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보건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연구윤리에 대한 인지도, 자기효능감을 통해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자 하였다. 방법 : 서술적 설문조사 설계를 사용하였다. 국내 보건대학원에서 총204명의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데이터 수 집 도구는 미국 National Science Foundation과 Association of Graduate School에서 제안된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RCR) 교육 핵심 영역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참여자들은 연구윤리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 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데이터는 PASW Statistics 18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평균 연령=30세)는 석사(77.5%)과 박사(22.5%) 과정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대상자의 25.5%만 연구윤리 관련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었고, 26.5%는 연구책임자로서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었다. 연구윤리에 대한 인지 수준(5점 만점에 평균 2.90점)과 윤리적 연구수행을 위한 자기효능감 수준(5점 만점에 평균 3.14점)은 보통 수준이었다. 가장 인지도가 낮은 분야는 ‘지적재산권 및 특허 보호’였으며, 그 다음은 ‘부당한 논문저자 표시’ 였고, 가장 지식이 부족한 분야는 ‘연구논문 작성’이었다. 연구윤리에 대한 인지도, 자기효능감, 지식 간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ll p<0.050).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윤리적으로 건전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보건대학원생을 위한 연구윤리 지 식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500원
        2.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ry sliding wear behavior of electro-pressure sintered Co-Fe, Co-Ni and Co-Fe-Ni compacts was investigated. Pin-on-disk wear tests were performed on the sintered compacts disk specimens against alumina and silica ball counterparts at various loads ranging from 3N to 12N. Two sliding speeds of 0.1m/sec and 0.2m/sec and a fixed sliding distance of 1,000m were employed. Worn surfaces and cross sections of them were examined b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wear mechanism of the compacts was investigated. Effects of the oxide layer that was formed on wearing surface of the compacts on the wear were also studied.
        3.
        2006.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ffect of phase transformation and grain-size variation of hot-pressed cobalt on its dry sliding wear was investigated. The sliding wear test was carried out against glass (83% SiO2) beads at 100N load using a pin-on-disk wear tester. Worn surfaces, cross sections, and wear debris were examined by an SEM. Phases of the specimen and wear debris were identified by an XRD. Thermal transformation of the cobalt from the hcp ε phase to the γ (fcc) phase during the wear was detected, which was deduced as the wear mechanism of the sintered cobalt.
        4.
        2000.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5.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6.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재래누룩에서 분리 동정한Aspergillus oryzae 83-10(AO)을 활용하여 원료조건에 따른 pellet형 누룩의 특성과 양조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원료의 조건은 10분간 증자하여 살균․호화된 원료(S)가 pellet 누룩의 제조에 있어서 안정적이고, 높은 효소력의 생성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경과 32시간 때에 효소활성이 높고, 포자생성에 의한 포자 날림 등이 없어 작업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제조된 pellet 누룩 S-AO(32시간 배양)과 시판되고 있는 재래누룩 SH의 효소활성(dry base, unit/g)을 비교한 결과, glucoamylase 활성 S-AO(325.92) > SH(297.44), α-amylase 활성 S-AO(421.26) > SH(75.12) 및 acidic carboxypeptidase 활성 S-AO(3,803.8) > SH(278.6)으로 pellet 누룩이 재래누룩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누룩의 일반분석 결과에서는 SH 누룩이 pH, 총산, 아미노산도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약주 양조특성 분석 결과 발효가 끝난 시점에 SH 술덧의 가용성고형물과 총산함량이 S-AO 술덧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S-AO 술덧은 아미노산 함량과 알코올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 분석결과 S-AO 17.96%, SH 12.66%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어 발효 안정성과 수율에 있어서 S-AO 술덧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발효경과 중 술덧의 효소활성은 누룩의 사용량을 쌀 사용량(g)×30 unit/g(glucoamylase)으로 효소활성 수치에 따라 달리 하였지만 그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술덧제조 직후 S-AO 26.69 unit/mL, SH 17.58 unit/mL으로 S-AO 시료는 비교적 근접한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SH 시료는 상당량 부족한 모습을 보여 이러한 결과는 누룩의 품질 균일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결과로 살균된 통밀을 pellet형 누룩으로 가공하여 국균을 배양하면 기존 재래식 누룩이나 입국에 비하여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며, 제조효율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7.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the development and breeding of new cultivars of Hibiscus syriacus L., which have more beautiful and diverse flower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s and leaves, and genetic variation of the flowers color of two Jeoktanshim-line cultivars, Bulsae and Pyungsung, were crossed each other. The result of the cross between Bulsae and Pyungsung are as follows: Mean flower height and width were 5.35 cm and 7.69 cm, respectively. Mean length and width of petal were 5.43 cm and 3.80 cm respectively, and mean length and width of flower pistil were 4.67 cm and 0.44 cm, respectively. The flower color of all ten individuals was the color of the Jeoktanshim-line, and Pyungsung, and all flower type were I-c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