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9

        182.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 층의 섬광체와 각 층별 서로 다른 반사체의 사용과 섬광체와 감마선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빛 신호 를 측정하기 위한 광센서로써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을 사용하여 반응 깊이를 측정하는 검출기를 개발하였다. 층별 섬광 픽셀의 반사체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함으로써 획득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재구성할 경우 모든 섬광 픽셀이 서로 다른 위치에 기록되는 특징을 활용하여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위치를 추적하였다. 아래층은 거울반사체를 사용하였으며, 위층은 난반사체를 사용하여 SiPM에서 획득되는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처리하였다. 섬광체 사이와 SiPM과 연결되는 부분은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광학 그리즈를 사용하여 급격한 굴절률 변화를 감소시켰다. 16개의 SiPM에서 획득한 신호는 앵거 방정식을 사용하여 4개의 신호로 감소시켰으며, 이를 사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두 층으로 구성된 모든 섬광 픽셀이 재구성된 영상에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층을 구분할 수 있었다. 서로 다른 반사체를 사용하여 두 층의 반응 깊이를 측정하는 검출기를 전 임상용 양전자방출단 층촬영기기에 적용할 경우 관심 시야 외곽에서 나타나는 공간분해능의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83.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is less common in boys than girls; very little data is reported on effect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 (GnRHa) treatment in boys with CPP.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growth changes in boys with CPP and early puberty (EP) treated with GnRHa therapy for 1 year. In 60 (39 CPP and 21 EP) boys with confirmed diagnosis of CPP and EP, auxological [height,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Ht SDS), bone age (BA), Predicted adult height (PAH)] and endocrinolog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at baseline, at 6 months, and at 1 year after GnRHa treatment in boys with CPP and EP. During the treatment a decline in Ht SDS and growth velocity, luteinizing hormone (L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and testosterone levels were observed (p<0.01); and a deceleration in the maturation of bones after 1 year GnRHa treatment was observed (p<0.01). PAH SDS was increased during treatment with GnRHa (p<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AH SDS between organic CPP and non-organic CPP (p<0.05). The present data indicate that GnRHa therapy significantly improves growth prognosis in boys with CPP and EP.
        184.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리콘광전증배관(Silicon Photomultiplier, SiPM)과 두 층의 섬광 픽셀 배열을 이용한 반응 깊이 측정 검출기를 설계하였으며, 위치 측정 능력을 DETECT200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섬광 픽셀의 면 처리와 반사체 조합을 통해 섬광 픽셀과 감마선이 반응한 위치를 추적하였다. 아래층은 광학적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반사체로 처리하였으며, 위층은 가장 외곽부분을 제외하고 모두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처리하여 빛의 공유가 아래층에 비해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거울반사체와 난반사체, 섬광 픽셀의 거친 면과 매끈한 면의 조합을 통해 평면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층별 영상이 생성되는 위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앵거 알고 리듬을 사용하여 SiPM의 16채널 신호를 4개의 채널로 감소시켜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섬광 픽셀의 거친 면과 모든 반사체 조합에서 두 층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매끈한 면일 경우에는 모두 층 구분이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거친 면의 섬광 픽셀과 반사체 조합을 사용한 검출기를 사용할 경우 전임상용 PET에서 반응 깊이 측정을 통해 검출 시야 외곽에서의 공간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185.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99mTc을 이용하는 검사를 받고 CT 검사를 진행했을 때 CT 영상에 99mTc이 미치는 변화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Resolution phantom과 Water phantom에 99mTc 740 MBq를 주입 전· 후 80 kVp와 120 kVp로 관전압을 변화시켜 CT Scan하였다. 연구결과 99mTc 주입 전·후 신호강도는 각각 0.173, 0.241의 감소 하였으며, 공간분해능은 각각 0.090, 0.109로 증가하였다. CT 촬영을 99mTc의 유효 반감기를 고려하여 99mTc 의 감마선이 CT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일정한 시간 후 진행함으로 영상의 변화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86.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장변이섬유를 사용한 새로운 반응 위치 측정 양전자방출 단층촬영기기 검출기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섬광체 2개와 파장변이섬유 3개를 사용하고, 파장변이섬유 끝에 센서를 부착하여 최적화 모듈을 설계하였다.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 및 센서를 연결시키는 연결물질과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의 반사체 물질에 따른 센서에서의 빛 수집율 및 센서별 빛 수집 비를 통해 최적의 조합을 도출하였다. 연결물질은 에폭시를 사용하고 반사체 물질은 섬광체와 파장변이섬유에서 각각 난반사체 및 거울반사체를 사용한 조합에서, 가장 높은 빛 수집율과 센서별 빛 수집 비를 보였다.
