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73

        22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대식물인 인도멀구슬나무(Azadirachta indica)는 병해충과 방제와 의학적인 목적으로 오랫동안 이용하였다. 본고에서는 님제의 활성 성분인 아자디라크틴의 해충에 대한 곤충생장조절, 기피, 섭식저해, 산란억제 등 다양한 작용기작과 국내 이용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내 유 통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중에서 님제 제품은 총 57종이었다. 그중 효능효과가 표시된 자재는 7종이었고 평균 아자디라크틴 함량은 0.38%로써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평균 함량 2.1%와 비교할 때 약 5.5배 낮았다. 국내에서 님제의 방제효과에서 진딧물은 실험에서 다소 변이는 있었으나 대 부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꽃매미 약충에 누적살충률은 73~77%를 보였고,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가는 50~72% 범위로 살포효과가 인정되었다. 노린재와 나방류에 대한 방제효과는 대체적으로 낮았다. 본고는 유통되는 님제품의 이해와 실험자료의 해석에 필요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2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Individuals with scapular winging may have proprioceptive dysfunction which is important for motor control and causes shoulder instability. Reduced serratus anterior (SA) and lower trapezius (LT) muscle activity accompanied by over-active upper trapezius (UT), and pectoralis major (PM) may be contributing factors. Flexi-bar (FB) exercise may be used to increase joint position sense (JPS) and alter the target muscle activitie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flexi-bar exercise prior to knee push-up plus (FPK) versus knee push-up plus (KPP) on JPS and muscle activity of SA, LT, UT, and PM i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Methods: Eighteen subjects with scapular winging were recruited. JPS was investigated at baseline, after KPP and after FPK. Passive and active JPS errors were calculated by isokinetic equipment.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record muscle activities during KPP and FPK. One-way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 hoc analyses were used to analyze the JPS error measured at baseline, after KPP and after FPK. Paired t-tests were used to compare muscle activities between KPP and FPK. Results: Passive JPS erro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KPP (p = 0.005) and after FPK (p = 0.003) compared to the baseline. Active JPS error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KPP (p = 0.016) and after FPK (p = 0.012) compared to the base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ve and active JPS errors between KPP and FPK. SA activity during FP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24), and LT activity during FP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T and PM activity. Conclusion: FB might be recommended to immediately improve passive and active JPS and to selectively increase SA and LT muscle activities during KPP in individuals with scapular winging.
        4,000원
        223.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QOL) influence the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Recently, the use of wearable devices to monitor physical activity has increased. Object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using a wearable device, and QOL among older adults. Methods: In total, 71 older adults (aged ≥ 65 years) were enrolled.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wearable device with a wrist strap, and daily physical activit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intensity (sedentary, light, moderate, or very active). Self-reported QOL was evaluated using the Short Form 36 (SF-36) questionnaire. Pearson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variable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amount of daily physical activity and SF-36 scores was assessed.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moderate- intensity and very active physical activity (minutes/day) and SF-36 scores (p < 0.05).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of at least moderate intensity is associated with better QOL in older adult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creased physical activity on QOL in older adults.
        4,000원
        224.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활동의 수준을 너비와 깊이라는 두 차원으로 나누 어 이들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기술보호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한국기업혁신조사(KIS, 2018)에 응답한 기업 중 혁신성과를 도출한 경험을 보 유한 제조업과 서비스업 기업 1,403개사를 대상으로 다중선형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혁신활동의 너비는 급진적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쳤으며 개방형 혁신활동의 깊이는 점진적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기술보호 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혁신활동의 너비와 급진적 혁신활동 사이에는 부분매개를, 깊이 와 급진적 혁신활동 사이에는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형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과 그 중에서도 기술의 획득을 통해 제품혁신을 추진하는 기업에게 중 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6,600원
        231.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fungal activity of cork tree extract against three plant pathogenic fungi (Colletrotrichum gloeosporiodes (Penz.) Penz. & Sacc., Pythium ultimum Trow. and Botrytis cinerea Pers.) was investigated antifungal active substances were identified. Cork tree extract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ree plant pathogenic fungi. The cork extract had antifungal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 particular, showed the most vigorou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Botrytis cinerea. In cork tree extract, the incidence of strawberry powdery mildew fungus after 7 days of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as the treatment concentration increased. Control value against strawberry powdery mildew fungus was 49% of cork tree extract, 69% of berberine chloride, and 67% of berberine bromine, which was lower than 80.5% of Rifzol, a representative antifungal compound, but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The isolated compound and berberine derivative showed similar effects to Rifzol 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 (75 μg/ml), and a concentration of at least 10 μg/ml of fresh weight showed a preventive effect against strawberry powdery mildew fungus. Fractions showing antifungal activity were obtained by TLC, and each fraction was examined for the antifungal activity to obtain fractions showi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hree types of pathogenic fungi. The compound isolated through TLC analysis was analyzed by HPLC equipped with an ODS column to obtain the main peak presumed to be berberine, which was confirmed as a berberine through 1H NM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iological pesticides with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lant powdery mildew etc.
