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5

        221.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퀴(Blattella germanica L.)를 chlorpyrifos와 permthrin 살충제로 누대도태하여 얻어진 저항성 바퀴를 대상으로 저항성 유발 및 교차저항성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hlorpyrifos와 permethrin으로 6세대 도태 한 결과 감수성 계통 보다 도태계통의 반수치사농도가 각각 3.23배, 2.10배 증가하였다. chlorpyrifos도태계통에 있어서 propoxur, fenvalerate 및 permethrin의 반수치사농도가 각각 2.97배, 3.89배 및 1.31배로써 fenvalerate 와 proposur가 permethrin보다 비교적 높은 교차저항성을 보였으며, permethrin 도태계통에 있어서 chorpyrifos, propoxur 및 fenvalerate의 반수치사농도가 각각 1.42배, 1.08배 및 5.23배로써 fenvalerate가 다른 살충제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4,000원
        222.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퀴 (Blattella germanica L.) 의 효과적인 방제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바퀴 방제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생물검정 방법에 따른 살충력의 차이를 실험한 결과, Dry film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반수치사농도(, ppm)가 chlorpyrifos 1.79, fenvalerate 1.87, propoxur 3.04, permethrin 4.37, DDVP 32.72, hydramethylnon 270.81로서 암컷 역시 같은 순위의 살충력을 보였다. 미량국소처리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반수치사약량( , g/g)이 DDVP와 fenvalerate가 2.63, chlorpyrifos 3.79, permethrin 4.51, propoxur 6.73, hydramethylnon 44.99로써 암컷 역시 같은 순위의 살충력을 보였다. 식이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CT(Concentration % )값의 비교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가 속효성이였고,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hydramethyInon은 지효성이 좋은 살충제로 선발되었다.
        4,000원
        223.
        199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규 살충성화합물의 개발을 위한 생물검정법 확립의 일환으로 수종의 곤충을 이용하여 침지시간, 약제처리 방법, 공시충의 종간 및 발육태에 따른 살충제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침지시간, 처리방법, 공시충의 종간 및 발육태에 따라 살충력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는데, 침지시간은 엽침지법에서 약 30~60초 침지처리에서 효과가 좋았으며 60초 이상 침지처리에서는 식물체의 내용물이 용출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처리방법은 콩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 무시암컷,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3령유충은 엽침지법, 벼멸구 3령약충 또는 성충과 벼유묘 동시분무법, 점박이응애는 엽침지법 또는 분무법이 효과적인 처리방법이었다. 키틴합성저해제의 검정은 벼멸구의 경우 3령약충,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3령유충, 진딧물류 3령약충 및 점박이응애 유충을 약제가 분무처리된 유묘에 접종하여 검정하는 방법이 적합하였다.
        4,000원
        224.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신규 설충성물질 개발의 전제조건이 되는 용매의 선택을 위하여, 아세톤의 9종의 유기용매를 수종의 곤충에 대한 독성과 식이식물 및 화합물의 용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엽침지법과 분무법으로 평가하였다. 각종 용매의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과 용매의 이화학적인 성질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보이지는 않았으나, 분무법 처리시 벼멸구의 경우 밀도가 높을수록,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증기압이 낮을수록 공시충에 대한 치사독성이 높았으나, 비등점, 쌍극자모멘트, 유전율, 표면장력, 점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분무처리가 엽침지법보다 더 높은 치사독성을 나타내었다. 약해와 용매의 이화학적 성상 역시 명확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엽침지법의 경우 수도에 있어서 유전율이 낮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며, 분무법 처리시에는 쌍극자 모멘트가 높을수록 약해가 심하였으나 기타의 이화학적 성상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엽침지처리가 분무처리에 비하여 강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합성 화합물과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은 아세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여 생물검정시 5% 아세톤수용액이 다량의 화합물을 검정하는데 적합하였다.