        187.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emical batch 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nutrients that were released from the wasted activated sludge during microwave heating. For this study, three types of activated sludge were obtained from A2/O, MLE and oxidation ditch (OD) processes. Polyphosphate-accumulating organisms in the activated sludge have a unique trait: they releases phosphate from the cell when they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e sludge obtained from the A2/O process released the largest amount of phosphate, followed by those from the MLE and OD processes. The release of phosph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polyphosphate content in the sludge under strongly alkaline or acidic conditions. Furthermore, ammonia and heavy metals were released with phosphorous. The largest amount of ammonia was observed from the sludge obtained from the MLE process. The release of heavy metals strongly depends on the pH conditions. Therefore, the chemical analysis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both phosphorus and ammonia react with Mg2+ or Ca2+ to form metal complexes such as magnesium ammonium phosphate or hydroxyapatite under alkaline conditions.
        188.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블록형 섬광체와 픽셀형 섬광체를 이용한 반응 깊이 측정 검출기를 설계하였으며, 층 구분 능력을 DETECT20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블록형 섬광체를 사용하여 민감도를 향상했으며, 반응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공간분해능을 향상했다. 위층은 블록형으로 아래층은 픽셀형 섬광체를 위치시켜 감마선과 반응한 섬광체에서 발생한 빛의 분포를 변화시켰으며, 변화된 빛의 분포의 채널별 신호 특성 분석을 통해 반응 깊이를 측정하였다. 아래층을 픽셀형 섬광체로 구성하여 평면 영상 획득 시 위층의 블록형 섬광체에서도 픽셀형 섬광체의 위치와 비슷한 곳에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앵거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16채널의 신호를 4개의 채널로 감소시켜, 신호 특성 분석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층 구분은 간단한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층별 약 84%의 측정 정확도를 보였다. 본 검출기를 전임상용 PET에서 사용할 경우 반응 깊이 측정을 통해 검출 시야 외곽에서의 공간분해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189.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음향 방출 기법을 사용하여 강연선(7-wire strand)의 손상을 감지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연선은 주로 교량에 추가적인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건설 자재이다. 프리스트레스 교량 또는 사장교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러나 교량 노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강연선 부식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다양한 비파괴 방법이 연구되고 있고 현장 적용 이 시도되고 있다. 비파괴 방법 ??중 하나인 음향 방출 기법은 케이블 손상 및 파단을 감지하는 효과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향 방출 기법의 교량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강연선의 손상에 따른 음향 방출 신호 특성을 인장 실험을 분석 하고, 현장 적용을 위한 최적 센서 주파수 타입을 선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음향 방출 기법을 활용하여 향후 교량 케이블의 부식 파단 및 파단 징후를 감지 할 수 있다 고 여겨진다.
        19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develop the waterborne silicon acrylic surface finishing material of parking lots. Pollutant emission test was conducted in order to give a guide datum for developing the material by implementing modified polyamide resin. As a result, specimens satisfied with the quality standard regarding TVOc, HCHO, Toluene which is prescribed in KS F4937. A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finishing material could be an optimized surface finishing material usable for parking lot floor.
        191.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assessment of 7-wire strand monitoring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 for bridges. 7-wire strand is widely used construction materials to provide additional tensile force to bridges. PSC (PreStressed Concrete) bridge and cable-stayed bridge are representatives for such cases. However, as the bridge aging progresses recently, corrosion problems of strand are emerging. For this reason, various NDT (Non-Destructive Test) methods for cable inspection are being studied and applied to the field. One of the NDT methods, acoustic emission technique, is known as an effective technique to detect cable damage and breakage.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acoustic emission technique to bridges, acoustic emission signal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rand were acquired and analyzed by tensile test.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the acoustic emission technique will be able to detect corrosion breakage and signs of rupture.
        19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헤어조절 및 사이클에 직⋅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 다. 특히, 모근세포는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피질관련호르몬과 세포손상 및 사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 고 있지만, 현재까지 실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보고에 의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 자가 증가되면 모근세포의 마이토콘드리아 활성을 저해하여 초기단계의 세포사멸을 가져올 수 있다고 임상학적 으로 보고된바가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와 부신피질관련 호르몬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모발의 outer epithelial sheath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스트 레스의 변화는 마이토콘드리아 손상을 초래하여 초기단계세포손상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 염스트레스가 피부의 모근세포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 이다. 우리는 NC/Nga 마우스에 2,4-dinitrochlorobenzene (DNCB)로 아토피피부염을 유발 후, 피부 스트레스 생성에 의한 초기단계 세포손상을 스트레스관련 인자,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그 관련 인자, annexin V 및 마이토콘드리아 반응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피부염에 의한 스트레스는 체내의 부신피질 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관련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모근세포에 영향을 주어 초기단계세포사멸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토피피부염관련 헤어손상을 일으킨다는 중요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며,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조절관련 의약품 및 화장품 등과 같은 보조적 요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193.