        4,000원
        233.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미수미원(백하수오 10 g,; 당귀 6 g; 구기자 8 g; 화피 6 g; 선태 3 g; 홍화 2 g)에 방기(Sinomenium acutum R.) 4 g의 첨가 여부에 따라 각각 열수추출물은 GS±SC(DW), 80% 에탄올 추출물은 GS±SC(EtOH)로 표기 하였다. 각 추출물은 항산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 다. HPLC를 통한 방기 지표물질 함량측정, 중금속 검사 기준 측정, ABTS/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SOD 유사 활성능 측정, ROS 및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방기 지표물질 중 sinomenine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decursin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게 확인되었다. 중금속 측정 결과 기준치 적합으로 확인되었다. ABTS/DPP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GS+SC(EtOH)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상대적으로 열수보다 에탄올 추출이 라디칼 소거율이 높게 확인되었다. 그러나 SOD의 경우 열수 추출에서 상대 적으로 유사 활성능이 높게 확인되었다. ROS 생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NO의 생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GS+SC(EtOH)이 라디컬 소거능 및 NO 감소를 높게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어 산화적스트레스 후, 생성된 활성산소의 제거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지속적인 효능 심화 연구를 통해 조성물을 활용한 화장품 및 기능성 원료의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234.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우슬(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우슬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 효과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식물 재료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우슬 뿌리(Achyranthes japonica Nakai roots, AJNR)와 우슬 줄기 (Achyranthes japonica Nakai stalks, AJNS)로부터 추출하였다. RAW 264.7 세포를 배양하여 추출물의 Nitric oxide assay를 진행하였고, 섬유아세포 CCD-986sk를 배양하여 추출물의 MMP-1 assay, Type I procollagen synthesis assay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항산화 활성은 우슬 뿌리와 우슬 줄기 모두 우수하였고, 뿌리는 함염증 효과가 월등하게 우수하였으며 줄기는 뿌리에 비해 MMP-1 저해 활성과 Type I procollagen 합성 효과가 조금 더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 우슬 뿌리와 우슬 줄기의 항산화 활성은 유사한 수준으로 우수하였고, 뿌리의 항염 활성은 줄기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MMP-1 저해 활성과 Type I procollagen 합성 효과는 대체적으로 우수하였는데 줄기가 뿌리에 비해 가 조금 더 뛰어났다. 그러므로 우슬은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의 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35.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study to investigate the phytochemicals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 bark of Betula schmidtii. The studies consisted of the solvent extraction, followed by the isolation of phenolic components 1~3 from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Betula schmidtii Bark.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arbutin (1), ρ-coumaric acid (2) and ferulic acid (3) using Ultraviolet-Visible (UV-Vis) Spectrophotometer,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negative ion mode), 1H-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13C-NMR, 1H-1H Correlation Spectroscopy (COSY) and 1H-13C Hetero Nuclear Multiple Quantum Correlation (HMQC) spectral data. Compounds 1~3 shows the anti-oxidant effect with IC50 values of 29.74±1.52, 21.32±1.07 and 34.41±1.24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Also, compounds 1~3 exhibited mushroom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50 values of 31.14±1.07, 42.54±1.46 and 69.22±1.43 μM, respectively.
        4,000원
        236.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eolpyun containing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2%, 4%, 6%, 8%) were evaluated using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on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decomposing ability of hydrogen peroxide. In chromaticity analysis, the br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content. Jeolpyun containing 6%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revealed the highest value (9.67±0.603) for the redness and 2%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was the highest value (14.20±0.917) for the yellowness.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Jeolpyun containing 8%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were the highest content of 17,320±390.38 μg gallic acid equivalent/mL (GAE/mL).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 relation at p<0.05. Electron donating ability for Jeolpyun containing 8%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reveale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74.24±0.827%). Electron donating abilit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Jeolpyun containing 6% Smilacis chinae R. extract powder revealed the most hydrogen peroxide decomposing ability (-3.38±1.44) and hydrogen peroxide decomposing abilit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p<0.05).