        4,000원
        22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규화합물의 in Vitro AChE 저해력을 평가하기 위한 저해시험법의 확립을 목적으로 실험을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EXI50/TEX 산출이 가능한 고정시간 저해시험(fixed time inhibition test)의 경우, DFP, DDVP 및 paraoxon과 같은 대표적 AChE 저해제의 저해력 평가에 적당한 저해시간은 10분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10분간의 저해조건하에서 ester group을 보유한 신규화합물의 저해여부 및 정도의 평가에 효과적인 시험농도는 10M 수준으로 판정되었으나 다른 화합물의 경우에는 보다 높은 농도로부터 단계적 저해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TEXKd/TEX, TEXk3/TEX 및 TEXki/TEX와 같은 저해상수의 산출을 위한 경시적 저해시험(Progressive inhibition test)에 있어서, 본 실험의 장시간 저해(0.8~13.3분)와 낮은 저해제농도(1TEX10-9/TEX~2TEX10-6/TEXM)의 조건하에서는 극히 낮은 TEXKd/TEX(1.3TEX10-8/TEX~5.6TEX10-7/TEXM) 및 TEXK3/TEX(0.21~TEX0.27min-1/TEX)가 관찰되었으나 저해제간의 저해독성 조사에는 충분한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DFP, paraoxon 및 신규화합물인 KH501간의 현격한 저해력 차이는 TEXKd/TEX의 차이 즉, 저해제와 AChE간의 친화력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AntiChE 스크리닝에 있어서 1차단계에서는 고정시간 저해법을 통하여 산출된 TEXI50/TEX를 바탕으로 하여 저해력 유무 및 정도를 파악하고, 1차단계에서 고도의 AChE 저해력이 인정된 신규 화합물을 대상으로 2차단계인 경시적 저해법을 이용하여 저해양상 및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 합리적인 체계일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4,200원
        226.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화명나방 유충을 방제할 목적으로 이화명충이 가해한 벼 줄기에 곤충병원성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와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를 살포한 결과 효과가 좋았다. 8cm 길이의 벼 줄기 2본에 S. carpocapsae 250, 500, 1,000, 2,000마리/ml를 살포한 결과 68.610.0~94.92.6%의 치사율을 얻었으며 H. bacteriophora 100, 200, 400, 800마리 ml살포구에서는 91.40.7~100%의 방제를 얻었다. 그러나 3본의 벼줄기를 H.bacteriophora 현탁액에 침적한 경우는 100마리/ml 구에서는 42.64.7%, 200마리/ml구에서는 63.14.7%로 선충의 현탁액을 살포하는 것보다는 치사율이 낮아 효과가 적었다. 벼 줄기는 선충의 생존과 기주 탐색에 좋은 환경을 유지해 주어 곤충병원 성선충은 이화명충의 방제에 유용한 생물적 인자로 확인 되었다.
        3,000원
        227.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white carbon 제제, molasses 제제 및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등 3종의 바이러스살충제로 만들어 제제의 살포방법, 살포효과 및 잔류효과를 폿트 및 콩포장에서 살충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채 살포는 콩잎 표면 살포시 약 5일, 이변 살포시 약 12일까지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지속되었다. 폿트식재 콩잎을 이용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molasses 제제와 with carbon 제제에서 모두 97%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으나 molasses성분을 포함한 제제는 햇빛에 의해 일부 콩잎에 약해를 보였다. 바이러스살충제 살포 1 시간 후 빗물 처리에 의한 영향은 빗물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이 9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야외 콩 포장에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3종의 제제 모두 90%이상의 살충율이었 며, 유기합성농약보다 7일 늦게 효과가 나타난 반면 2주 이상 효과가 지속되었다.
