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1

        18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rticultural therapy is a complementary therapy by trained professionals utilizing plant and horticultural activities as media to pursue the positive change of clients, which resulting from stimuli of plant․natu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Out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provide clients with the opportunities of the contact to nature. such as fresh air and sunlight as well as plants. But the importance of plant․nature to client's health has not been fully acknowledged compared to that of therapist's role and activities in horticultural therapy in Korea. In horticultural therapy it is possible for client to participate on the various levels from passive viewing to active gardening according to the client's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orticultural therapists to consider the therapeutic factors of plant․nature to maximize the therapeutic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clarify the therapeutic factors in the contact of client with plant․nature and to emphasize those importance in horticultural therapy. From the review of the experimental researches five therapeutic factors were revealed: Natural light, plant․natural view, natural sound, aroma(volatile oils of plants), and plant itself. This paper raises the importance of outdoor activities in horticultural therapy and the necessity for severely handicapped clients to the contact with plant․nature, though passively.
        183.
        200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problems of guideline signs, facilities and length of nature trails of Odaesan and Seoraksan national park, and aims to help the preservation of nature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hildren's learning of nature by observing the usage of nature trails in the children's point of view. On-site research and questionnaire research took place in November 2008 and february 2008.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problems, we have proposed the location change of guideline signs to be suitable for children and also the change of its design for children's increased attention.
        184.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습정재 하응운(1676-1736)이 지니고 있었던 주정적 세계관을 중 심으로 그의 문학적 형상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그의 가학적 전통 과 시대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문학작품이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응운은 선대로부터 남명학통을 이어받았으나 노론으로 정립한 학자다. 그의 시대에 와서 명실상부 한 진주지역 노론 명문가로 발전하게 된다. 이 같은 처지에서 노론과 소론 사이 에 있었던 辛壬獄事를 거치면서 退處를 단행한다. 철저한 유가적 출처의식에 기반한 것이었다. 하응운은 당대를 위기의 시대로 판단하고 산림 속으로 물러나 주정적 세계관 을 정비한다. 이는 周惇頤 이래 성리학자들이 聖學을 터득하기 위하여 치열하 게 구축해갔던 세계관이다. 그 역시 이 주정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자신의 호를 ‘습정’이라 하였고, 이를 통해 안으로는 通明을, 밖으로 公溥를 획득하고자 했 다. 이 같은 세계관에 기반하여 문학창작을 하였으며, 당대인으로부터 ‘文苑의 詞宗’이라 칭송을 받기도 했다. 그의 문학은 時文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淸 越奇健’하고 ‘往往逼古’했다는 평가 받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그의 문학적 경향 을 대체로 파악하게 된다. 주정적 세계관에 기반하여 작품을 창작했던 하응운은 자연을 ‘습정’의 공간으 로 인식하기도 하고, 창작의 공간으로 인식하기도 하였으며, 또한 생활공간으 로 인식하기도 했다. 습정공간으로서의 자연은 그의 문학이 유가적 수양론과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창작공간으로서의 자연은 起興의 대상이 되어 하응운으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과 시화를 나누고 주흥을 이끌어내어 작품을 창 작케 하는 구실을 하였다. 그리고 생활공간으로서의 자연은 책읽기나 글쓰기 등 선비의 일상사를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존재였으며, 특히 여행은 자연을 작품 화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86.
        200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environment at urban streams in Korea, several river restoration projects have been initiated for past few years.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f diverting water application at the riverhead of Onchun stream through the monitoring program for several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parameters. Various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ecological item such as benthic macroinverterates has been investigated between 09/05 and 12/06.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diverting water from Nakdong river to Onchun stream distinctly improved sev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PH, BOD, TN, TP a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Low flow augmentation also improve ecological indicies such as the diversity index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Generally speaking, releasing addition water from head water of Onchun stream improves various wat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187.
        200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하천정비는 하천생태계에 초점을 맞추고 자연하천에 근접할 수 있는 공법을 사용하는 자연 친화적인 하천정비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자연 친화적인 하천정비는 아직까지 많은 기술이 축적되지 않아 어떤 공법이 하천환경에 적합한 공법인지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값비싼 공법을 적용하여 하천을 자연 친화적으로 정비하였다. 하더라도 하천정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방법이 확립되어있지 않아 자연 친화적 하천정비에 대한 타당성을 객관화하지 못
        18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遺逸은 16세기 조선조 사대부문학의 작자층 가운데에서 학덕이나 재능을 지 녀 朝官이 될 자질을 갖추고도 벼슬하지 않고 재야에 은거하는 未入仕者를 말 한다. 士禍라는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자신의 근거지로 은거한 이들은 현실 을 외면하지 않고 끊임없는 학문연구와 심성수양을 통해 온전한 인격을 추구하 였으며, 향촌을 교화하고 도학을 전파하는 등 경색된 현실에도 굴하지 않고 士 로서의 정체성 확립에 부단히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사회적 비중과 신망이 조 정에서 벼슬하는 관료보다 더 높아져, 조정에서는 이들을 예우하여 徵召하였다. 곧 遺逸은 출사하지 않으면서도 지방에서 백성의 신망이 두텁던 당대 碩儒들로 서, 우리 역사상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는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삶의 터전은 산수자연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은거지에 대한 애정이 남 달랐고, 은거지 주변의 명산과 절경을 유람하는 것으로 이를 표출하였다. 유람 에서 만나는 자연경물에 자신의 심정을 붙여 술회하였는데, 그들에게 있어 산 수자연은 ‘본래 그러한 것, 본래 그러한 모습으로 존재했던 것’으로만 인식되지 않았다. 특히 16세기 조선조는 성리학 연구의 심화가 이루어지던 시기이다. 이 들은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자 성리학자였기 때문에, 그들에게 있어 산수자연은 당대의 不正한 현실을 인식하는 자신의 의식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특히 은거지 중심의 유람에서 표출되는 산수자연은 현실에서의 좌절을 수양으로 승화시키는 지식인의 의식세계를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예컨대 현실을 외면할 수 없는 성리학자였던 만큼 자연경물을 통해 현실의 不 正 및 민생고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였고, 역사유적지를 접하면 그 시대를 회고 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현실을 반성하는 계기로 삼았다. 무엇보다 물러나 있지만 자아를 각성하고 심성수양에 진력했던 이들에게 산수자연은 士意識을 고취하는 매개로 작용하였다. 곧 당대 관료세계에 피동적으로 편입되기를 거부 하고 물러났던 조선조 士人의 의식을 산수자연으로 표출하였던 것이다.
