of corn, which is about 100 times that of Korea, and is mostly consumed as a staple food. This is about 10% of the total crop production in the Philippines. In addition, the main cultivation complexes of corn are the mountainous regions of Tarlac or Pangasinan, and the produced corn is 72.4% of the so-called yellow corn called Arabel and Sarangani, and the remaining 27.6% are known as white corn.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oduce grains of 2.5 mm or less suitable for food for yellow corn and to develop a corn mill for 200 kg per hour. Detailed conditions for development are stipulated as more than 55% of the main product recovery rate, more than 31% of the by-product recovery rate, less than 5% of the raw material loss rate, and more than 80% of the embryo dislocation rate. In this study, to achieve this, the overall process of the corn mill was developed, a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corn mill were obtain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parts and empirical tests to improve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achieve the development goal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each part so that it did not conflict.
        4,800원
        18.
        202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 energy storage sector has experienced a notable transition toward the use of organic electrodes. This shift is largely attributed to their superior energy density, cost-effectiveness, and eco-friendliness. However, there is a main drawback that the organic molecules oftentimes suffer shuttle phenomenon across the separator due to their high solubility in the organic electrolyte. In addition, the low electrical conductivity of organic materials is also detrimental, thereby requiring a large amount of carbon additives (up to 40 wt. %) in the electrode. In this perspective, addition of carbon additives with the desirable amount, which can prevent organic molecules from being dissolved into the liquid phase as well as provid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N,Nʹ-dimethylphenazine (DMPZ) was investigated as a model material, we compared two carbon additives with different surface areas and functional groups. We carefully scrutinized the structural effect of carbon additives on the cycle-life performance of the organic electrode.
        4,000원
        1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ypertension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renin-angiotensin system activity, leading to blood vessel constriction. Several synthetic compounds have been developed to inhibit renin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These drugs often have adverse side effects, driving the exploration of plant protein-derived peptides as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treatments. This study assessed the phenolic compound and amino acid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nd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5 South Korean staple crops. Sorghum had the highest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exhibit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Millet grains, particularly finger millet (38.86%), showed higher antihypertensive activity than red beans (14.42%) and sorghum (17.16%). Finger millet was found to contain a large proportion of branched-chain, aromatic, and sulfur-containing amino acids, which are associated with ACE inhibition. In particular, cysteine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E inhibition in the crops tested (r=0.696, p<0.01).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 composition was more correlated with the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grains than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Finger millet mainly contained amino acids, which have higher ACE inhibitory activity, resulting in the strongest antihypertensive activity.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antihypertensive potential of select crops as plant-based food ingredients, offering insight into their biological functions.
        4,200원
        2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ir conditioner filters purify the air of indoor environments by removing air pollutants and supporting the efficiency of the unit’s cooling function. However, an air conditioner filter can become a microenvironment in which some fungi can grow as dust continues to accumulate and favorable humidity conditions are formed. Fungal growth in air conditioner filters could lead to fungal allergies or fungal diseases, in addition to emitting a foul odor. In an effort to understand what species causes this malodorous problem, we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fungi found in air conditioners. Fungi were sampled from the collected air conditioner filters and grown on DG18 agar media. After purification for pure isolates, species identification was undertaken. Colony morphology was observed on PDA, MEA, CYA, and OA media. Microstructures of fruiting body, mycelia, and spores were examined using a light microscope. Molecular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by PCR and sequencing of PCR amplicon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sequenced DNA markers, includ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the 28S large subunit of the nuclear ribosomal RNA (LSU rDNA), the β-tubulin (BenA) gene, the Calmodulin (CaM) gene, and the DNA-directed RNA polymerase II subunit 2 (RPB2) gene. Through this identification process, we found two fungal species, Aspergillus miraensis and Dichotomopilus ramosissimus, which ar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We will now report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