        4,000원
        228.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에 섭식촉진물질, 다각체 침전방지제 및 전착물질과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여 만든 3종의 바이러스 살충제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먹여 제제별로 살충 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제에 설탕농도 1-5% 첨가로 섭식촉진이 증대되어 살충효과가 높았으며, 바이러스의 불활화 차단효과도 있었다. 살충제 제형에 따른 바이러스 침전방지는 polyvinylalcohoI 0.5%, 식물체 전착성은 Triton X -100 0.1 %에서 효과가 좋았다. 자외선차단제의 양은 white carbon은 100 L 당 800 g, molasses는 30%첨가에서 바이러스의 불활화가 감소되었으며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는 white carbon 500 g, molasses 10%의 비율에서는 살충효과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세 제제 모두 살포 3일후 95%이상의 살충율을 보였다. White carbon 체제는 molasses 제제보다 다각체 포매가 뚜렷하여 잔류효과가 증대되었으나 유충의 섭식은 molasses제제에서 촉진되었다.
        4,000원
        229.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실내(室內)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OP계(系) 살충제 acephate로 누대도태(累代淘汰)시켜 저항성(抵抗性)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다른 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나아가 그들 계통(系統)에서 esterase isozyme을 검출(檢出)하여 살충제)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를 검토(檢討)코자 하였다. 1. 복숭아혹진딧물의 acephate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속도(速度)는 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1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1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 2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배(倍)로 증대(增大)되었다. 2. Acephate 20세대(世代) 도태저항성(淘汰抵抗性) 계통(系統)은 24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자체(自體)에 대하여 31.7배(倍), cypermethrin에 대해서는 507.3배(倍), oxydometon-methyl에 대해서는 49.7배(倍), pirimicarb에 대해서는 7.5배(倍)이었고 48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 자체(自體)에 대하여 32.0배(倍), cypermetherin에 대하여 475.6배(倍),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21.5배(倍), pirimicarb에 대(對)하여 8.9배(倍)이었다. 3.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은 cypermethrin과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높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고 pirimicarb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泳動帶)에 있어서 는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두 계통(系統)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었으나 는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에서만 검출(檢出)되었다.
        4,000원
        230.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Omethoate (Folimat) 외 6종의 침투성 살충제를 공시하여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는 한편 관행 Drilltlr 수간주입방법을 보다 성력적인 방향으로 개량코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hosalone을 제외한 Omethoate , Vamidothion (Kilval 40 EC), Methamidophos , Phosphamidon , Monocrotophos 및 Dimethoate 의 수간주입은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비교적 우수하였다. 2. 관행 Drill 식 수간주입과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간에는 그 효과발현에 차이가 없었다. 3. 관행 Drill식 수간주입에서 주입공의 상처회복율은 인데 비하여 개량 Mauget식 수간주입에서는 완전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량 Mauget식을 도입하므로서 보다 성력적인 수간주입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본다.
        3,000원
        231.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침투성 살충제의 적송 근계주변 토중처리에 의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여 유교 살충제의 선발, 나아가 현행 근계주변 토중처리 방법을 성력적인 처리방법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Aldicarb, Carbofuran, Disulfoton를 고시, 흉고직후 cm 당 5g(유효성분량)을 근계주변원형처리(6월 25일)하여 솔잎 혹파리의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처리는 솥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우수하였으나 Disyston 처리의 방제효과는 낮은 편이었다. 난, 무처리에서 건전엽률, 피해흔적엽율은 각각 인데 비하여 처리에서는 그들이 각각 이었고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으며 처리에서는 각각 이었다. 처리방법 개선을 위한 시험에서는 공시, 균고직경 cm 당 5g(유교성분량)을 6월 2일에 점식구 처리 (Pit treatment), 방사상식고랑처리(Radical furrow treatment),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Circle furrow treatment)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점식구멍처리에서는 구멍수의 증가에 따라 충영엽율이 낮었으며 방사상식고랑처리는 고랑수에 따른 충영엽율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현행 근계주변 원형식고랑처리는 점식 3구멍처리와 대등한 솔잎혹파리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결론으로 과 의 토중처리효과는 대등하여 의 대체 가능하다고 보며 의 점식 3구멍 처리방법을 도입함으로서 토중처리에 소요되는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000원
        232.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ematicidal effects of the insecticides, Mocap(O-Ethyl-S, S-dipropyl phosphorodithioate), Carbofuran(2,3-Dihydro-2,2-dimethyl benzofuranyl ethyl carbamate), Terbufos (S-tert-buthylthio methyl O,O-diethyl phosphordithioate) and their mixtures (Mocap+carbofuran, Mocap+Terbufos, Carbofuran+Terbufos) on growth of 2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There was no evidence of plant injury from insecticide treatment of ginseng, although the rate of emergence of the treated ginseng was slightly inhibited. The insecticide treatments showed no of-flavor of ginseng plant. Terbufos and Mocap provided heifer confrol of the root-knot nematodes than carbofuran alone and their mixtures. Mixtures of the insecticides showed antagonisitic effect to the root-knot nematodes.
