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9

        201.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족제비고사리의 대량번식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엽체의 기내배양 및 기외 포자체 형성의 적정 조건을 구하고자 실시되었다. 기내에서 전엽체 증식은 MS배지의 무기물 조건에서 가장 활발하였고, NH4+:NO3-의 농도비가 10:50mM이고, 2%의 sucrose가 첨가된 배지에서 생장이 향상되었다. 전엽체 생장에 적합한 배지의 pH는 5.8이었으며, 적정 agar 농도는 0.6~0.8%로 조사되었다. 배지에 첨가된 생장조절물질(NA, IAA, 2,4-D, BAP, kinetin 및 2ip)은 대부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전엽체의 생장을 더욱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에서 증식된 전엽체를 토양 별로 기외이식한 결과, 상토 단용구에서 가장 많은 포자체가 형성되었으며, GA3 100μM에서 3시간 동안 침지처리 한 전엽체로부터 포자체의 형성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202.
        200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마릴리스 (Hippeastrum hybridum Hort. 'Dazzler')의 효율적인 기내 급속 대량 증식체계를 확립시키고자 개화15일전 화뢰와 부착된 소화경을 재료로 하여 적합한 치상체의 선별과 캘러스 및 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어린 화뢰내 약, 화사, 주두, 화주 및 자방은 배양 중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캘러스 및 소자구를 형성하지 못하여 배양재료로 부적합하였으나 소화경절편에서는 캘러스 및 자구가 형성되어 치상재료로 적합하였다. 배지내 첨가된 식물생장조절물질에 따라 치상체에서 직접 자구를 형성하거나 캘러스를 통해 식물체로 분화되는 2가지 경로로 형성되었는데 개화 15일전 소화경 절편을 0.5 mg/L LAA와 1.0 mg/L BA가 혼용처리된 MS 배지에 배양하여 100% 소자구형성 및 신초가 분화되어 효과적이었으며 소화경에서 직접 형성된 자구 또는 캘러스를 통해 분화된 신초는 성공적으로 식물체로 재분화 되었다.
        208.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포장에서 염류의 집적은 우량인삼의 생산에 많은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삼종자의 NaCl에 대한 반응정도를 조사하고, 또한 체세포배의 발생시 및 인삼모상근에서 사포닌의 생성에 미치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인삼 접합자 배를NaCl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 접종한 결과 84.5%가 발아되었으며 0.1M에서는 3% 만이 발아되었고, 0.2M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되지 않았다. 또한 체세포배 발생 은 미숙배를 이용할 경우 NaCl 무첨가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성숙배에서 는 NaCl 무첨가배지보다 0.05M첨가배지에서 더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뿌리 상태인 인삼의 모상근의 경우에는 광상태에서 NaCl를 첨가한 배지에 배양시 0.04M에서부터 안토시안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0.08M에서는 눈으로 확인이 가능할 정도의 많은 량이 형성되었다. 안토시안을 함유한 세포주는 다른 세포주에 비해 crude saponin뿐만 아니라 total ginsenoside의 함량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anaxatriol보다 panaxadiol이 2배 이상 많았다.
        209.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callus의 기내배양에 의해서 항암물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인삼 callus의 polyacetylene생산에 미치는 전구물질 및 elicitor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5mg/l의 L-phenylalanine첨가배지에서 인삼 callus의 생장과 polyacethylene합성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panaxynol뿐만 아니라 panaxydol도 형성되었다. 반면에 α-methyl-D.L.methionine과 D.L.-norleucine 첨가구에서는 polyacetylene이 전혀 생성되지 않았다. Elicitor로 사용되는 nigeran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인삼 callus의 생장을 억제시키지만 polyacetylene생성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러나 chitosan은 0.5mg/l의 농도에서 는 인삼 callus의 생장과 polyacetylene의 생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1mg/l 이상 처리구에서는 panaxynol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panaxydol은 검출되었다.
