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6

        18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EO leadership and employee’s concerning and participation to quality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is critical factor for improving the business performance. This empirical study is aims to find that whether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is significant or not in the automotive parts suppliers. To perform this research, we distributed 250 sheets totally, and withdraw 194 sheets. We analysed 169 sheets that we could use for this research using SPSS 18.0 and AMOS 18.0. We had the results that CEO leadership i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ees’s participation to quality management. And the result of process improvement have positively effec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duct improvement result and business performance of firms.
        4,200원
        18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gital game is a space to form a new culture community to modern people. They build a social activity through the virtual space and function as a social tool in the more aggressive dimension than existing media. Therefore, apprehending various social phenomena appearing on the digital game is as important assignment as the society study of the real world.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the leadership type of the leader characters who lead the group among various social phenomena appearing on the digital game. Particularly, the researcher tried to focus on the multi-ending of Star Craft which contributed to activating the domestic game culture to apprehend the features and aspects through the type of leader characters and the goal & duty of that group.
        4,000원
        18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 대기업에서 서번트 리더십이 진정으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는지,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조직문화를 조성하면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 몰입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다. 이를 위해 서번트 리더십, 조직문화, 조직몰입 등의 관련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분석모형과 가설을 도출하고, 중국의 심양, 연태, 베이징, 천진에 위치한 한국 대기업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이들 요인사이의 인과관계와 조직문 화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합리문화가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들 관계에서 발전문화를 중심으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 국에 진출한 한국 대기업에서의 서번트 리더십을 통한 구체적 조직관리 방안들을 관리적 시사점으로 제 시하였다.
        6,000원
        184.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팀은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중요한 조직의 수단으로 팀제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팀 효과를 강화하는 요인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지면서, 지난 15년간 적응수행은 팀 효과를 강화하는 행위로서 주목을 받아 왔다. 팀 적응성과에 있어 많이 적용되고 있는 프로세스적 관점은 실제 적응이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설명 할 수 있지만, 다양한 적응과 관련된 행위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적인 과업수행 행위에 초점을 두고 팀 적응성과를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발생되는 팀 성과로서 정의하였다. 적응성과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액션팀인 특수 임무팀을 대상으로 팀 적응성과의 선행요인으 로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와 변혁적 리더십과 팀 적응성과의 관계에서 공유멘탈모델의 매개효과 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군 조직의 89개 특수 임무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불성 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65명의 특수 임무팀장들과 497명의 팀원들의 자료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특수 임무팀에서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적응성과 간의 관계에서 팀 공유멘탈모델은 유의한 정적인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 구성원들 개인에게 새로운 과업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성원들은 자신의 과업환경의 변화에 적응함으로서 결과적으 로 팀 적응성과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며, 동시에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전문성을 가진 다양한 팀 구성원들이 사회적 정체성 갖도록 유도함으로서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팀장은 외부환경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팀 구성원들이 직무환경에 대한 유용한 정보체계를 공유함으로 서 팀의 적응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실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 무적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6,400원
        18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한국교회가 직면한 수직적, 위계적 리더십 구조를 극복하 기 위한 선교적 대안으로서 젠더 통합적 리더십(gender inclusive leadership)을 제안한다. 현대의 한국사회는 교육의 기회에 있어서는 남녀의 차별이 없는 것 같으나 일단 사회 속으로 진출하게 되면 심각한 성차별의 유리천장을 경험한다. 그런데 한국교회 안에서의 성차별의 문화는 사회보다 더 심각하다. 이 글은 이어서 여성의 리더십을 증진하기 위하여 리더십의 발휘에 있어서 여성과 남성이 어떻게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들을 살펴보 았다. 성과 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들은 1980년도부터 본격화 되었는데, 특히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더 민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으며,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런 여성적 리더십은 조직문화 안에서 보다 다양한관점을 제공하여 의사결정과정에 보다 바람직한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여성들이 리더십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토록 함으로써 조직문화의 효율성을 꾀하고 있다. 이런 연구에 기초하여 선교적 과제로서의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함양을 위하여 필자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을 위해서 영적 리더로서 잠재력 있는 여성목회자들을 발굴하고, 여성이 리더십 지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야 한다. 둘째, 여성 스스로의 리더십 역량의 증진을 위한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 다. 셋째,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을 위하여 여성들에게 필요한 또 하나의 과제는 자기연민과 수동성을 극복하는 것이다. 넷째, 여성적 리더십의 바람직한 모델을 현장의 이야기 속에서 발굴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런 긍정적 여성리더의 이미지를 구축함으로 더욱 구체화되 기 때문이다. 다섯째, 기혼여성 목회자들의 목회영역의 경력단절 현상 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온전한 젠더 통합적 리더십의 형성은 남성들의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7,800원
        18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whether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CEO of a fashion compan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n on employees of fashion companies from August 1 to 30, 2015, and 35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software (ver. 21.0).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f a fashion company CEO has higher emotional leadership, i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the staff members, and an improvement in new product performance thanks to more investment and development and an expanded R&D staff. Additionally, the higher emotional leadership of the CEO contributes to an increase in operating profits, sales, and market shar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confirmed by its regulation effect on the emo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a fashion compan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motional leadership of a CEO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fashion company, and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how to enhance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fashion company from various perspectives.