        4,000원
        233.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수직 사이로에 충진된 옥수수를 대상으로 M.B를 사용하여 자연중력하에서 소독할 때 M.B가스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이로 표층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2시간후부터 100mg/l 이상에서 20mg/l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2.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3m 깊이 지점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12시간이후 100mg/l 이상에서 30mg/l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표층의 고농도 M.B가스가 불과 30분 이내에 3m 깊이 까지 침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고농도의 M.B가스는 13m 깊이 지점까지 1시간 이내에 침투되었으며 투약후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100mg/l 이상40mg/l 이상의 M.B가스가 검지되는 것으로 보아 자연중력하에서 옥수수를 소독하는 경우 13m 깊이 부근에 M.B 가스의 고농도 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4. 사이로 기부(21m 지점)의 M.B가스는 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아 M.B의 침투가 아주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5. M.B 가스의 횡 확산성은 수직 침투성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사이로 길이 3m의 경우 투약방향으로부터 약 13m지점의 qdnl는 중심부의 약 , 그리고 깊이 13m 지점에서는 지점에서는 의 농도에 불과하였다. 6. 투약후 24시간만에 조사한 사이로의 표층 및 기부(21m 지점)에 삽입 했던 공시충(거짓쌀도둑)은 모두 사멸되었으며 48시간후에 조사한 3m, 7m, 및 13m 지점의 공시충도 모두 사충으로 발견되었다.
        4,000원
        234.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에서 채집한 거세미나방(Agrotis fucosa Butler) 1~6령충에 대한 5개 토양살충제를 국소처리하여 LD50치를 구하여 령충별 독성과 내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유충의 령기가 진행됨에 따라 LD50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그 차이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였는데 그 독성은 phoxim (Volaton®)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carbofuran(Curaterr®), chlorpyrifos (Dursban®) Mocap, diazinon의 순위였다. 그리고 1~2령충까지의 LD50치는 비교적 낮았으나 3령충부터 LD50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2) 령충별 내성비(2~6령충의 LD50/1령충의의 LD50)에 있어서 phoxim은 11.1~251.6배, diazinon은 1.2~126.6배, chlorpyrifos는 4.3~97.5배, carbofuran은 1.6~44.3배, Mocap은 11.5~18.7배로서 령기가 진행됨에 따라 약제에 대한 내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정도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diazinon에 대비한 phoxim, carbofuran, chlorpyrifos, Mocap의 령충별 독성비는 3령충까지는 낮거나 높아 일관성이 없었으나 4령에서 6령까지는 대조약제 diazinon에 비하여 모드 높은 독성비를 나타내었다. 1령충에서 6령충까지의 평균 독성비(각 령충별 LD50치 기준)는 diazinon에 대하여 phoxim은 5.2배 carbofuran은 1.9배 chlorpyrifos는 1.7배, Mocap은 1.1배 이었다.