        19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classify and describe the riparian vegetation of the 6 river·stream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nineteen communities.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A: Salix koreensis community, B: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C: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D: Amorpha fluticosa community, E: Brousonnetia papyrifera community, F: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G: Rubus corchorifolius community, H: Phramities japonica community, I: Phramites communis community, J: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K: Miscanthus sine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L: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ommunity, M: Humulus japonicus community, N: Zoysia japonica community, O: In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community, P: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 community, Q: Junco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R: Rumex crispus community, S: Persicaria hydropiper community.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versides was recovered in the surveyed results according to river·stream basin, in other words, 10 communities in the upper river·stream riparian, 15 communities in the middle river·stream riparian, 10 communities in the down river·stream riparian. Th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in the upper and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down was analyzed by common community of the 6 river·stream riparian, respectively, but none in the middle. The standing profile of vegetation across 6 river·stream was seen stepwis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shrub community by natural waterway in the upper, Salix gracilistyla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Rumex crispus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umulus japonicus community in the middl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down. The differences of distributional featurs of vegetation emerged from the riparian of the 6 river·stream, but don't from the 6 river·stream.
        191.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오늘날 일본인들의 가까운 선조들에 의해 만들어진, 일본의 권위있는 정부기관에서 생산된, 일본의 사료들만을 기초 자료로 하여, 당면하고 있는 소위 독도문제 의 본질을 이해하려 했으며, 그 문제의 중심에는 조작된 󰡔島根縣 告示 第40號󰡕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려 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은 독도가 주인없는 땅이 아니라는 역사적 사실을 1905년의 시마네현고시 제40호 이전에 이미 알고 있었으며, 고시에의 한 영토편입 이후에도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토인식, 즉 조선의 영토라 는 기존의 인식에는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일본이 국제 법적 근거로 내세우는「島根縣 告示 第40號󰡕의 실체는 일본 제국주의가 독도 불법강점을 위해 은밀히 진행시킨, 위장된 근거에 불과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당시의 국제 상황, 그리고 러시아와 전쟁의 와중에 그야말로 비밀에 붙일 수밖에 없는 저간의 사정을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일본의 뿌리깊은 침략근성, 끈질긴 영토팽창야욕에 기인하는 술책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192.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rveys for visitor's awareness and on-the-spot investigations at Odae Mountain National Park were conducted for activation of nature interpretation. As a result, many problems on observation trails as the object of the nature interpretation were identified. The nature interpretation is not functioning fully for the sid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nature interpretation were analyzed in depth based on the survey of the visitors. In order to improve roles of the nature observation trails and solve the present problems immediately, suggestions are as the followings. 1)Road resurfacing and space development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nature observation trail. 2)Public relations for nature observation trail and production of signboards promoting visitor's interest. 3)Development of nature observation trail used only for nature interpretation 4)Development of adequate Korean interpretation program based on systematic nature interpretation models from other developed countries
        195.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was written in search for the true classical scholar whom Nammyong think is preferabl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the Text-linguistics, described cohesion, the author analyzed the situationality, intertextuality, and informativity which were shown in Nammyong's poems, an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① situation analysis, ② coherence, ③ the diagram of the synthetical structure, and ④ translation of the poems. The contents were arranged into two parts : ① the desertion of human desires and ② the harmony with the nature and the pleasure of hermit life. The poems and the analysed contents were like these: The themes of 'the desertion of human desires' and 'the harmony with the nature and the pleasure of hermit life' are different, but they are of the same category. This is because the heavenly morals is conserved when the human desires are abandoned, and the harmony with the nature and the pleasure of human morality can be obtained when the heavenly morals are conserved. Nammyong worried for the classical scholars not to cut off the human desires and to flatter themselves in search for the bureaucratic office. He said, if he became dirty because of the human desires, "He would instantly cut open the stomach, take out the dirty things, and flow down them into the river." And also he tried to put these beliefs into practice. He always carried with himself the letters of ‘Piety(敬) and Righteousness(義)', and tried to be pious internally and to be righteous externally. And so Nammyong could succeed in obtaining the harmony with the nature, and could enjoy the pleasure of hermit life.
        200.
        199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kill used in the broadest context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was defined in various terms and its meanings were illustrated from several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i.e., from physiological, psychological, biomechanical, and behavioral points of view. The viability of diversified theoretical approaches was discussed in terms of levels of analysis, parameters of analysis, and units of analysis. In view of current theoretical developments, two different kinds of currently prevailing approaches to the production and control of movement (and thus, skill) were contrasted and examplified in terms of explainability of movement phenomena.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motor control researche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surrounding disciplines with suggestions of direction in future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