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환경 요인을 바탕으로 절화용 국화 생장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13개의 모델(Linear Regression, Lasso Regression, Ridge Regression, ElasticNet Regression, K-Nearest Neighbors (KNN),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Neural Network, Decision Tree, Random Forest, XGBoost, AdaBoost, CatBoost, Stacking)의 성능을 R2, MAE, RMSE를 평가 지표 로 비교하였다. 단일 모델 중에서는 Decision Tree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R2값은 0.90에서 0.91 사이였다. 앙 상블 모델 중에서는 CatBoost가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R2=0.90~0.92) Random Forest와 XGBoost 또한 유사한 성 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트리 기반 앙상블 모델이 국화 생장 예측에 적합한 모델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인 장애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시민교육으로서의 건강권 교육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이제까지의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이 비장애인을 대상으 로 한 장애체험 위주의 교육이었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실행연구를 선택함으로써 건강권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장애의 재해석을 기반으로 한 본 건강권 교육 프로그램은 장애에 대한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체험과 성찰을 통해 장애를 새롭게 이해하고 장애인에게 공감하는 역량을 형성하는 데 성공적이었다. 융복합 접근의 교육적 결과는 다학제로 구성된 교육과정과 팀티칭 수업이 장애인의 건 강을 사회모델과 의료모델이라는 이분법이 아닌)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 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었으나, 교수자의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해 연계에 좀 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장애인의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다학제간 융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 한 장애인의 요구를 수렴하고 전문적인 해결책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Yeongsan River is a prominent inland waterway, alongside the Han River, Nakdong River, and Geum River in South Korea. Numerous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for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indigenous prokaryotic specie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3. These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wherein 45 bacterial strains shared >98.7% sequence similarities with bacterial species not recorded in Korea thus fa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atalogue aforementioned unrecorded species and characterize them contingent upon their Gram nature, colony and cell morphologies,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s. These bacterial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phylogenetically diverse. They were categorized into nine classes, 18 orders, and 25 families. These previously unrecorded speci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genera and classes: Chitinophaga (class Chitinophagia); Flavobacterium (class Flavobacteriia); Rhodopseudomonas, Gemmobacter, Paracoccus, Azospirillum, Sphingomonas, Novosphingobium, Sphingorhabdus, and Erythrobacter (class Alphaproteobacteria); Bordetella, Pararobbsia, Polynucleobacter, Rhodoferax, Aquabacterium, Malikia, Comamonas, Ideonella, Paucibacter, Undibacterium, Cupriavidus, and Thauera (class Betaproteobacteria); Pectobacterium, Arenimonas, Lysobacter, and Luteimonas (class Gammaproteobacteria); Luteolibacter (class Verrucomicrobiia); Mycolicibacterium, Angustibacter, Ornithinibacter, Janibacter, Schumannella, Aurantimicrobium, Luedemannella, Nocardioides, and Propionicimonas (class Actinomycetes); Geothrix (class Holophagae); and Lactococcus (class Bacilli).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밝은 화색과 안정적인 화형의 생 육이 우수한 빨간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진한 적색 스탠다드 장미 품종 ‘엔드리스러브(Endless Love)’를 모 본으로, 꽃잎수가 많고 안정적으로 가시가 적은 밝은 노란색 ‘페니레인(Penny Lane)’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 37 개의 교배실생을 양성해 1, 2, 3차에 걸친 특성검정 및 현장실증 을 통해 꽃이 크고 화형이 안정적이며, 재배안정성 및 생산성, 절화특성이 우수한 ‘원교 D1-390’을 최종 선발하였다. 2023년 ‘루비레드(Ruby Red)’로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등록되었다.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R53C)을 가졌으 며, 꽃잎수가 32.8매, 화폭과 화고는 각각 10.9, 5.9cm로 대조 품종보다 크다. 절화장은 평균 71.7cm, 절화수명은 약 16.7일, 수량은 연간 168대/m2로 대조품종인 ‘레드스퀘어(Red Square)’ 대비 절화장이 길고 절화수명도 2배 이상 길며, 수확량도 1.4배 우수하다. 2023년 국내 육성 장미 품종 서울식물원 관람객 대상 공동평가회에서 스탠다드 장미 중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 현 장 실증 결과 농가별로 균일하고 우수한 수량과 절화품질을 보 였다. 절화용 장미 ‘루비레드’ 품종은 밝은 적색과 우수한 화형 을 가지는 품종으로 해외 대체 품종으로 국내에서 많이 재배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agonistic effects of sprout-borne lactic acid bacteria (LAB) o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This antagonism is promoted as a means of controlling contamination during sprout production and provides additional LAB for consumers. We isolated a total of 24 LAB isolates in nine species and five genera from seven popular vegetable sprouts: alfalfa (Medicago sativa), clover (Trifolium pratense), broccoli (Brassica oleracea ssp. italica), vitamin (B. rapa ssp. narinosa), red radish (Raphanus sativus), red kohlrabi (B. oleracea var. gongylodes), and Kimchi cabbage (B. campestris var. pekinen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the LAB species were identified as Enterococcus casseliflavus, E. faecium, E. gallinarum, E. mundtii, Lactococcus taiwanensis, Leuconostoc mesenteroide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Weissella cibaria, and W. confusa. A total of 16 LAB isolates in seven species including E. faecium, E. gallinarum, E. mundtii, L. taiwanensis, L. mesenteroides, P. pentosaceus, and W. cibaria showed antagonistic activity toward S. enterica. The growth inhibition of sprout LAB on S. enterica was confirmed by co-culture. Unexpectedly, sprout LAB failed to suppress the growth of S. enterica in alfalfa sprouts, whereas all LAB strains stimulate S. enterica growth even if it is not significant in some strai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 enterica-antagonistic LAB are detrimental to food hygiene and will contribute to further LAB research and improved vegetable sprout production.