        4,000원
        235.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침투성 살충제 (disulfoton) 5G, (aldicarb) 15G, (acephate) 5G, (carbofuran) 3G 4종의 살충제를 공시약량을 달리하여 춘파대맥에 4월 19일과 25일에 각각 일회 파구처리하여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에 대한 살충효과를 실내와 포장에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월 25일에 파구처리한 다음 처리후 19일(5월 14일), 31일(5월 26일), 44일(6월 8일)에 대맥경을 절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각종 충태(자웅성충, 약충-영기별)의 애멸구를 접종한바 살충제의 종류, 약량, 충태에 따라 살충율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때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한 살충제는 Temik이었고 다음은 Disyston 이었으며 Ortran과 Curaterr는 살충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Temik의 잔효력은 10a당 4kg 수준에서 31일정도이었으며 Disyston(충태, 약충의 일령에 따라 살충력에 차이는 있었으나)은 10a당 4kg 처리서 19일 정도이었다. 2. 야외 접종시험에 의한 성충의 살충율은 Disyston과 Temik 처리구에서 높였으며 Disyston의 잔효력은 4월 19일 처리구가 4월 25일 처리구에 비하여 길었으나 Temik 처리에 있어서는 반대로 4월 25일 처리에서 길었다. 그리고 Disyston에 비하여 Temik의 잔효력이 현저히 길었다. 3. Disyston은 2kg/10a 이상의 약량에서 약 26일 정도의 잔효력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Temik는 1kg/10a 정도의 약량에서도 40일 이상의 잔효력을 기대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Disyston 5G와 Temik 15G의 맥류처리(4월중)로서 본답에서 피해원이되는 애멸구의 집단을 맥전에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4,000원
        236.
        197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종의 수도용 살충제들에 대하여 벼멸구와 이의 주요천적인 황산적거미에 대한 상대독성을 실내에서 미량국소 처리방법으로 반치사약량을 조사 비교한 결과 PAP(0.4), MPP (0.7), MEP(1.8), Diazinon(2.8) , Carbofuran(7.5), NAC(11.3), BPMC(17.5), Pyridaphenthion(35.9), MIPC(65.7)의 순이었으며 특히 MIPC, Pyridaphenthion은 벼멸구와 황산적거미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237.
        197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충제의 액상근부처리(Root zone-liquid)와 캡슐근부처리(Root zone-capsule)에 의한 수도해충 방제효과를 검토하고 살충제의 새로운 사용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pot 및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A. Pot 시험 이앙 5일후 ha당 1kg(a.i)와 2kg(a.i) 1회 시용수준에서 Carbofuran, Omethoate의 액상근부처리(Pipett에 의함) Carbofuran, Disysteon의 캡슐 근부처리 및 Carbofuran, Disyston, Diazinon의 수면처리를 하여 이화명충, 애멸구, 벼멸구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1. 약제처리후 10일, 20일, 30일에 이화명충 부화유충을 접종하고 20일후 살충율과 심고경을 조사한 바 Carbofuran 액상근부처리와 Capsule 근부처리는 약제처리후 30일까지 계속 이화명충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Carbofuran 수면시용은 약제처리후 10일까지는 방제효과가 있었으나 그 후는 낮았으며 그밖에 약제들은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낮았다. 2. 약제처리후 17일에 애멸구, 벼멸구 성충을 접종하여 살충율을 조사한 바 Carbofuran 액상근부처리와 캡슐 근부처리는 살충력이 비교적 높았으나 그밖에 약제 또는 처리에서는 거의 살충력을 기대할 수 없었다. 3. Carbofuran 액상근부처리와 캡슐근부처리는 Carbofuran 수면시용에 비하여 해충방제효과가 정확하고 잔 효력이 월드이 좋았다. B. 포장시험 이앙 5일(A-포장)과 18일 (B-포장)후에 ha당 1kg과 2kg(a. I)을 각각 1회 시용수준에서 Carbofuran, Omethoate 액상근부처리 (Liquid applicator에 의함), Carbofuran 캡슐 근부처리를 실시하였고 Carbofuran 캡슐 근부처리를 실시하였고 Carbofuran과 Diazinon은 같은 수준에서 각각 이화명충 제1화기에 1회, 2화기에 1회 수면처리한 다음 이화명충에 의한 심고경율, 백수경율, 애멸구의 밀도를 조사였다. 1. Carbofuran, Omethoate 액상근부처리에 비하여 캡슐 근부처리는 이화명충, 애멸구방제효과가 월등히 좋았고 Omethoate보다는 Carbofuran의 방제효과가 좋았다. 2. Carbofuran 1회 액상근부처리는 Carbofuran 2회 수면시용과 대등한 수도해충의 방제효과가 있었다. 3. A포장에서 보다 B포장에서 이화명충 방제효과가 좋았는데 그것은 B포장에서의 약제처리시기가 이화명충 방제적기에 해당하기 때문인 것 같다. 4. Carbofuran 1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육기간에 걸친 수도해충방제가 가능한 것으로 보였다.
