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0

        2.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bry disease is an X-linked lysosomal storage disorder caused by GLA mutations, leading to a deficiency in α-Galactosidase A activity and subsequent accumulation of globotriaosylceramide (Gb3). This accumulation contributes to progressive multiorgan dysfunction, with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particularly endothelial dysfunction an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being major drivers of disease morbidity and mortality. Although enzyme replacement therapy is currently the standard treatment, its effectiveness is limited in addressing advanced cardiovascular pathology. To better understand Fabry-associated vascular and cardiac phenotypes, an isogenic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hiPSC) model in which GLA was knocked out was developed using CRISPR/ Cas9. GLA-knockout (GLA-KO) hiPSCs were differentiated into endothelial cells (ECs) and cardiomyocytes (CMs) to evaluate disease-relevant phenotypes in vitro . GLA-KO ECs exhibited normal morphology and differentiation capacity but showed markedly impaired tube formation, high expression of inflammatory genes ICAM1, VCAM1, and SELE, and increased mitochondrial and cytoplasmic reactive oxygen species levels. GLA-KO CMs demonstrated enlarged cell size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NFATC4, consistent with hypertrophic remodeling. Together, these findings recapitulate key features of Fabry vasculopathy and cardiomyopathy in a genetically defined, human-derived system. This platform enables direct investigation of Gb3-induced oxidative and inflammatory mechanisms and provides a valuable model for the preclinical evaluation of therapeutic strategies targeting the cardiovascular manifestations of Fabry disease.
        4,000원
        3.
        2025.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ee strains (KCOM 2191, KCOM 2668, and KCOM 2812) of Capnocytophaga sp. isolated from a Korean population were initially classified by 16S rDNA sequence comparison. This study aimed to resolve their species-level identity using whole genome sequencing and to assess their taxonomic characteristics. Genomes of the three strains were sequenced using PacBio RS II and Illumina platforms.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analysis was employed for species-level identification. Cellular fatty acid (CFA) compositions were determined using the MIDI/Hewlett Packard Microbial Identification System. ANI values for KCOM 2191, KCOM 2668, and KCOM 2812 were 96.43%, 96.33%, and 96.3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type strain Capnocytophaga ochracea DSM 7271T. CFA profiling showed a predominance of iso-C15:0 (57.9%, 67.2%, and 64.9%, respectively), consistent with DSM 7271T (51.5%). These findings confirm that KCOM 2191, KCOM 2668, and KCOM 2812 are strains of C. ochracea . These strains may serve as valuable models for investigating the role of C. ochracea in oral and systemic pathogenesis.
        4,300원
        6.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리튬이온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저장 효율과 환경 지속 가능성으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PU 기반 리튬이온배터리에 사용되는 기존의 고분자 (polyurethane, PU) 바인더는 높은 유연성과 기 계적 강도를 제공하여 전극의 부피 변화를 감소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이와같 은 고분자 계열의 바인더는 전기전도도가 낮고 생산 및 폐기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분자계 바인더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고분자계 바인더로 많이 사용되는 PU 기 반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향상된 전기화학적 성능과 안정성을 가진 새로운 바인더로서 석유계 피치 (SM260)/고분자 (polyurethane, PU) 복합소재 기반 바인더를 개발하였다. 특히, PU 바인더가 적용된 리튬 이온배터리는 100 사이클 후 가역 용량이 80 mAh/g으로, 초기 용량의 25%의 용량 유지율을 나타낸 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석유계 피치 (SM260)/고분자 (polyurethane, PU) 복합소재 복합 바인더가 적용된 리 튬이온배터리는 100 사이클 후 가역용량이 208 mAh/g으로 유지되고, 초기 용량의 68% 용량 유지율을 나 타내었다.