        4,000원
        237.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availability of liquid fermentation (PL-ferment) by Phellinus linteus mycelium as a postbiotics for the inhibition of inflammation, PL-ferment was fractionated into culture supernatant (CS), hot-water extract (HW) from PL-ferment, EtOH-precipitate (CP) fractionated from HW, and the dialysate (DCP) of CP.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DCP which is expected to contain exopolysaccharide (EPS) as the major compon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L-6, and MCP-1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IL-6 and IL-8 in TNF-α and IFN-γ-induced HaCaT cells. The general compon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onents was observed between the fractions, whereas sugar composition analysis revealed that DCP had decreased glucose and increased mannose contents compared to the other fractions. This suggests that mannos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ctive fraction, DCP.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alysis revealed that DCP was mainly composed of low-molecular-weight material-removed high-molecular-weight polysaccharides of 18–638 kDa, suggesting that EPS originated from P. linteus EPS.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CP of P. linteus mycelium fermentation us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could be used industrially as postbiotic material.
        4,200원
        238.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utilize Malus pruniforia Borkh. as a functional material, cold-water (CW), hot-water (HW), and 70% ethanol (EtOH) extracts were prepared,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compa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HW extract evaluated by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nd FRAP activit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HW extract was also higher by 15.5±0.7 mg GAE/g extract compared to other extracts. The EtOH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TNF-α (39.8%), IL-6 (65.5%), and NO (34.9%) levels in RAW 264.7 cells compared to the LPS-induced control group. The levels of IL-6 (21.1%) and IL-8 (19.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reatment of EtOH extract in HaCaT keratinocytes induced with TNF-α and IFN-γ. The UHPLC-M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tOH extract might have chlorogenic acid and phlorizin as the major compounds. This was validated using HPLC-DAD, which showed that the EtOH extract had higher levels of chlorogenic acid and phlorizin (1,185±58 and 470±10 μg/g extract,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tOH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W and HW extracts, and chlorogenic acid and phlorizin could be used as indicator compounds and functional substances.
        4,000원
        239.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병풀(Centella asiatica) 두 품종(‘자이언트 타이 거 케어’, ‘굿병풀’)의 생장 특성과 추출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 Triterpenoid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와 ‘굿병풀’의 정식 후 생장 특성은 정식 41일 후 엽과 엽병의 길이 생장에서 ‘굿병풀’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이후 수확기(정식 104일 후)까지 생장속도는 유사하였다. 정식 후 104일에 수확한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의 식물체 크기와 관련된 생장(엽면적, 엽병두께, 엽병 길이, 생체중)이 ‘굿병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냉수, 열수, 50% 에탄 올, 70% 에탄올 추출물의 자유라디컬 소거능과 환원능으로 평가된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은 두 품종에서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다. 추출 용매별 Triterpeno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두 품종의 주요 Triterpenoid는 Madecasoside 와 Asiaticoside로 확인되었다. 품종별 총 Triterpenoids 함량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굿병풀’ 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굿병풀’이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보다 높았다. 하지만 정식 104일 후 수확량 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가 ‘굿병풀’보다 3배 많아, 동일한 재배 면적(3.3m2 ) 에서 생산 가능한 총 Triterpenoids 함량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가 2.459mg으로 ‘굿병풀’(1.103mg) 보다 약 2.2배 높았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고 단위면 적당 총 Triterpenoids 생산량이 높은 ‘자이언트 타이거 케어’ 를 재배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4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면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SW·AI 인재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SW·AI 인재 확보를 위해 전 세계는 SW·AI 교육에 많은 예산과 시간을 들여 인재를 양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2015년부터 교육과정을 개편하면서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 SW 교육 내용을 반영하였다. SW중심대학과 AI대학원 교육지원 사업을 통하여 고등 교육기관에도 대규모 예산을 투자하여 SW·AI 인재양성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SW·AI 교육의 양과 질이 모두 부족하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의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서 AI 교육 격차가 발생하는 원인이 SW·AI 사전 경험 차이라는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대상으로 SW·AI 경험별 재미, 어려움, 만족도, 기대 정도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 SW·AI 경험이 AI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SW·AI 교육을 균등하게 받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교육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체계적이고 연속적인 SW·AI 교육이 될 수 있도록 SW·AI 교육을 필수 교과로 전환하여 수업 시수 확대 등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6,600원