        4,000원
        238.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침투성살충제 Curaterr(Carbofuran), Cytrolane(Mephosfolan), Disyston(Disulfoton) 립제의 대두 파종용 처리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약제 모두 대두의 입묘에 영향을 주었는데 Carbofuran 4.6mg, 9.2mg(유효성분량) 처리를 제외하고는 Carbofuran 13.8mg 처리를 포함한 Mephosfolan, Disulfoton 처리에서 비교적 낮은 입묘유를 보였다. 2. Carbofuran과 Mephosfolan은 초기의 콩잎에 약해가 비교적 심하였으나 Disulfoton은 약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Carbofuran과 Mephosfolan 처리에서는 자엽과 제일본엽에 갈색내지 흑갈색 반점 또는 엽록을 따라 갈색엽소징색이 나타났으며 Disulfoton은 엽선에 약간의 위축징상이 보였다. 그리고 약량의 증가에 따라 약해가 증대하였다. 3. 공시약제 모두 어느 약량에서나 약 3개월에 걸쳐 콩진딧물의 방제효과가 좋았으며 약량이 높아짐에 따라 방제효과가 더욱 좋은 경향을 보였다. 4. 약제처리구에서 두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낮어 방제효과를 인정할 수 있었다. 특히 Mephosfolan과 Disulfoton은 처리약량의 증가에 따라 방제효과가 증대하였으며 Disulfoton의 용당 13.8mg(a.i) 처리는 약제처리 82일까지 계속 응애의 밀도가 가장 낮었다. 5. 콩나바아에 의한 콩의 초해율은 처리, 무처리 또는 약량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에 있어서도 그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6.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공시약제의 대두 파종용 일회처리로서는 콩진딧물과 두점박이응애의 방제는 가능하나 콩나방의 방제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39.
        197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실험은 이화명나방 월동 유충에 대한 유기인 살출제의 in vitro에 있어서의 ChE저해력과 약제의 화학 구조와의 관계, in vivo에 있어서의 국소 시용법에 의한, 살충제의 독성과 화학 子조와의 관계, 특히 ChE 저해력과 살충력(독성)과의 관계를 비교 연구할 목적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Phosphate compounds는 thiophosphate compounds보다 in vitro에 있어서의 ChE 저해력은 강하다고 할 수 있으나 in vivo에 있어서의 독성은 비례적으로 반드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2. Alcoxy 즉 diethoxy는 dimethoxy보다 ChE 저해력과 독성이 비례적으로 반드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3. 부분에 있어서 이 X부분이 달라짐에 따르는 ChE 저해력과 살충력에 대해서는 약제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므로 언급할 수 없다. 4. ChE 저력이 강한 약제는 살충력도 비례적으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화학 구조상 안정성이고 실용 농약인 Ethylparathion, Malathion, Let aycid, EPN, Sumithion 및 Diazinon 등에서 고찰할 때 반드시 비례적인 것은 아니나 어느 정도의 파행 관계가 있지 않은가 추찰된다.
        4,000원
        240.
        196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시험은 1962년과 1963년의 2개연에 걸쳐 수원과 김해에서 이화명충방제를 위하여 수종의 공시농약과 비교 실시하였다. 2) 의 시용은 건사동율 혼합하여 손으로 수면에 시용하고 액제(Lebaycid Dipterex. B. H. C기타)는 분무기로 약면에 살포하였다. 3) 본 시험의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타 약제에 비하여 이 유효하였으며 수면시용시기는 부화 10일이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4) 수원과 김해의 양지역에서의 시험결과를 비교해 보면 지역적 효력차가 없는 것 같다.
        4,000원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