        5,100원
        187.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current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ributions of the contributions of leadership functions, supervision, and working motivation on teachers’ performance at public elementary school in one of the sub-districts in Jambi Province, Sumatra, Indonesi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22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s, assistanced by the statistical application of the SPSS release 16.0.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adership function included very high category with a mean value of 3.2657, supervision with a mean of 3.2608, motivation with a mean value of 3.3465, and teachers’ performance with the mean value of 3.4447. The findings of the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single-step method (entered) also indicated that the contribution of leadership function to teachers’ performance with a value of R Square was 47.6%, the contribution of supervision to teachers’ performance with a value of R Square was 45.3%, and the contribution of work motivation to teachers’ performance with a value of R Square was 69.3%. Furthermore, the findings of multipl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ribution of leadership function, supervision, and working motivation altogether to teachers’ performance with the value of R Square was 74.3%.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for policy makers, school leaders, researchers, and teacher educators to understand how the contributions of the contributions of leadership functions, supervision, and working motivation affect teachers’ performance.
        4,300원
        18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바람직한 리더의 모습은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에게 영향 력을 행사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목표를 향해 매진케 함으로써 성과를 달성해 가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 한 상황에서 기업조직은 구성원들의 혁신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적절한 리더십의 발휘를 통해 구성원 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 내고, 이를 매개할 수 있는 요인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산업에서의 리더십 효과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셀프리더십과 부하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행동 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하의 셀프리더십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부산의 여행사 종업원 237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차원 중 카리스마를 제외한 개별적 배려와 지적자극이 부하의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부하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차원 중 개별적 배려만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긍정적 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하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 에서 부하의 셀프리더십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차원 중 개별적 배려와 혁신 행동의 영향관계에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부하의 셀프리더십이 상사 의 개별적 배려와 부하의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인 여행사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하위차원별로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및 부하의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연구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시사 점과 여행사 업종에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 하위차원 중 특히 개별 적 배려가 중요하고, 또한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5,800원
        18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아울러 양자 사이에 부하의 감 성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 가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상대적으로 감성지능의 발현이 용이한 외식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5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유효 한 423부를 분석에 사용했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영향력 검증에서, 먼저 조직시민행동의 경우 코칭리더십 중 관계 와 방향제시만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코칭리더십 중 관계, 방향제시 및 수행평가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칭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코칭리더십 중 관계와 수 행평가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하의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먼저 조직시민행동의 경우 부하의 감성지능은 코칭리더십 중 방향제시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몰입의 경우 부하의 감 성지능은 코칭리더십 중 방향제시와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수행평가와 조직몰입과의 관계 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경우 부하의 감성지능은 코칭리더십 중 수행평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만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6,100원
        19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87명 의 설문지를 빈도분석 및 백분율 산출, 평균과 표준편차 산출, 일원분산분석(ANOVA)과 T-test,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분석 및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로는 보육교사 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몰입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보통 이하로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이 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은 전체적으 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에는 부정 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아질수록 보육교사의 조직몰입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는 원장의 코칭리더십이 높아질수록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500원
