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1

        201.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눈향나무의 효율적인 삽목번식 체계를 확립하고자 삽목시기, 삽목용 상토, 삽수, 발근촉진제의 종류를 다르게 하여 삽목 후의 생존율, 발근율 및 초기생장상태를 조사하였다. 삽목시기에 따른 발근율은 4월 68.3%, 5월 39.5%, 6월의 32.5%로서 4월이 가장 적합하였다. 삽목용 상토는 냇모래 72.7%, 혼합토 40.1%, 마사토 27.5%로서 냇모래가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고, 뿌리의 생장도 좋았다. 발근촉진제 처리 효과는 발근율이 높은 냇모래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발근율이 낮은 마사토에서는 무처리구 41.1% 에 비해 IAA 64.4%, IBA 64.4%, NAA 68.9%로서 발근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삽수의 숙도면 에서는 숙지삽을 이용하는 것이 반숙지삽을 이용하는 것보다 생존율이나 발근율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 을 보였다. 따라서 눈향나무 삽목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조건은 냇모래에 숙지삽 상태로 4월에 삽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000원
        20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s the non-cutting optical fiber transmission tester, which can test the abnormality in the optical fiber core. The basic testing method, in the case of abnormality on the lines, can estimate the loss and other abnormalities by using optical power meter and stabilized laser source of light. The optical measurement wavelength of the system is the wavelength for communication of 1310, 1550nm, and can, in checking the abnormality on the communication lines, measure the optical in order not to affect the existing data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maximum loss of 0.5dB only. The break down can be diagnosed with the naked eyes by having red laser diode with optical power of 0.5mW(-3dBm) built-in.
        4,000원
        205.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화 ‘신마’ 품종의 플러그 묘 생산에 있어 서 삽수의 조건이 지상부 생육과 발근 및 정식 후의 절화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잎을 전부 제거한 처리는 지상부 생육이 가장 불량하였고, 전혀 발근이 안 되었다. 잎을 4~6개를 부 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지상부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 이었다. 삽수길이는 5~7 cm 처리에서 지상부의 무게가 무거웠으며, 발근에 있어서는 다른 처리에 비하여 5 cm 처리에서 뿌리의 무게가 가장 무거웠고, 뿌리수가 가장 많았다. 삽수 굵기가 굵을수록 지상부 생육과 발근이 양호하였다. 삽수에 부착된 엽수가 4~6개인 처리에서 절화장이 길었으며, 줄기의 굵기도 컸다. 삽수의 굵기가 3.2 mm 처리에서 절화장이 가장 길었다. 따라서 국화 ‘신마’ 플러그 묘 생산시 삽수의 굵기가 3.2mm 정도의 5cm 길이의 삽수에 4장의 잎을 부착하여 삽목하는 것이 묘의 생육 및 발근에 효과적이고, 정식 후 절화의 생 육에도 적합하였다.
        4,000원
        206.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peed at which products are developed and released to market is tightly linked to profitability and market share. Hence, many companies are still in a desperate need of real Rapid Tooling (RT) technologies which can really help to expedite their proto
        4,000원
        208.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엽절제 정도에 따른 넓은잎큰조롱의 수량 및 품질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주재배에 따른 경영비를 절감하고자 경엽절제 비율 10% 등 5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지주재배(관행)에 비하여 무지주재배에서 경엽생육이 저조하였으며, 무지주재배 간에는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줄기길이는 길었으나, 줄기굵기와 분지수는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굵거나, 많은 경향이었다. 나. 엽폭은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넓은 경향이었으나, 엽록소 함량은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다. 근 생육은 지주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무지주재배에서의 상품수량은 경엽무절제 559 kg/10a 대비 경엽 10~20% 절제에서 9~13% 증수되었다. 라. 지주재배에 따른 경영비를 절감하기 위한 무지주재배시 최적 경엽절제비율은 20%이었다.
        4,000원
        210.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Dendrobium nobile 계통의 교잡종인 'Hamana Lake Dream' X 'No. 55' 유묘의 기내삽목 시 증 식 및 생육에 알맞은 배지와 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Hyponex배지보다 MS배지에서 생장이 잘되었는데 MS배지에 활성탄을 0.1과 1.0g/L 수준에서 첨가했을 때 줄기수와 엽장, 근수, 생체중이 양호 하였으나 2.0g/L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MS배지에 agar, sucrose, peptone, gelite 를 농도별로 첨가한 실험에서는 agar 5g/L 첨가 시 줄기 길이와 엽폭, 생체중의 값이 높았고, 절간장과 근수는 sucrose 40g/L을 첨가했을 때 효과적이었다. 또한 줄기수와 엽수는 peptone 1g/L에서 효과적이었으 나 gelite는 모든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저조하였다. 기내삽목 시 배양온도는 28℃가 알맞았고 동일한 온도조건에서는 MS배지가 Hyponex배지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ucrose 농도별 실험에서는 28℃에서 40 g/L를 첨가하는 것이 좋았다.