농가에서 곤충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프로그램의 개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곤충 돌보기 중심의 치유프로그램과 더불어 활용할 수 있는 야간 곤충채집 활동을 치유농업프로그램으로 개발하 고 시범 적용하였다. 야간곤충채집 활동은 대학생 9명에게 사전에 참여 동의를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학술림(장성)에서 1박 2일간 진행하였다. 18시부터 24시까지 야간 채집 활동과 익일 오전에는 채집한 곤충을 이용한 곤충 표본 제작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사전 (활동 전), 중간(채집활동 직후), 사후(표본제작 직후)에 뇌파, 맥파 검사 그리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뇌파 분석 결과, 야간 채집활동 직후 뇌파의 기초율동이 향상(10.67→11.44)하였다(p<0.05). 요인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분석 결과, 내적 스트레스는 3.22(사전)→2.96(사후)로 감소(p<0.1)하였고, 문제 수행능력 관련 스트레스는 2.92(중간)→2.70(사후)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간 채집 활동 속에 서 이용되는 근육의 움직임이 뇌 기능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참여자가 적은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령대별, 성별 등 다양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채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변 환경의 차이에 따른 화분매개곤충의 유입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립수목원 내 진화속을걷 는정원과 부추속전문전시원에 식재된 울릉산마늘의 화분매개곤충을 조사하였다. 2023년 5월 22일부터 6월 2일 까지 꽃이 70% 이상 개화하였을 때 포충망을 활용하여 8일간 곤충을 채집하였고, 각 전시원 별 식생(피도), 기후 (온도·습도·조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진화속을걷는정원에서 피도 60% 온도 26.4℃, 습도 31.5%, 조도 40953.6lx, 화분매개곤충 20과 450개체, 부추속전문전시원은 피도 90%, 온도 25.6℃, 습도 31.6%, 조도 6387lx, 화분매개곤충 15과 196개체로 나타났다. 온도와 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화속을걷는정원이 채집된 곤충의 다양성과 방문 빈도가 높았다. 시간대별 곤충의 방문 빈도를 비교해본 결과 온도와 조도는 개체수가 증가할 때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습도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Callipogon relictus, a natural monument, is an insect whose life cycle was assumed to take more than 5 years in nature. Winter is a very harsh season, but it is known to be a crucial condition for many insects’ growth. However, no information is known about the overwintering condition and its effects on C. relictus. To understand the overwintering effects on the growth of C. relictus, we investigated the growth patterns of its larvae in indoor conditions after chilling treatment. The larvae were induced to dormancy at low temperature (4°C) for two months, and put them into 10°C for two weeks to break dormancy. After awakening,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15°C, 20°C to 25°C at a time, and the larvae were kept for two weeks at each temperature. The larvae were divided into 3 groups (3rd to 5th instar, 6th to 8th instar, 9th to last instar). Lastly, head width and weight of the larvae were measured every 30 days under 25°C condition, and mortality and deformity were counted as well. The mortality and deformity rates were the highest in the first group, and the rates decreased toward the last group. On the other hands, growth rate appeared opposite to mortality and deformity rate of each larval group.
Large amounts of waste and wastewater from aquaculture have negatively impacted ecosystems. Among them, shrimp aquaculture wastewater contains large amounts of nitrogen contaminants derived from feed residues in an aerobic environment. This study isolated candidate strains from adult rockworms to treat shrimp aquaculture wastewater (SAW) in an aerobic environment. Among 87 strains isolated, 25 grew well at the same temperature as the shrimp aquaculture with excellent polymer degradation ability (>0.5 cm clear zone). Six isolates (strains AL1, AL4, AL5, AL6, LA10, and PR15) were finally selected after combining strains with excellent polymer degradation ability without antagonism.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s AL1, AL4, AL5, AL6, LA10, and PR15 were closely related to Bacillus paramycoides, Bacillus pumilus, Stenotrophomonas rhizophila, Bacillus paranthracis, Bacillus paranthracis, and Micrococcus luteus, respectively. When these six isolates were applied to SAW, they reached a maximum cell viability of 2.06×105 CFU mL-1. Their chemical oxygen demand (CODCr) and total nitrogen (TN) removal rates for 12 h were 51.0% and 44.6%, respectively, when the CODCr/TN ratio was approximately 10.0. Considering these removal rates achieved in this study under batch conditions, these six isolates could be used for aerobic denitrification. Consequently, these six isolates from rockworms are good candidat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aquaculture wastewater treatment.
실버 페이스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처리로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 소자 응용분야에서 유용한 전극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 페이스트 전극에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하여 전극 표면을 처리 했다. 이 플라즈마 제트는 11.5 kHz 작동 주파수에서 5.5 ~ 6.5 kV의 고전압을 사용하여 아르곤 분 위기에서 생성되었다. 플라즈마 제트는 대기압에서 수행함으로써 인쇄 공정에 더 유용할 수 있다. 플라즈 마 처리시간, 인가된 전압, 가스유량에 따라 전극의 표면은 빠르게 친수성화 되었으며 접촉각의 변화가 관 찰되었다. 또한, 대면적 샘플에서 플라즈마 처리 후 접촉각의 편차가 없었는데, 이는 기판의 크기에 관계없 이 균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면적 전자소자의 제조 및 향후 응 용 분야에서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