        19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여러 현대사회의 문제점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조직이 성공을 이끈다. 이러한 조직을 움직이는 최초의 원동력은 리더십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 중에서도 최근 이슈 가 되고 있는 진성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행위결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진성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최근 에 와서야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영역이라 선행연구가 적지만, 본 연구에서는 학원장을 리더십의 중요한 주체이자 변수로 보고 연구함으로써 진성 리더십의 연구 범주를 확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경상남도지역 중 마산, 창원, 진해에 소재한 25개 학원에 종사하는 강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를 통해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 리더십이 높을수록 상사신뢰가 높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신뢰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고,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신뢰는 진성 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며, 조직시민행 동과의 사이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성 리더십이 높을수록 팀 에너지가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팀 에너지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지고, 조직시민행동은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여섯째, 팀 에너지는 진성 리더십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며, 조직시민행 동과의 사이에서도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원조직에서 학원장의 진성 리더십과 상사신뢰 및 팀 에너지는 조직구성원의 행위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 다. 결론 부분에 이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6,300원
        19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develops a two-echelon supply chain model with variable setup cost and environmental impact. A single-setup-multi-delivery (SSMD) policy is adop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in the supply chain in which it is assumed that the shipment lot size of each delivery is unequal and variable. Each delivered item goes through inspection process at the buyer’s end. After inspection, defective products are returned to the vendor for reworking process. Due to inspection process, end customers receives perfect quality items. Due to more transportations by SSMD policy, this model assumes carbon emission cost to help the world environment. An investment function is used to reduce total setup cost for the whole supply chain. Stackelberg leadership approach is utilized in this model to optimize the joint total cost of vendor and buyer. Finally, some numerical examples, sensitivity analysis, and graphical representations are given to illustrate more savings from existing literature.
        193.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need for cognition (NFC) and fashion leadership on regret after purchasing fashion goods in female consumer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ret and its dependent variables (i.e., dissatisfaction, regret resolution, and rebuying inten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for females in their 20s~40s, and 64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es in whic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applied using SPSS 1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r NFC was or the lower fashion leadership was, the higher the degree of regret, as NFC and fashion leadership bot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gret. In terms of the dependent variables, the higher the degree of regret, the higher the degree of dissatisfaction and ultimately the lower the rebuying intention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regret on regret resolution and the influence of regret resolution on rebuying intentions were significant. This study verified that consumers’ characteristics and feelings of regre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buying behavior of fashion goods.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s’ feelings of regret (which influence consumer satisfaction and rebuying inten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ies at fashion companies.
        4,800원
        19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 및 공공기관의 팀장과 구성원을 대상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등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확인하고,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이 중간관리자인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에 미치 는 적하효과와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검증결과, 첫째,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은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의 하위차원 중 도덕적 행동과 맥 락적 일관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중간관리자인 팀장의 도덕적 행동은 조직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및 지각된 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팀장의 행동진실성 은 조직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및 지각된 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팀 장의 맥락적 일관성은 가설과 반대로 조직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및 지각된 팀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팀장의 도덕적 행동은 차상위 리더의 도덕적 행동과 조직성과(조직 몰입, 이직의도, 리더십효과성, 지각된 팀성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 되었다.
        5,400원
        19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변화된 경영환경에서의 가장 적합한 조직형태는 팀제이다. 팀제의 가장 큰 장점은 유연성과 자율성 인데 팀 셀프리더십이 바로 이러한 특성을 수반한다. 따라서 이를 팀제에서의 가장 필요한 핵심 키워드로 생각하면서 본 논문의 연구주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팀 셀프리더십이 원활하게 작동된다면 팀 성과는 확 보될 것이며, 팀 동료 및 부하평가 요인이 팀 셀프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게 되었다. 주로 공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166개 팀 880명의 데이터를 기초로 팀 수준의 연구를 진행하기 위 하여 팀별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설문지를 두 가지 형태로 작성 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또한 개인수준을 팀 수준으로 변환하는데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문항일치도 ( )와 급내상관계수(ICC)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측정변수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하였으 며, 가설검증은 회귀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팀 셀프리더십은 팀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팀 동료평가 및 부하평가는 팀 셀프리더 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의 말미에는 연구결 과가 의미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 하였다.