        4,000원
        21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겹꽃으로 개화하는 한국자생 산수국(Hydragea serrata for. acuminata)을 분화용 식물로 개발하기 위하여 알맞은 삽목시기를 구명하고 월별 삽목시기가 이듬해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2008년 3월부터 9월까지 매월 10일날에 직경 15cm 크기 의 화분에 직접 삽목을 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은 5월에 삽목한 것이 31.7cm로서 가장 컷고 그 다음이 4월과 7월에 삽목한 것 이었으며 8월과 9월에 삽목한 것은 각각 23.6cm와 22.0cm로서 비슷하였다. 그러나 6월에 삽목한 것은 비정상적으로 작았고 생육도 매우 부진 하였다. 잎은 8월 이후에 삽목했을때에 엽폭이 좁아지고 엽장도 짧아져서 엽면적이 감소되었으며 엽병장 또한 짧아졌으나 착엽수는 변화가 없었다. 주당 꽃송이의 수는 5월에 삽목한 것이 4송이로서 가장 많았고 7월부터 9월 사이에 삽목한 것은 3송이가 피었으며 6월에 삽목한 것은 1송이가 착화 되어서 가장 적었다. 화관의 크기는 5월에 삽목한 개체가 직경 10.3cm로서 가장 컷으며 7월이후부 터는 삽목시기가 늦어질수록 화관의 크기가 감소되었다. 착화수나 꽃의 크기, 소화의 수 등의 개화 상태는 5월에 삽목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6월에 삽목한 것이 가장 저조하였다. 그러나 8월과 9월에 삽목을 실시하더라도 이듬해에 관상가치가 있는 정상적인 꽃모양을 가진 꽃이 피었으나 개화시기는 약간 늦어졌다.
        4,000원
        21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의 잎무늬종 맑은대쑥 (Artemisia keiskeana)을 원예 및 조경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삽목 시 삽수부위, 용토의 종류 및 오옥신류의 처리가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삽수부위별 처리에 있어서 신초의 정단부보다 중간부와 기부를 삽수로 이용하는 것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에 좋았으며 특히 중간부의 경우, 발근율이 68.3%로 가장 높았다. 삽목용토에 있어서 피트모스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늦었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 발근율과 생존율 모두 낮았던 반면, 버미큘라이트에서는 발근시작일이 가장 빨랐고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도 가장 효과적이 었으며, 발근율 88.3%, 생존율 99.2%로 용토처리 중 가장 좋았다. 오옥신 처리를 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발근 율과 생육이 우수했다. 대조구는 발근율이 41%로 낮았으 나 처리를 한 경우 발근율이 80%이상으로 현저히 높 았다. NAA를 처리한 경우가 IBA를 처리한 것에 비해 근장과 근수를 포함한 지하부의 생육이 좋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과 발근율이 높았으며 지하부의 생 육도 좋았다.
        3,000원
        21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Dendrobium nobile계 신품종인 ‘Candy’와 ‘Fizz’, ‘Princess’를 대상으로 줄기 삽목번식법을 확립하 고자 수행하였다. 매질실험에서 삽목 60일 후 측아발 생률은 ‘Fizz’가 perlite+vermiculite 혼용구에서 83.3%로 가장 높았고, 발근률은 ‘Candy’와 ‘Fizz’에서는 발근이 되지 않았으나 ‘Prince’의 경우 삽목 60일 후 perlite+ vermiculite 혼용구에서 10%의 발근률을 나타냈다. 오 옥신 종류 및 농도별 실험에서 측아발생률은 ‘Candy’를 제외하고는 삽목 60일 이후부터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 었으나 ‘Fizz’는 IBA 200ppm 처리의 86.7%를 제외 하고는 대조구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착엽수는 대 조구에 비해 ‘Candy’와 ‘Fizz’의 경우 IBA 200ppm 에서 높은 발생률을 나타냈다. 발근률은 ‘Prince’에서는 IBA 200과 NAA 50ppm에서 대조구보다 2배의 높은 발근률을 나타냈다. BA와 kinetin의 농도별 실험에서 ‘Candy’는 삽목 60일 후 BA 50ppm에서 20%의 측아발 생률을 나타냈다. ‘Fizz’ 품종은 전체적으로 측아발생률이 30일 이후부터 증가하여 60일 이후에는 대조구의 77%에 비해 BA 200ppm에서 100%이었다. 그러나 kinetin의 경우 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착 엽수도 Fizz와 Prince에서 측아발생률과 유사한 경향으로 서 BA 200ppm에서 효과가 뚜렷하였으나 모든 품종 에서 발근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4,000원
        21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보리, 밀, 호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 5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중부지역에서 답리작 재배시 월동 후인 3월 15일 부터 6월 1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10회에 걸쳐 예취한 후 각 작물별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를 비교하였다. ADF 함량은 5종의 총체맥류 모두 월동 후 증가하다가 각 작물별로 최고점에 도달한 후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는 2차원적인 경향을 보였고, NDF 함량은 월동 후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대체로 어느 일정시기 이후에는 정체되
        4,000원
        220.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suffering financial crisis in 1997, Korea's fashion market has grown in the direction that satisfies the reasonable price and diverse consumer's sensitivity and nee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utting portion in the waist line is surely necessary for designing the jacket pattern in men's wear, by closel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cutting portion in the waist line on the external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given designing the jacket pattern in men's wear for the standard body type in 20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external appearance, when having evaluated by dividing into 14 items such as the whole surface, the side, and the back side, the experimental clothing, which wasn't cut the waist line, obtained the highest mark in 13 items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10 items except 4 items. As a result of evaluating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clothing, which wasn't cut the waist line, obtained the highest mark in 13 items among 25 items in the total. Next, the cutting portion in the waist line obtained the highest mark in 10 items for the experimental clothing with opening in 1.0cm. The nex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the experimental clothing with 1.5cm and the experimental clothing with 0.5cm. Given seeing the above result, the cutting portion in the waist line given designing the jacket pattern for the standard body type in 20s could be known that the experimental clothing with the most excellent mark in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was all the experimental clothing with 0.0cm whose waist line wasn't cu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