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05

        19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yrolysis fuel oil (PFO) is used for the manufacturing of high-purity pitch for carbon precursor due to its high carbon content, high aromaticity, and low heterogeneous element and impurity content. Pitch is commonly classified with its softening point, which is most considerable physical property affect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arbon materials based on pitch, such as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mechanical strength, and pore property. Hence, the softening point should be controlled to apply pitch to produce various carbon materials for different applications. Previous studies introduce reforming process under high pressure and two step heat treatment for the synthesis of pitch with high softening point from PFO. These methods lead to a high process c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cess to synthesize the pitch with high softening point by using energy effective process at a low temperature. In this study,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was added to control the softening point of PFO-based pitch. The pitch synthesized by the heat treatment with the addition of PET showed the softening point higher than that of the pitch synthesized with only PFO. The softening point of PFObased pitch synthesized at 420 °C was 138.3 °C, while that of the pitch synthesized by adding PET under the same process conditions was 342.8 °C. It is proposed that the effect of the PET addition on the increase in the softening point was due to the radicals generated from thermal degradation of PET. The radicals from PET react with the PFO molecules to promote the polymerization and finally increase the molecular weight and softening point of the pitch. In addition, activated carbon was prepared by using the pitch synthesized by adding PE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activated carbon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PET. It is expected that the pitch synthesis method with PET addition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manufacture of pitch and activated carbon.
        4,000원
        19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로 다른 지리적 특성을 갖는 지역에서 발생되는 해륙풍에 의한 항만 내 선박 대기오염물질의 항구도시 확산 범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은 서해안(인천항 및 평택·당진항), 다도해 지역(목포항), 남해 및 동해(부산항 및 마산항), 동해 산간 지역(동해·묵호항)으로 선정하였다. 해륙풍 발생과 그로 인한 항만 내 선박에서 기인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확산 모사를 위하여 비선형(Non-linear) 및 비정상(Unsteady) 거동의 국지 순환풍 모사가 가능한 HOTMAC-RAPTAD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모사 기간은 전형적인 여름 날씨인 7월 중순으로 하였다. 그 결과, 해륙풍의 발생 특성과 항만에서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주변 지역 확산 거동이 지역 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연구 대상 항만인 인천항, 목포항, 부산항, 동해·묵호항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항구로부터 각각 27~31km(서울 서쪽 일부 지역), 21~24km(무안 남부), 20~26km(김해 및 양산 인근), 22~25km(태백산맥 능선 지역)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효과적인 항만 지역 대기질과 선박 대기오염물질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초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9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정보가 바탕이 된다. 조사의 결과로 나타나는 식물의 종수는 조사의 면적과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생육지의 수와 밀접하게 연관된다. 경상북도 울진군의 마룡산과 대소산 일원에서 각각 9회와 6회에 걸쳐 식물자원을 조사하였다. 조사경로에 다양한 생육지가 포함되도록 계획하였다. 조사의 결과로 마룡산 일원에서는 112과 349속 548종 10아종 34변종 2품종 594분류군이 대소산 일원에서는 89과 270속 400종 9아종 25변종 43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1개의 생육지로 구분하여 관찰된 식물을 정리하면 계곡주변의 전이대에 분포하는 식물과 건조한 초원에 분포하는 식물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해안에 위치한 전통적인 묘지는 식물의 주요한 분포지로 기능하였다. 2개 지역에서 한국고유종은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개 지역에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Ⅴ등급이 1분류군, Ⅳ등급이 11분류군, Ⅲ등급이 2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그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은 4 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마룡산 일원과 대소산 일원에 분포하는 식물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먼저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각각의 생육지 크기 차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소산 일원이 주변의 산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주거지와 경작지에 둘러싸인 고립된 공간에 해당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9,300원
        194.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on-am district is a residential area that was supplied in 1936 as a land readjustment project(Tojiguhoekjeongri). The Don-am district was newly supplied with residential areas and urban hanoks were built in large numbers. The Don-am district was influenced by urban planning and legislation at that time. These affected in the layout and plan of urban hanok. Residential block in the Don-am district were developed sequentially from the late 1930s to the 1960s. Residential block were divided by modern construction company and sold by individual lots. The blocks supplied to the Don-am district made uniformly the corner out-off(Ga gak) for creating a vehicle-centered road. So urban hanoks located in the corner plot was transformed in response to the road. Residential blocks in Don-am district was divided into three to four rows. Therefore, alleys were created inside the block. Newly made alleys consist of a privately owned road(Sa-do), a public road(Gong-Do), and open space in the site. And the alleys were used as an entry space for sharing with neighboring. Urban hanoks of Don-am district have had changed and adapted to the formation of these alleys.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