        5,200원
        19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각 분야에서 불거지고 있는 거짓과 위선, 그리고 불신들은 우리 사회를 멍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진정성 있는 리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지만, 진성 리더십에 관한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 부하의 자아개념과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사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8개 기업의 약 482명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검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성 리더십이 상사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동일시 가 자아개념과 내재적 동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상사동일시는 진성 리더십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며, 상사동일시는 진성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 간의 관계에서도 역시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사의 진성 리더십 의 발휘가 부하의 자아개념과 내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진성 리더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실무적 시사 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5,400원
        197.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사고과의 공정성 지각과 진정성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인사고과결과 수용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정성 지각과 결과변수들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 절효과를 갖는지 실증분석하고 있다. 부산‧경남 지역 7개 기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0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이들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사고과시스템의 공정성은 인사고과의 절차적‧분배적 공정성과 발언기회(voice)의 두 요인으로 도출되었는데, 이들 두 요인 중에 인사고과의 절차적‧분배적 공정성이 구성원들의 고과결과 수용 및 조직몰입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은 인구통계변수와 인 사고과 공정성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에도 고과결과 수용과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사고과의 공정성과 고과결과 수용도의 관계에 있어서 진정성 리더십이 조절효 과를 보이고 있는데, 상사의 진정성 리더십이 높은 수준인 경우 인사고과의 공정성이 고과결과 수용도에 미치는 정(+)의 효과는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사고과 결과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을 이끌어내고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려면 인사고과시 스템이 절차적‧분배적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상사가 진정성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6,000원
        19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사회는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을 요구하는 지식기반 사회이며, 인적자원의 관리와 혁신이 기업의 경 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조직은 구성원들의 혁신을 지향하 는 적극적인 리더십의 발휘를 통해 구성원들의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 내고, 이를 매개할 수 있는 요인 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리더의 감성지능과 리더의 진정성이 부하의 셀프리더십 및 부하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리더의 감성지능 및 리더의 진정성이 부하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부하 의 셀프리더십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부산과 경남의 13개 제조기업 31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의 감성지능과 리더의 진정성은 각각 부하의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리더의 감성지능과 리더의 진정성은 각각 부하의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부하들의 셀프리더십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긍정적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넷째, 리더 의 감성지능과 부하의 혁신행동 간의 관계 및 리더의 진정성과 부하의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부하의 셀프 리더십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각 관계별로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부하의 셀프리더십이 리더십과 부하의 혁신행동의 관계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더의 감성지능과 진정성이 부하의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부하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종합적인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에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강화하 기 위해서는 리더의 감성지능과 진정성, 그리고 부하의 셀프리더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 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5,500원
        19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한경쟁 및 기술의 혁신적 진보, 그리고 세계적인 경기부진은 창조경제ㆍ창조경영을 시대적 화두로 만들었다. 그에 따라 많은 조직들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변화와 혁신에 주력하고 있는데,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이 무엇보다도 구성원의 창의성에 뿌리를 둔다는 점에서 경영진들은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런데 다수의 연구들에 의하면 리더십은 가장 효과적인 창의성의 결정요인 중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변화와 혁신에 초점을 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구성요소 중 하나이자 창의성에 보다 직접적인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에 대한 관심은 더욱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런 한계를 보완하고자 다음의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 고 수행되었다. 첫째, 사회학습이론과 심리적 분위기 이론을 기반으로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이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 결과를 공고히 하고, 경영진으로 하여금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무엇보다도 현장의 리더십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리더십 대체이론의 관점에서 변 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재선발 및 교육훈련에 있어 구성원의 어떤 역량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군 간부 리더- 부하 199쌍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구성원의 창의성 과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정치적 기술의 상호작용을 확 인한 결과,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높은 경우에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정적관계가 유의 한 반면, 정치적 기술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이 창의성 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며, 나아가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에 따라 창의성에 미치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말미에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5,400원
        200.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코칭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들의 셀프리더십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에니어그램 코칭의 기본원리 세 가지를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유아에게는 신성이 있다. 둘째, 유아에게 필요한 해답은 모두 그 유아의 내부에 있다. 셋째,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파트너가 필요하다. 이 세 가지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만들었으며,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하였다. 에니어그램 코칭을 적용한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내용은 총 8회기로 다음과 같다. 1회기는 “서로 인사해요”, 2회기는 “나 자신을 이해하기”, 3회기는 “나 자신을 조절하기”, 4회기는 “나는 멋진 어린이”, 5회기는 “나는 과제를 잘해요”, 6회기는 “나는 무엇이든 해결해요”, 7회기는 “나는 즐겁게 지내요”, 8회기는 “나는 칭찬을 좋아해요”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개인의 효율성과 잠재력을 극대화시키는 에니어그램 코칭을 접목하여 유아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유아를 위한 에니어그램 코칭 셀프 리더십을 실용화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