        2017.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척추동물의 생식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은 뇌하수체의 생식선자극호르몬 FSH 및 LH의 합성1과 분비를 촉진하여, 생식소의 발달과 배란․방정을 유도하는 신경펩티드호르몬이다. 1971년 Guillemin과 Schally가 처음으로 포유동물의 시상하부로 부터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nRH(LHRH)를 분리․동정하고 LH의 분비 촉진 기능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원구류 등 원시적인 척추동물의 뇌뿐만 아니라, 무척추동물의 신경절에도 GnRH유사 펩티드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해양성 연체동물과 절지동물에서 11~1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GnRH유사 펩티드 및 그 전구체를 암호화하는 cDNA가 동정되어 있으나, 상세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GnRH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GnRH cDNA를 클로닝하고,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다른 연체동물의 GnRH(GnRH-V형) 전구체와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드하는 한 개의 cDNA를 신경절 조직으로부터 동정하였으며, 신경절 조직에서만 특이적으로 GnRH mRNA가 발현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GnRH mRNA 발현은 암수, 성숙도 및 신경절 조직에 따른 차이점이 있었다. 향후, 척삭동물에서 알려진 4종류의 GnRH와 구별되는 무척 추동물의 GnRH 구조와 기능적인 차이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94.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don exhalation rates have been determined for samples of concrete, gypsum board, marble, and tile among building materials that are used in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Radon emanation was measured using the closed chamber method based on CR-39 nuclear track detectors. The radon concentrations in apartments of 100 households in Seoul, Busan and Gyeonggi Province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prediction model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four samples showed the largest radon exhalation rate of 0.34314 Bq/m2·h for sample concrete. The radon concentration contribution to indoor radon in the house due to exhalation from the concrete was 31.006 ± 7.529 Bq/m3.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ion concentration and actual measured concentration was believed to be due to the uncertainty resulting from the model implementation.
        195.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작물 도입 유전자의 이동은 안전성평가 및 안전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 소이며, 환경 모니터링 연구는 이러한 유전자이동성 확인을 위한 연구 중 하나로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zoysiagrass)의 야외환경 모니터링을 수행을 통한 환경모니터링 시스템 기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 다. 연구에 사용된 GM들잔디는 제초제저항 형질의 JG21과 JG21에 방사능처리로 웅성불임을 유도한 JG21-MS 등 2개의 이벤트를 이용하였다. 환경모니터링은 충남 성환, 충북 오창, 제주대 및 제주 납원읍 등 4개 격리포장 주변에 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총 265개 지점, 1,634개체에 대해 화분에 의한 유전자이동 및 종자, 영양번식체에 의한 산포 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모니터링 수행 결과 3개 지역에서 유전자이동 및 산포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2012년 제주 남원읍 지역 조사에서 격리포장 주변 2m 부근에서 JG21 1개체의 유출이 발견되어 보고 및 안전관리 조치를 수행하였다. 또한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법을 이용한 JG21과 JG21-MS의 구분판별법 을 개발하여 GM들잔디의 환경방출실험 및 상업화 후 사후 안전관리에 활용될 수 있게 하였다.
        196.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출장파복사량은 수치예보모형, 수문모형, 증발산 등에 사용되는 인자로 지구의 에너지 균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이를 정확하게 관측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지상관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지궤도 위성인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를 사용하여 방출장파복사량(Outgoing Longwave Radiation, Rlu)를 계산하였다. 이 자료의 검증을 위해 유량조사사업단에서 운영·관리하는 청미천/설마천 Flux Tower의 자료를 사용하여 계산된 Rlu와 MODIS 위성자료를 사용하여 계산된 Rlu를 비교 및 검증하였다. 전반적으로 COMS의 자료가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어 COMS의 사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OMS를 이용한 증발산 산정 연구를 할 계획이다.
        197.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is about variations in Carbonyl compounds concentration within apartment buildings according to pre-residence and residence. We consecutively investigated indoor air pollutants in 120 households in 6 cities at pre-residence and residence. Carbonyl compounds were collected using the 2,4-DNPH cartridge and were analyzed using HPLC. The carbonyls concentration of indoor air in the new apartments before occupation measured formadlehyde(76.0㎍/㎥), acetone(85.9㎛/㎥), acetaldehyde(13.8㎍/㎥). The carbonyls concentration of indoor air in the new apartments after occupation measured formadlehyde(233.1㎍/㎥), acetone(128.9㎍/㎥), acetaldehyde(29.8㎍/㎥),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mean concentration of carbonyl compounds within the pre-occupancy stage was lower than those of res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