        210.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임신 및 비임신 비장유래 macrophge의 체외배양에 의한 배양액내의 호르몬 생산을 조사하여, macrophge의 임신 관련 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임신 및 비임신된 도축 암소의 비장을 채취, macrophages를 분리채취하여 24~120시간동안 39에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Progesterone의 생산은 24-96시간 동안에는 임신한 것이비임신에 비하여 생산율이 높았으며, 120시간에는 임신이 비임신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21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erritin light heavy chain (FLHC) gene는 일부 중금속과 결합, 저장 및 운반하여 무독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 관련 유전자인 FLHC유전자를 식물 발현용 promoter인 35S promoter와 Tnos를 사용하여 식물 형질전환용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식물세포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는 상기 cassette vector가 조립이 매우 양호하며 border sequence를 가지고 있는 pRD400 binary vector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가나마이신 내성 유전자 (NPT II gene)와 tadpole ferritin heavy chain gene 및 human ferritin light chain gene를 함유하고 있는 binary vector를 재조합하였다. Binary vector의 아그로박테리움에 도입은 triparental mating 방법에 의하여 수행하여 AB배지 및 가나마이신 함유 배지에서 disarmed Ti-vector를 가지고 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MP90/FLHC을 선발하였다. FLHC 유전자 도입된 식물형질전환용 binary vector를 이용하여 형질전환방법을 변형하여 많은 embryo를 유도하였으며 유도된 embryo들은 GA 10mg/L가 첨가된 배지에 지상부를 유도하였다. 형질전환체식물체의 정상적인 생장을 유도하기 위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던 바, 비교적 1/3 MS배지에서 뿌리의 생장과 지상부의 생장이 균일하게 생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뿌리와 줄기가 잘 발달된 약 7cm의 유식물체를 대량으로 증식하여, 모래와 흙이 1:1로 혼합된 토양에 옮겼다.
        212.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efficient in vitro propagation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of Orostachys japonicus were established. The highest growth yield was achieved in 1/2 MS medium, while the lowest growth yield was obtained in 4 MS medium. The patterns of polysaccharide formation were a little similar in all cases, but on MB5 medium, the po]ysaccharide contents of plant were higher than others. Among the modified nitrate levels, effective growth level were obtained in 1/4 N and 1/2 N. High contents of polysaccharide were obtained in 4 N. Different concentration of potassium and calcium did not improve the growth and polysaccharide production. The micropropagated shoots were successfully acclimatized artificial soils.
        213.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삼 천풍의 배(embryo)로부터 부정근을 유도하고 배양배지조성, 식물 호르몬과 인삼염의 농도가 인삼부정근의 생장과 ginsenosides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지 종류별 인삼 부정근의 생장량은 B5, WPM, MS 배지 순으로 높았으며, ginsenosides 함량은 B5배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panaxa triol계 사포닌 보다 panaxa diol계 사포닌이 증가하였다. 식물 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의 인삼부정근의 생장량은 kinetin 0.1 mg/L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 ginsenosides 함량은 kinetin 0.01 mg/L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특히 kinetin 0.01 mg/L 첨가에서 ginsenoside Rb1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KH2PO4를 추가 첨가 할때에는 부정근의 생장에 2.5 mM에서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으나, ginsenosides의 함량은 1.25 mM에서 높았으며 , 특히 ginsenosides Re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panaxatriol계 사포닌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214.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울금의 기내대량번식을 위한 경정배양에 알맞은 기본배지의 종류와 기내증식 및 생장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농도를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금의 경정은 MS(Murashige and Skoog)기본배지에 치상한 경우 Wanspojen, LS, White 배지보다 shoot와 root의 형성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기내의 유식물체 생장은 오옥신(NAA 0.5-l.0 mg/l)과 사이토키닌(BA 1.0-5.0 mg/l)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21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vitro culture of panicle has been the method to accumulate starch and protein in immature grains by providing nutrients after florets crossed between remote genotypes artificially. Grain filling means embryo development and sucrose translocation from photosynthetic source, and starch manufacture in endosperm. The concentrations of sucrose used to culture immature rice panicle were 5, 10, 15, 20% and glutamine was 20 mM. When immature rice panicles at 5 days after flowering were cultured in distilled wate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glutamine 20 mM and MS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crose, glutamine 20 mM for 30 days the later was effective on grain filling.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sucrose on grain filling in vitro culture of rice panicle was 10% and the weight of grain cultured was 10.14 mg that was corresponded to 57% of intact plant. In the method of treating plant growth regulators, the culture of immature rice panicle adding in MS medium with Kinetin, IAA, ~textrmGA3 were effective on grain filling than the culturing of immature rice panicle after submerging in solutions of Kinetin, IAA, ~textrmGA3 for 1day. When immature rice panicle was cultured in MS medium with sucrose 10% and Kinetin 46.47 ~mu M it was effective on grain filling, respectively. The weight of grain cultured was 13.1mg that was corresponded to 75% of intact and germination rate was 51 %. When immature rice panicles were cultured in medium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combined with Kinetin 4.65, 46.47, 464.7 ~mu~textrmM , IAA 5.71, 57.08, 570.80 ~mu~textrmM for 30 days and in medium with IAA 5.71, 57.08, 570.80 ~mu~textrmM for 15 days after culturing in medium with Kinetin 4.65, 46.47, 464.70 ~mu~textrmM for 15 days the effect on grain filling was similar.