        4,300원
        7.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생 벤처 기업의 수출 과정에서 벤처 기업가의 인식(i.e., 인식된 경쟁)과 편향(i.e., 기업가적 경쟁 낙관주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우리는 신생 벤처 기업이 자국 내에서 높은 경쟁을 인식할수록 이를 회피하기 위해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 며, 이 과정에서 자국 내에서 자신들의 경쟁적 위치를 얼마나 낙관적으로 인지하는지가 중요한 영 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26개 전환 경제국을 대상으로 한 실증 분석의 결과는 우리의 아이디어를 뒷받침한다. 구체적으로, 자국 내에서 높은 경쟁을 인식하는 신생 벤처 기업은 경쟁을 회피하기 위 해 수출을 확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자국 내에서 기업가적 경쟁 낙관주의를 가진 신생 벤처 기업은 수출을 줄이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업가적 경쟁 낙관주의는 인식된 경쟁과 수출 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2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 바위솔인 와송(Orostachys japonica), 영동바위솔(O. japonica from ‘Youngdong’), 포천바위솔(O. latiellipticus) 의 휴면과 추대에 미치는 일장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식물생 장상의 일장을 달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종류의 바위솔 들을 일장이 다른 식물생장상(86.7±8.7μmol·m-2·s-1 PPFD, 24±2℃)으로 옮기자 세 종류 모두 대부분의 일장에서 휴면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휴면은 얼마 지나지 않아 타파되기 시작 하였는데, 와송과 영동바위솔은 일장이 길수록 빨리 타파되었 고, 휴면타파에 걸리는 기간도 짧아졌다. 그러나 포천바위솔은 12시간 이하의 단일 조건에서는 휴면 타파가 보이지 않았다. 와송의 경우 16시간 일장에서는 휴면 없이 화서가 신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영동바위솔은 16시간 일장에서 잠시 휴면 에 들어갔으나 곧 타파되었고, 이어서 추대가 이루어졌으나, 포 천바위솔은 어떤 일장에서도 추대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 로, 이 연구의 바위솔에서 관찰된 휴면은 자연 조건에서 보이는 휴면과는 성질이 다르며 식물생장상의 낮은 광도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로써 바위솔은 환경 변화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이며, 일장과 광도에 대한 반응은 바위 솔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1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the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prominent contribution of key language subskills, such as grammar and vocabulary knowledge, to reading comprehension, a research consensus on their relative significance has not been reached. Moreover, the extent of the contribution vocabulary depth makes to reading comprehension has received little research attention.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relative potential contribution of vocabulary depth and grammar knowledge to advanced Korean EFL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hile controlling for their language proficiency and vocabulary breadth,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56 advanced EFL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tested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a range of reading-related subskills including vocabulary breadth, vocabulary depth, grammar, and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The findings reveal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vocabulary depth to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beyond the effects of both vocabulary breadth and grammar knowledge when English proficiency was controlled for. The findings further underscore the need for balanced approaches in developing L2 learners’ language skills to enhanc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6,100원
        16.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많은 연구에 따르면 Tenebrio molitor은 유충 단계에서 플라스틱을 섭취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T. molitor 유충의 성장과 발달에 발포폴리스티렌 섭취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밀기울을 섭취한 유충의 성장률은 발포폴리스티렌을 섭취한 유충의 성장률보다 더 좋았고(p < 0.001) 발포폴리스티렌을 섭취한 유 충의 번데기로 전환되는 기간은 밀기울을 섭취한 유충의 번데기로 전환되는 기간보다 더 빨랐다(p < 0.001). 하지만 두 처리구간 생존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786). 이 결과에 따르면 발포폴리스티렌을 섭취한 유충은 체중 감소와 짧은 발육기간이 특징이지만 생존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었다. 따라서 우리는 T. molitor가 플라스틱 폐기물 의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제거를 위한 주요 자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4,000원
        17.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거저리는 식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충기가 오래 지속되면 더 좋다. 반면에 거저리의 개체수 유지를 위 해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유충이 빨리 성충이 되면 더 좋다. 이 연구에서는 개체군 밀도가 거저리의 발달 시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상단 7 cm, 하단 5 cm, 높이 3 cm 크기의 용기를 사용했다. 거저리는 용기 당 1, 2, 5, 10, 20마리의 밀도로 용기에서 서식하였다. 용기에 밀기울 1 g을 넣고 거저리의 먹이 여부에 따라 라벨을 붙였다. 실험은 세 번 반복되었다. 모든 실험에서 개체군 밀도가 높을수록 유충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이 짧았 지만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먹이가 있는 그룹에서 번데기로의 변환 시간 이 단축되었지만, 성충으로 변환되는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는 유충기를 연장하기 위해 더 낮은 밀 도가 필요하고 더 빠른 속도로 성충이 필요하다면 밀도가 더 높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거저리의 발달 시간은 개체수 밀도에 의해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8.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key challeng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carbon nanotube fibers (CNTFs) is their large-scale economic production. Among CNTF spinning methods, surfactant-based wet spinning is one of the promising techniques for mass producing CNTFs. Here, we investigated how the coagulation bath composition affects the spinnability and the properties of CNTFs in surfactant-based wet spinning. We used acetone, DMAc, ethanol, and IPA as coagulan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gulation bath composition and the properties of CNTFs in terms of kinetic and thermodynamic coagulation parameters. From a kinetic perspective, we found that a low mass transfer rate difference (MTRD) is favorable for wet spinning. Based on this finding, we mixed the coagulant bath with solvent in a proper ratio to reduce the MTRD, which generally improved the wet spinning. We also showed that the coagulation strength, a thermodynamic parameter, should be considered. We believe that our research can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surfactant-based wet spinning of CNTFs.
        4,500원
        19.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s (C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CNTs can effectively serve as nano-fillers, bridging the voids and holes in cement structures. However, the limited dispersibility of CNTs in water necessitates the use of dispersing agents for achieving uniform dispersion. In this study, two kinds of cement superplasticizers, polycarboxylate ether (PCE) and sulfonated naphthalene formaldehyde (SNF) were employed as dispersing agents to improve the interfacial affinity between CNTs and cement, and to enhance the strength of the cement nanocomposites. Contact angle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utilization of PCE and SNF effectively addressed the interface issues between CNTs and cement. As a result, the cement nanocomposite with a CNT to PCE ratio of 1:2 exhibited an approximately 6.6% in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73.05 MPa), while the CNT:SNF 1:2 cement composite showed a 4.7% increase (71.72 MPa) compared to plain cement (68.52 MPa). In addition, the rate of crack generation in cement nanocomposites with CNTs and dispersing agents was found to be slower than that of plain cement. The resulting cement nanocomposites, characterized by enhanced strength and durability, can be utilized as safer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