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182.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 of pheno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enol - degrading bacterium were carried out. A bacterial strain P2 capable of degrading phenol was isolated from contaminate
        4,000원
        18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산염과 인산염의 농도가 다른 배지에서 Gymnodinium sanguineum과 Sketetonema costotum의 성장과 세포구성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질산염은 0, 0.3, 0.6, 0.9, 1.2 mM, 인산염은 0, 15, 30, 45, 60μM을 각각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저농도의 질산염 및 인산염 배지에서 G. sanguineum의 성장은 억제되었으나, S. costatum은 성장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8.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북도 안동 사문암지역 및 부근의 화강암지역에 분포하는 암석, 토양 및 식물체에 함유되어 있는 원소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지역에분포하는 사문암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전이원소 함량(Ni 1.164ppm. Cr 366ppm. Co 109ppm. Fe 7.48%) 및 다른 대부분의 전이원소(Sc, Mn, Cu)도 화강암보다 높았으며 우리나라 efms 지역의 사문암에 함유되어 있는 농도와 비교하여 볼 때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사문아토양의 경우 암석풍화토양 및 산림토양 모두 화강암토양에 비해 Ni, Co, Cr, Fe, Sc, Mn, Cu, Mg, Zn 농도가 높았으며 Pb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토양내 원소 함량은 이들의 모암에 함유되어 있는 원소 함량의 변화와 일치하고 있으며 같은 모암인 경우 산림식생의 영향에 따라 면 원소들의 차이가 다소 나타났다. 식물체 내 원소의 농도는 토양의 농도에 비해 모두 낮았다. 참억새, 쑥, 소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원소별 평균 농도는 모두 동일종간 대부분의 전이원소(Ni, Co, Cr, Fe) 및 As 농도가 화강암토양에 비해 사문암토양에서 더높았다 사문암토양에서 생육하는 식물체 3종 모두 대부분의 원소(Ni, Co, Cr. As, Sc, Fe) 함랴이 지하부에서 더 높았으며 Zn과 Mo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농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화강암토양에서 생육하는 식물체의 경우 원소별 지상부 및 지하부의 농도차이는 사문암토양에 비해 크지 않았다.
        4,000원
        19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fly ash was performed by Thiobacillus thiooxidans MET isolated from the enrichment culture of an anaerobically digested sludge. The effect of solid concentrations on the efficiency of metal leaching was studied in shak
        4,000원
        19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외생산된 소 배반포 및 탈출 배반포강 내의 유리 아미노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외 배양은 소 혈청알부민이 함유된 합성난관배양액(synthetic oviduct fluid; SOF)에서 실시하였으며 수정 후 180시간의 배반포 및 216시간 후의 탈출 배반포를 실험에 공여하였다 아미노산 측정은 알부민 대신 Polyvinyl alcohol이 함유된 SOF 미소적에 수정란을 분주하고 미세조작기를 이용하여 배반포강 내의 액을 추출하여 20종류의 아미노산을 측
        4,000원
        195.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iol compounds, -mercaptoethanol(-ME) and cystearrone with buffalo rat liver cell(BRLC) co-culture on the development and intracellular glutathione(GSH) concentrations of bovine embryos produced by in vitro inaturation(IVM) and in vitro fertilization(IVF). Bovine IVM /IVF embryos developed to 2~8 cell stage were co-cultured with BRLC in GRlaa with or without thiol compounds. The developmental rate beyond morulae stage in CRlaa containing 0, 10,25 and 50M -ME with BRLG were 63.0, 74.0, 72.3 and 77.1%, respectively. And the developmental rate with 0, 25, 50 and 75M cystearnine with BRLC were 69.6, 77.6, 81.0 and 76.8%, respectively. The developmental rate beyond morulae stage of GRlaa containing thiol compound with BRL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s of blastocysts cultured for 5 days in GRlaa containing 0 and 50M -ME or cysteamine with BRLG were 81.2 and 86.4, 83.2 and 84.2pM, respectively. The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s of blastocysts in GRlaa containing thiol compounds with BRLG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cell numbers of blastocysts were not difference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ol compounds with BRLG co-culture was increased the percentage of developed into morulae and blastocysts, and intracellular GSII concentrations of blastocysts embryos.
        4,000원
        196.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ol compounds with bovine oviduct epithlial crlls(BOEC) co culture on development and intracellular glutathione(GSH) concentrations of bovine embryos derived from IVM /IVF oocytes. In experiment 1 and 2, embryos developed to 2~8 cell stage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co-cultured with BOEC in CRaa with or without -mercaptoethanol(-ME) and cysteamine. The percentage of embryos that developed to morulae and blastocysts in 0,10, 25 and 5OM -ME with BOEC was 48.1, 64.0, 72.9 and 75.9%, respectively. Twenty-five and 5OM -M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0 and 1OM - -ME groups(PM cysteamine with BOEC was 50.0, 53.2, 72.0 and 66.7%, respectively. Fifty M cysteamin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Paa with 0 and 5OM -ME or cysteamine were 68.5, 77.8, 78.7 and 80.0pM, respectively. Fifty M -M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P<0.05), but cysteamine group was not. Cell numbers of blastocysts were not difference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se experiments indicate that -ME and cysteamine with BOEC co-culture can affect the development and intracellular GSH concentrations of bovine embryos produced by IVM /IVF docytes.
        4,000원
        199.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트 재배에 알맞은 양액 농도를 구명하고자 근비대기 개시기(직경 1cm 정도)전후에 양액 농도가 생육과 몇 가지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Yamazaki 상추 용액을 근비대기 전에 0.5, 1, 2, 4배, 그리고 각각을 근비대 시작 후에 0.5, 1, 2, 4배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뿌리의 무게는 초기 0.5, 1, 2배액의 경우에 후기에 4배액 처리가 좋았다. 그러나 후기 4배액 처리구에서는 뿌리의 바람들이와 열근율이 높았다. 비타민 C는 근비대 후기에 너무 높거나 낮은 농도 처리 시 낮았다. 그러나 bataxanthin과 batacyanin은 비대기 전 농도에 관계없이 후기 처리 농도가 낮을수록 높았다. 따라서 비트에 가장 알맞은 농도는 초기에 1-2배액, 후기에 2배액을 쓰는 것이 좋다고 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