        216.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select salt tolerant variants of rice, NaCl tolerant cell lines were selected from the embryo-cultured callus irradiated with gamma ray. The callus mass (g) and survival rate of irradiated (30, 50 Gy) calli were more increased than those of non-irradia
        21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칠나무의 선발된 우량개체군의 집단재배시 우량해체간의 교잡에 의해서 형성된 종자를 증식하기 위한 기내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기내 발아, 증식, 발근에 적합한 식물생장조절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칠나무 종자의 무균발아에 적합한 배지로는 MS(Murasinge Skook)기본배지가 발아율이 높고 유식물체(plantlet)의 생장이 양호하여 알맞는 배지로 판단 된다. 기내에서 신초의 증식과 생육에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제는 사이토키닌(BAP 0.1~l.0 mg/l)과 오옥신(NAA 0.5~1.0 mg/l)의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기내의 발근은 오옥신의 첨가에서 쉽게 유도되었으며, 그 중에서 NAA1.0 mg/l첨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219.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Bulb 유래 식물체 재분화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1/4MS 액체 배지에서 잎과 뿌리분화 및 생장, bulb 분화가 양호하였다. 2. 캘러스 현탁배양의 경우 2,4-D 1mg/ l 를 처리한 액체배지는 배발생 캘러스를 증가하였다. 식물생장조절제가 처리되지 않은 액체배지는 캘러스가 활성을 잃었고, 활성 감소는 salt strength가 감소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생장조절제가 처리되지 않는 액체배지에서 소수의 캘러스로부터 잎의 분화가 관찰되었다. 3. 솔나리 잎, 뿌리, 인편 중 재분화 식물체 유도는 인편이 가장 적합하며, 인편을 치상하였을 때, 잎의 분화는 MS 기본 배지에 NAA 1mg/ l 첨가와 1.5%의 sucrose 첨가한 곳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잎의 생장은 MS 기본 배지에 NAA 1mg / l를 첨가와 3.0%의 sucrose를 처리한 곳에서 관찰되었다. 뿌리의 분화 및 생장, 인편의 분화는 MS기본 배지에 NAA 1mg / l 를 첨가와 6%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양호함을 나타내었다. 4. 고체배지에서 잎의 분화는 spermidine에 비해 spermine첨가가 효과적이었고, 잎의 신장은 spermidine처리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뿌리의 분화 및 생장은 spermine처리에 의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인편의 분화는 spermidine첨가에서만이 나타났다. 액체배지에서 spermine과 spermidine 1mg/ l 를 처리하였을 때 잎, 뿌리 모두 분화하였다. Spermine 1mg/ l 를 첨가한 한 플라스크에서는 체세포 배 발생 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2, 4-D 1mg/ l 를 처리한 액체배지에서 나타나는 것과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솔나리 인편배양에서 polyamine의 처리는 액체배지보다 고체배지가 효과적이었다. 5. 솔나리 인편배양을 통해 분화된 식물체의 토양순화 실험에서, 재분화된 식물체의 생존률은 vermiculite + perlite (1 : 1 by volume)에서 96.3%를 나타내어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었고, 순화된 식물체의 뿌리 생장은 peat moss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220.
        200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iciency of in vitro regeneration of four clones of Populus euramericana, Canada blanc, Eugenii, I-45/51, and Wisconsin #5, was examined. Cytokinins and the combinations with auxins affected the rate of regeneration from the explants of root segments, stem internodes, and leaf discs. Overall, BA and the combination with auxins were effective in root segments and leaf discs of the Canada blanc clone, whereas zeatin and the combination with auxins were important in stem internodes of the Wisconsin #5 clone. The highest number of shoots averaging 17.6 ± 0.47 from root segments in the Canada blanc clone,18.2 ± 3.0 from stem internodes in the Wisconsin #5 clone, and 17.8 ± 1.92 from leaf discs in the Canada blanc clone were obtained with 2.0 mg/1 BA, 2.0 mg/l zeatin combined with 0.2 mg/l IAA, and 0.5 mg/l BA combined with 0.05 mg/l 2,4-D,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2,4-D into cytokinin medium promoted shoot proliferation.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